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water (3:1) extract

검색결과 660건 처리시간 0.024초

볶음귀리의 추출물 종류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 및 항산화 효능 분석 (Evalua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oats in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 이지혜;이병규;이병원;김현주;박지영;한상익;이유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1-116
    • /
    • 2018
  • 본 연구는 볶음 귀리의 항산화 효능이 최적화된 추출물 제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분석과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품질 특성 분석결과 볶음 귀리는 폭과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볶음 온도에 따라 명도가 낮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주요 항산화 성분인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250^{\circ}C$, 30분 볶음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메탄올, 발효주정, 물 추출물에서 각 134.7, 13.9, 38.7 mg GAE/g 이였다. 귀리의 주요 활성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200^{\circ}C$, 15분 볶음 메탄올 추출물에서 $266{\mu}g/g$으로 가장 높았고, 같은 조건의 발효주정 추출물에서는 $26.8{\mu}g/g$, 증류수 추출물에서는 불검출 되었다.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는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능 실험에서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메탄올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50^{\circ}C$, 30분 볶음조건에서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은 18.8 mg TEAC/g, ABTS 라디칼 제거 활성은 33.4 mg TEAC/g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에 직접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에서도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ROS 제거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귀리의 볶음 공정은 화학적, 물리적 특성 변화에 따라 색, 향미, 조직감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항산화 효능이 증대되어 건강제품개발 및 볶음차 등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흑목이 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로부터 흑갈색 색소 성분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Brownish Dark Colored Compounds from the Hot Water Extract of Auricularia auricula Fruit Body)

  • 김현민;허원;임건빈;이신영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2호
    • /
    • pp.138-146
    • /
    • 2009
  • 흑목이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열수추출에 의해 흑갈색 색소를 함유한 조다당(crude polysaccharide)을 분획하였고, 이 조다당 분획의 흑갈색 색소 성분을 탈색 제거하기 위해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공정을 검토하였다. 흡착 평형은 10분 이내의 빠른 시간에 도달하였으며, 최적의 흡착 조건은 pH 7.0 및 온도 40$^{\circ}C$에서 조다당 용액 1 mL당 활성탄 16.7 mg을 첨가하였을 때 얻어졌다. 이 때의 최대 흡착효율은 약 80%이었고, 색소 성분의 제거로 다당은 정제되어 1.25배의 정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활성탄에 의한 색소의 등온흡착은 Langmuir 등온식에 따랐으며, 흡착속도는 2nd order model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또, 흡착은 확산을 통해 조절되는 물리적 흡착공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흑목이 버섯 조다당으로부터의 활성탄에 의한 색소흡착 공정은 그동안 보고된 바 없으며, 경제적이고 간편하여 향후 흑목이 버섯 조다당의 색소 제거와 정제 및 이에 의한 다당 정제공정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온 초음파 추출에 의한 Spirulina maxima 면역활성 증진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y of Spirulina maxima by Low Temperatur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 오성호;한재건;하지혜;김영;정명훈;김승섭;정향숙;최근표;박욱연;강도형;이현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13-319
    • /
    • 2009
  • 본 실험은 해수에서 배양된 Spirulina maxima를 $100^{\circ}C$와 초음파 병행 $60^{\circ}C$ 물 추출물, $80^{\circ}C$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AOAC법에 의한 일반 조성 및 무기질, 아미노산 조성 분석결과 조 단백질과 무기질 중 나트륨이 각각 56, 60%의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다양한 균주의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중 피부와 관련된 leucine의 함량이 9.83%로 상대적으로 풍부하여 S. maxima 피부면역 활성 증진에 효율적인 소재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면역과 인체 면역과의 밀접한 상관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T 세포와 B 세포의 생육증진 및 cytokine의 분비량 측정과 NK 세포의 활성 및 항염증 효과인 hyaluronidase 저해 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정상세포(HEK293)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 인체에 큰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S. maxima를 추출조건에 따른 면역 증진 효과를 비교한 결과 $60^{\circ}C$ 초음파 병행 물 추출물이 면역 B세포와 T세포에서 각각 $11.3{\times}10^4$ cells/mL, $12.8{\times}10^4$ cells/mL으로 6일째 가장 높은 생육도를 보였다, 이러한 면역 세포들이 분비하는 cytokine(IL-6, TNF-${\alpha}$)의 분비량은 가장 높은 생육도를 보인 $60^{\circ}C$ 초음파 병행 물 추출물을 첨가한 B세포, T세포의 경우 IL-6와 TNF-${\alpha}$는 유의적으로 증가된 분비량을 보이며, 면역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B세포에 각 시료를 첨가하여 배양 후 그 배양액을 NK 세포에 첨가하였을 때, 6일 동안 생육도를 관찰하였는데 시료에 대한 생육도가 증가하며, 6일째 $12.40{\times}10^4$ cells/mL를 나타내어 $11.49{\times}10^4$ cells/mL를 나타낸 대조군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로써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항염증 효과의 hyaluronidase 저해 활성 효과에서 $60^{\circ}C$ 초음파 병행 물 추출물이 1.0 mg/mL 농도일 때 62.4%의 저해 활성을 보여 $100^{\circ}C$ 이상의 고온 추출에서 야기되는 단백질이나 미립자 활성 물질의 파괴가 최소화되고 저온 초음파 추출 시 유용성분들의 용출량 증가와 새로운 물질들의 생산 혹은 활성변형에 의한 추출을 통해 인체면역과 피부면역 활성 증진에 활용이 가능한 효율적인 소재화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이로써, 본 연구 논문은 S. maxima의 물질 분리보다 피부면역관련 활성을 통한 소재로서의 탐색이 주목적이므로 향후 이 추출물의 분리, 동정을 통해 피부 면역 활성도에 따라 물질의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를 보이고자 한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균사체 액체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로부터 항염증 활성다당 분리 (Anti-Inflammatory Active Polysaccharide from Postbiotics of Cordyceps militaris Mycelium-Liquid Culture)

