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water (3:1) extract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28초

Aloe vera Callus 현탁배양 생성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Cultured Products from Suspension Culture of Aloe vera Callus)

  • 김명욱;조영제;이신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3호
    • /
    • pp.157-163
    • /
    • 2013
  • 알로에의 유효성분인 다당의 효율적 생산연구일환으로 수행되었던 aloe callus의 현탁배양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의 배양생성물(세포외 다당)과 callus의 용매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세포외 다당(ACP)과 callus (AC)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대식세포(Raw 264.7) 세포생존율을 MTT assay로 조사한 결과, AC-DMSO의 $400{\mu}g/mL$ 첨가구에서 97%로 미미한 증식저해를 보였으나 나머지 시료처리구는 모두 증식 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세포 배양액의 알로에 추출물 처리에 따른 NO 생성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AC-DW와 AC-DMSO는 오히려 양성대 조구인 LPS 단독보다 더 많은 NO를 생성하였다. 특히, 세포외 다당 분획인 ACP-DW는 NO 생성을 강력히 억제하여 $80-100{\mu}g/mL$의 비교적 낮은 농도의 첨가로 대조구 수준까지 억제하였다. 또, Raw 264.7 세포에 LPS로 자극을 주고 알로에 현탁 배양 생성물의 처리에 따른 COX-2단백질의 발현정도를 조사한 결과, ACP-DW 처리구는 단독으로 COX-2 단백질을 발현시키지 않았으며, LPS 자극에 따른 COX-2의 발현감소는 미미하였다. 아울러,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된 염증 사이토카인인 IL-$1{\beta}$와 TNF-${\alpha}$의 발현량을 RT-PCR로 조사한 결과, ACPDW 처리구에서 TNF-${\alpha}$의 발현이 강력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알로에 현탁배양 유래의 생성물들이 비교적 우수한 항염증활성을 나타냄을 보여주는 결과로, 그동안 삽목번식의 재배방법에 의존하였던 알로에 유효성분의 생산을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새로운 방법으로서의 알로에 callus의 현탁배양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뽕잎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Mulberry Leaves Extracts Against Oral Microorganism)

  • 최정이;정미애;정상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1-25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뽕잎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뽕잎추출물을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고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항 진균효과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다. 뽕잎을 차로 마실 경우 물의 온도가 $81^{\circ}C$ 부근에서 뽕잎의 구성 성분이 물속에 용해되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에 사용된 용매에 따라 추출된 성분 물질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IR)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2000에서 $4500cm^{-1}$의 범위에서 에탄올과 물로 추출한 물질의 경우 흡수 피크(peak)의 강도에서는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추출물질의 성분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용매에 따른 추출물질의 양은 물로 추출한 경우에 비하여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가 좀 더 많은 양의 물질이 추출되어진다는 것을 IR 특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뽕잎의 물과 에탄올에 의한 추출물에서는 S. mutans JC-2에 대한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S. epidermis ATCC 12228와 S. aureus ATCC 29213에서 최소억제농도가 $3,200{\mu}g/ml$으로 미약하게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C. albicans KCTC 1940은 $1,600{\mu}g/ml$로 항진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같이 뽕잎 추출물은 구강미생물에 대하여 미약하지만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두충 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활성 비교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DNA Damage Protective Effect in Cortex Extracts of Eucommia ulmoides by Roasting)

  • 이영민;김인숙;김재곤;박서현;임병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9-270
    • /
    • 2019
  • Background: Eucommia ulmoides has long been used as an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other diseases in many Asian countries.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its water (EU-DW, and REU-DW) and ethanol (EU-EtOH, and REU-EtOH) extracts, as well as those of non-roasted E. ulmoides (EU) and roasted EU (REU) cortex. The following were assessed in each extrac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DNA damage prevention activity, and nitric oxide (NO) inhibition activity. Both EU and REU extracts showed high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dose-dependent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high reducing activity, and considerable DNA damage prevention activity. EU extracts showed remarkable ABTS free radicals scavenging capacity. REU extracts showed a higher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hibiting NO produ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EU and REU possess antioxidant capacities, and prevent oxidative damage to DNA, probably owing to their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Therefore, EU and REU could be candidates antioxidant supplements.

