Genetic status of Acanthamoeba spp. Korean isolates on the basis of RAPD markers

RAPD 표지자 분석 에 의한 가시아메바속 한국분리주의 유전적 지위

  • 홍용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 ;
  • 오승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Genetic status of Acnnthamoebc sap. were tested on the basis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 analysis. Four previously established Accnthcmoebn species, 4 Korean isolates of Acnnthamoeba sp., and one American isolate of Acanthcmoebc sp. were analyzed by RAPD-PCR using an arbitrary decamer primers. Amplification products were fractionat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slainrd by ethidium bromide . Eighteen primers produced DNA amplification profiles revealing clear differences among 4 species. Nine of them also produced DNA amplification profiles which included some isolate-specific amplification products. On the basis of amplified fragments by 18 primers, the pairwise similarity indices between A. culbensoni and other species (i.e. A. hntchetti, A. trinngularis, A. polyphaga) were 0.300, 0.308, and 0.313, respectively. Similarity index between A. hctchetti and A. triansulcris was 0.833. The mean similarity index among the 3 Korean isolates (YM-2, -3, -4) was 0.959 and 0.832 among them and 2 other species (A. hatchetti and A. triongulnris). The mean similarity index among YM-5 and other Korean isolates (YM-2, -3, -4) was 0.237. However,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YM-5 and A. culbeksoni was 0.857, which suggests that YM-5 is genetically more similar to A. culbertsoni than other Korean isolates. Phonogram reconstructed by UPGMA method revealed that there are two groups: one group consists of A. hctchetti, A. tlonsulcns, and 3 Korean isolates (YM-2, -3, -4) , and the other group consists of A. cuLbensoni. A. polwphosc, HOV, and YM-5.

가시아메바 속(Accnthamoeba spp.)의 DNA 염기 구성 정보와 관계없이 임의의 10개의 엽기로 구성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olymerase chain reaction(RAPD-PCR)에 의해 게놈 상의 DNA를 무작위로 증폭하여 확인된 표지자로써 한국 분리주 및 외국 분리주와 기존의 알려진 4개 가시아메바 종간의 유전적 근연관계 분석을 통해서 4개 한국 분리주의 분류상의 성상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A. culbertsoni, A. hokchetti, A. triangularis, A. pokphrwc와 한국 분리주인 YM-2 YM-3, YM-4 YM-5 그리고 외국 분리주인 HOV의 게놈 DNA는 18 종류의 프라이머에 의하여 다양한 양상의 증폭산물을 보였으며 그 중 9개 프라이머는 한국 분리쿠간에도 특이성을 보이는 RAPD 표지자를 제공하였다. 총 18개의 프라이머에 대한 증폭 산물을 대상으로 각 시료의 유사도를 조사한 결과, A. culbertsoni는 A. hakhetti, A. triangularis, A. polyphuga와 유사도가 각각 0.300, 0.308, 0.313이었고, A hqkchetti와 A. triangularis간의 유사도는 0.838이었다. 한국 분리주 YM-2, -3, -4 간의 평균 유사도는 0.959이었고, YM-2, -3, -4 와 A. hotchetti, A. triangularis 간의 평균 유사도는 0.832이었다. 한국 분리주 YM-5는 YM-2, -3 -4 간의 비교에서 평균 0.237의 유사도를 보인 반면, A. culbersoni와 유사도 0.857을 보여, 다른 한국 분리주보다 A. culbertsoni와 유전적으로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UPGMA법에 의한 유전적 근 연관계 분석 결과 phonogram 강에 두개의 분지군이 존재하는데, A. hakchetti, A. triangularis 및 3개 한국 분리주(YM-2, -3 -4)가 하나의 분지군을, A. cuzburtsoni, A. polyphaga HOV주, 및 YM-5가 따른 분지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놈 DNA 상의 변이에 근거하여 볼 때, YM-5 주늘 유전적으로 A. culbertsoni와 거의 유사한 분리주이며 한국 분리주는 최소 2종 이상의 가시아메바로 분류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