  • 김연숙;신현영;김훈;정은진;김현경;서민근;서형주;유광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16
    • /
    • 2023
  •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ubmerged culture using Cordyceps militaris mycelium, culture-including mycelia was extracted and lyophilized into postbiotics (hot-water extract; CM-HW). HW was fractionated into crude polysaccharide (CM-CP) by ethanol precipitation, and CM-CP was further dialyzed into CM-DCP by dialysis with running water using 12~14 kDa dialysis tube. When the cytotoxicity of subfractions against cells was assessed, no subfraction had a cytotoxic impact that wa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s. In an inflammatory model using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M-DCP significantly decreased IL-6 and MCP-1 production levels compared to the LPS-control group. CM-DCP also inhibited IL-6 and IL-8 secretion in HaCaT keratinocytes stimulated with TNF-α and IFN-γ. In the meanwhile, the neutral sugar content and mannose ratio of anti-inflammatory CM-DCP were higher than the other fractions, and CM-DCP contained β-1,3/1,6-glucan of 216.1 mg/g. High pressur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revealed that CM-DCP contained molecules with a molecular weight range of 5.6 to 144.0 kDa. In conclusion, postbiotics of C. militaris mycelium significantly promoted anti-inflammatory activity, suggesting that neutral polysaccharides including Glc and Man contribute to the anti-inflammation in RAW 264.7 or HaCaT cells.