B16F10 세포에서의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활성 검증 (Whitening Effect of Abelmoschus esculentus on Melanoma Cells (B16F10))

  • 유단희;이인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85-492
    • /
    • 2021
  • 본 연구는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tyrosinase의 효소 억제 활성으로 측정한 결과, 최종 농도인 1,000 ㎍/ml 농도에서 22.2%, 32.8%의 저해활성 효과를 보였다. 세포 차원에서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오크라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MTT assay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00 ㎍/ml 농도에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농도 이하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억제 효과를 5, 10, 50, 100 ㎍/ml의 농도에서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오크라 열수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TRP-2 인자들은 각각 88.1%, 24.8%, 62.2%, 42.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오크라 70% 에탄올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TRP-2 인자들은 각각 65.3%, 58.3%, 66.2%, 65.3%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개암종실(種實)의 가공적성(加工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개암종실(種實) 탈지박(脫脂粕)의 단백질(蛋白質) 분리(分離) 및 분리단백질(分離蛋白質)의 특성(特性)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Hazel Nut - Separation of Protein from Defatted Hazel Nut Meal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tein Isolates -)

  • 윤한교;금종화;이종수;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231-237
    • /
    • 1981
  • 개암종실(種實)중의 단백질(蛋白質)을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을 억디 위하여 탈지박(脫脂粕)으로부터 단백질(蛋白質)을 추출(抽出)하여 침전(沈澱)으로 분리(分離)하고 분리단백질(分離蛋白質)의 아미노산 조성(組成)과 전기영동(電氣泳動) pattern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탈지박(脫脂粕)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54.6%로서 높은 영양가가 인정되었다. 2. 탈지박(脫脂粕)의 염용해성단백질의 추출율(抽出率)은 2.5M $MgCl_2$에 있어서 53.0%, 1.0M NaCl에 있어서 31.5%이었다. 3. 개암단백질(蛋白質)은 용해도(溶解度)에 따라 염용해성 globulin 53.0%, 수용성(水溶性)albumin 14.0%, glutelin 29.5%로 분류(分類)되어졌다. 4. 추출(抽出)된 단백질(蛋白質)의 침전율(沈澱率)은 pH5.5에서 85%이었으며 ethanol과 acetone의 농도를 60~70%로 하였을 때 90%의 단백질이 분리(分離)되어졌다. 5. 전기영동(電氣泳動)에 의하여 물과 0.01M NaCl로 추출된 단백질(蛋白質)은 3개의 band, 0.027N NaOH와 1M NaCl에 있어서는 6개의 band가 나타났다. 6. 개암종실탈지박(種實脫脂粕)과 분리단백질(分離蛋白質)이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acid, arginine, aspartic acid이었다.

  • PDF

LC-MS/MS와 GC-MS를 이용한 세신 추출물 중 7종 성분의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even Marker Components in Asarum sieboldii using the LC-MS/MS and GC-MS)

  • 서창섭;신현규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0-361
    • /
    • 2013
  • Asarum sieboldii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fever, pain, common cold, and chronic sinusitis in Korea. 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ntification analysis of seven major constituents including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alpha}$-asarone, ${\beta}$-asarone, elemicin, methyl eugenol, and safrole in the 70% ethanol extract of Asarum sieboldii and its solvent fractions, n-hexane, ethylacetate, n-butanol, and water ones using a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UPLC-ESI-MS)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GC-MS). Regression equations of seven components were acquired with $r^2$ values >0.99. The values of limit of detection(LOD) and quantification(LOQ) were 0.1-3.9 ng/mL and 0.3-11.7 mg/mL, respectively. The amount of the seven compounds in Asarum sieboldii were not detected -143.66 mg/g. The established LC-MS/MS and GC-MS methods will be helpful to improve quality control of Asarum sieboldii.