추출용매에 따른 오레가노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유지산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oregano seed solvent fraction)

  • 이현종;김민아;홍성실;김미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2-18
    • /
    • 2021
  •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오레가노 종자를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로 분획하여 시험관 내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180℃로 산화된 옥수수 기름에 적용하여 유지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92.3%으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이 53.9%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FRAP 환원력은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6,130 µ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페놀함량은 FRAP 환원력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오레가노 종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70 µ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분획물 중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오레가노 종자 분획물간 헤드스페이스 산소 함량은 80분 이상 산화가 진행되면서 오레가노 종자 헥세인, 에틸 아세테이트, 80% 에탄올 분획물을 첨가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25, 1.05, 1.02배 많은 산소함량 차이를 보였다. 유지의 일차 및 이차 산화생성물을 평가한 CDA, ρ-AV의 실험결과 CDA가는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첨가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conjugated dienes 생성이 1.5배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 ρ-AV의 결과 또한 CDA가와 마찬가지로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첨가한 유지 시료의 이차 산화물 양이 대조군에 비해 1.26배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오레가노 종자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GC 분석 결과 주요 휘발성 성분은 카바크롤, 타이모퀴논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레가노 종자의 항산화 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분획물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오레가노 종자가 가지고 있는 향기 성분 속 항산화물질이 실험에서 사용한 다른 용매들 보다 에틸 아세테이트 속에 다량 용출되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며,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속에 포함된 테르펜 및 폴리페놀 등의 물질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향후 오레가노 종자를 천연항산화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용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팽화 홍삼으로부터 20(S)-Ginsenoside Rg3와 Rg5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of 20(S)-Ginsenoside Rg3 and Rg5 from the Puffed Red Ginseng)

  • 안영은;조진경;백남인;최성원;허남윤;박석준;김병용;백무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팽화홍삼으로부터 용매추출, 용매분획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두 화합물의 결정특성, 녹는점, 비선광도, Infrared spectrum 분석 결과, TLC에서의 Rf값, HPLC에서의 retention time 및 NMR 데이터를 측정하여 고찰한 결과 두 개의 화합물은 20(S)-ginsenoside Rg3와 ginsenoside Rg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H$- 및 $^{13}C$-NMR 데이터를 HSQC 및 HMBC와 같은 2D-NMR 실험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동정하였다.

무청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구경형;이경아;김영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0-395
    • /
    • 2008
  • 건조 무청을 물,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로 추출한 물질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조 무청의 추출물 수율은 브랜칭하지 않은 건조 무청인 관동 무청(DRLK)은 $26.56{\sim}32.56%$이고, 미농단백 무청(DRLM)은 $34.34{\sim}36.90%$였다. 반면에 브랜칭한 무청군 수율은 $18.70{\sim}23.56%$로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보다 수율이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브랜칭한 무청 시료는 $49.06{\sim}59.37mg/g$ 범위였고, 브랜칭을 하지 않은 시료는 $53.41{\sim}62.08mg/g$이었다. 시료에 따라서는 관동 무청시료(DRLK, BDRLK)보다 미농단백무 시료(DRLM, BDRLM)가 약간 더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는 80% 이상의 활성을 보였고,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36.63{\sim}51.17%$ 범위의 활성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38.53{\sim}45.38%$의범위의 활성을 보인 반면 브랜칭한 시료는 각각의 생리활성 측정에서 브랜칭하지 않은 시료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관동 무청군이 미농단백 무청군보다 전자공여능, 아질산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에 있어서 약간 높은 활성을 보였고, 브랜칭하지 않은 무청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야콘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 김아라;이재준;정해옥;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8
    • /
    • 2010
  • 야콘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야콘 분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콘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량(dry matter basis)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3.53%, 조단백질 1.13%, 조지방 0.40%, 조회분 0.79%, 식이섬유소 1.63% 및 탄수화물 92.52%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fructose가 1320.84 mg/l로 가장 많았고 glucose가 1283.70 mg/l 검출되어 총 2종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123.12 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proline, arginine, alanine, valine, histidine, lysine순이었다.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lauric acid 2종류의 지방산만 각각 51.72%와 48.28%로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oxalic acid가 2519.29 mg/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benzoic acid 1895.17 mg/l, formic acid 247.84 mg/l 순이었다. 비타민 A, C 및 E의 함량은 각각 0.057 mg%, 0.670 mg% 및 0.001 mg%로 검출되었으며, 무기질은 총 5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 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Na, Ca, Mg 순이었고 Zn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야콘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Rancimat으로 측정한 항산화지수는 pH 1.2 조건에서 분획 중 ethylacetate 분획이 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 1.83에 비해서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ethylacetate 분획이 49.82%로 분획 중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으나, 양성대조군인 BHT의 75.29%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야콘은 체내 신진대사와 생리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양소들이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야콘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이용화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해 본다.

청간해주탕(淸肝解酒湯)이 알코올 유발 간섬유화와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ungganhaeju-tang(Qingganjiejiu-tang) on Alcoholic Liver Damages by Applying Proteomics)

  • 전재현;김영철;이장훈;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69-489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ungganhaeju-tang(Qingganjiejiu-tang) on alcoholic liver damaged by applying proteomics. Materials and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alcohol) and the sample group(CGHJT +alcohol). The ethanol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for 6 weeks in the control and sample groups. Water instead of ethanol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for 6 weeks in the normal group. CGHJT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6 weeks in the sample group. The livers of each group were processed and assessed by histology, Western Blot, $Oxyblot^{TM}$, CBB and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Results : I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liver, CGHJT inhibited hepatic fibrogenesis induced by alcohol. TIMP-1 decreased in the sample group assessed by western blo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by dot blotting(p<0.05). In the $Oxyblot^{TM}$, protein oxidation induced by alcohol treatment decreased with CGHJT. In the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finding, increased proteins alcohol such as HSP 60, 60kDa heat shock protein, 3-mercaptopyruvate sulfurtransferase were normalized by CGHJT. CGHJT was considered to normalize the anti-oxidation activity elevated by alcohol. In the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finding, increased oxidized proteins such as actin, prolyl 4-hydroxylase beta polypeptide, 94kDa glucose regulated protein(GRP94), heat shock protein 90-alpha(HSC86), calreticulin precursor(CRP55), ATP synthase beta chain mitochondrial precursor, caspase-8 precursor, and dihydrolipoamide succinyltransferase(E2) decreased with CGHJT. CGHJT was considered to reduce the oxidative stress of alcohol. Conclusion : Chungganhaeju-tang(Qingganjiejiu-tang) exert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fibrosis and protein oxidation induced by alcohol treatment of rat liver. CGHJT was considered to normalize the elevated anti-oxidation activity by alcohol and to reduce the level of oxidative stress due to alcohol.

  • PDF

Spirulina platensis의 배양 및 추출조건에 따른 항암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cacer Activities from the Culture and Extraction Conditions of the Spirulina platensis)

  • 김효성;김철희;김정화;권민철;조정환;곽형근;황보영;김진철;이현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3-149
    • /
    • 2006
  • 담수 혹은 해수에서 배양한 S. platensis의 추출조건에 따른 수율을 비교하기 위해 60$^{\circ}C$와 100$^{\circ}C$에서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해수 S. platensis가 약 3% 정도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 추출물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간 정상 신장 세포(HEK293)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시료에서 1.0 mg/ml의 농도에서 26%이하의 비교적 낮은세포독성을 나타내었고, 그 중 해수 S. piatensis가 담수 S. piatensis보다 약 5% 정도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암세포에 대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4가지 암세포 주인 폐암세포(A459)와 위암세포(AGS), 유방암세포(MCF-7)와 간암세포(Hep3B)에 대해 모든 추출물에 대해 1.0 mg/ml의 농도에서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 해수 S. platensis의 60$^{\circ}C$물 추출물에서 80%이상으로 가장 높은 암세포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선택적 사멸도는 모든 암세포에서 1.5 이상으로 나타나 암세포에 대해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 혹은 해수를 사용하여 배양한 경우 해수 S. platensis가 추출 수율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간 전골수세포인 HL-60세포를 이용한 세포분화도를 측정한 결과 60$^{\circ}C$에서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해수 S. platensis에서 담수 S. platensis보다 5일째 약 20% 정도의 높은 세포 분화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