Effects of the Antitumor Component, F-D-P, Isolated from Elfvingia applanata on the Immune Response

  • Kim, Young-So;Ryu, Ku-Hyun;Mo, Young-Keun;Lee, Chong-Kil;Han, Seong-Sun
    • 생약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99호
    • /
    • pp.348-355
    • /
    • 1994
  • An antitumor component, F-D-P, was purified from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carpophores of Elfvingia applanata by precipitation with ethanol, dialysis, and passage through a column of DEAE-cellulose ion exchange. F-D-P inhibited the growth of Sarcoma 180 in mice showing the tumor inhibition ratio of 88.3% in doses of 20 mg/kg for ten days. Chemical analysis of F-D-P showed that it was composed of polysaccharide(65.3%) and protein(6.5%0, and that the monosaccharides consisting of the polysaccharide was glucose(89.1%) and mannose(10.9%).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F-D-P were explored by determining its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the whole and subpopulations of lymphocytes, and on the generation of natural killer(NK) cell activity in vitro. F-D-P was mitogenic to total lymphocytes and B cells, but not to purified T cells, even in the presence of accessory cells. F-D-P did not increase NK cell activity when added to cultures of resting lymphocytes. From these results, it is clear that F-D-P modulates primarily the humoral immune responeses.

  • PDF

RP-HPLC를 이용한 감초에서 Glabridin의 분리 (Separation of Glabridin from Licorice by RP-HPLC)

  • 정용안;이광진;권문주;노경호
    • KSBB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408-411
    • /
    • 2003
  • 피부미백효과 및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glabridin은 감초뿌리 (Glycyrrhiza glabra)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서 추출 및 HPLC에 의한 분리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매에 따른 추출정도를 알기위하여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등 4가지 용매로 1시간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HPLC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의 추출용매가 1260.0 mg/k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순으로 나타났다. HPLC의 역상 컬럼에서 이동상의 조성을 아세토나이트릴/물 (50/50, vol. %)으로 사용했을 때 체류시간은 20.3분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시험용액을 LC/MS로 확인하였다.

생약의 수치(修治)에 따른 약호연구(제2보) : 지모(知母)의 진정, 수면효과 및 장관평활근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Efficacy of Crude Drug by Processing (II): Sedative Action, Prolonged Effect of Sleeping Time and Effects on Ileum-Smooth Muscle of Anemarrhenae Rhizoma)

  • 설수용;조영환;노영수;홍남두;김신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6권1호
    • /
    • pp.18-23
    • /
    • 1986
  • Anemarrhenae Rhizoma has been clinically used as a sedative drug in oriental medicine. We observed the sedative action and effect on the movement of isolated-ileum with each water extract of Anemarrhenae Rhizoma (F-I), saline solution treated preparation (F-II) and 25% ethanol treated preparation (F-III).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Sedative actions were recognized with F-I, F-II and F-III. 2) Prolonged effect of sleeping time was recognized significantly with F-I, F-II and F-III. 3) Each fraction of Anemarrhenae Rhizoma showed the released action on the isolated-ileum of the mouse, rat, rabbit and guinea pig, and antagonic action against contraction induced by acetylcholine, barium chloride and histamine. Thus the mechanism in the released action of the smooth muscle was partly considered as the direct dependence of the smooth muscle.

  • PDF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 및 essential oil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and Essential Oil from Pinus densiflora on Skin Pathogens)

  • 박선희;김꽃봉우리;김민지;최정수;조영제;안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6-651
    • /
    • 2017
  • 본 연구는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을 피부염 유발 균주에 적용함으로써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먼저 paper disc 법을 이용하여 항균 및 항진균 실험에서 송엽, 송절 및 송화 에탄올 추출물은 대부분의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물 추출물은 모든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송엽 및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이 T. rubrum을 제외한 모든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송화 70% 에탄올 추출물은 C. tropicalis와 P. acens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보였다. 소나무 essential oil의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C. albicans, C. tropicalis, T. rubrum에 대해 1.5~3 mm 정도의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나무 부위별 70% 에탄올 추출물에 활성을 나타내었던 피부염 관련 균주 6종에 대한 최소생육 저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송엽 70% 에탄올 추출물은 C. tropicalis 및 P. acnes에 대하여 0.002%와 0.0063%의 낮은 농도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고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은 0.003% 농도에서 P. acnes의 생육을 억제하여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소나무 essential oil의 최소생육 저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0.025% 농도에서 C. albicans와 C. tropicalis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엽 essential oil은 C. albicans, C. tropicalis, T. rubrum에 대해 항진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나무 부위 중 송엽과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뛰어났으며, 특히,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이 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에 대해 더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나무 송절과 송엽 에탄올 추출물과 essential oil은 Candida 속과 P. acnes에 대한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나 이와 관련한 피부질환 개선에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