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1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Phellinus linteus as Ethano-medicinal preparation

  • Whang, W.K.;Shim, S.S.;Ham, I.;Sung, W.K.;Lee, S.D.;Park, Y.S.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0년도 NEW STRATEGY FOR DRUG DEVELOPMENT IN POST-GENOMIC ERA(대한약학회)
    • /
    • pp.243.1-243.1
    • /
    • 2000
  • PDF

Nepal Pseudo Ginseng 성분이 Toxohormone-L에 의한 체지방 분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pal Pseudo Ginseng Components on Lipolytic Action of Toxohormone-L from Cancerous Ascites Fluid)

  • 이함동;여전척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5-80
    • /
    • 1991
  • This study was divised to observe an inhibitory toward a lipolytic action of toxohormone-L from large root and small root Nepal pseudo ginseng(NPG ; Nepal products) components by water extract and ethanol precipitate in vitro. Toxohormone-L Is known to be a lipolytic factor that was partially purified from the ascites fluid of sarcoma 180-hearing mice and of patients with hepatoma. The inhibitory effect that inhibited the lipolytic action of toxohormone-L by ethanol precipitate component of large root NPG(mean 46.8%) was higher (mean 1.8 times) than that of water extract component in final reaction concentration ,5001g1m1, on the other sid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component in small root NPG(mean 43.9%) was higher(mean 1. 2 times) than that of ethano1 precipitate component, respectively. In a way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precipitate component in large root NPG(47.6%), when final reaction concentration of sample were 1,000 U g/ml, was about 4095 lower than that of Korean red ginseng, respectively.

  • PDF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PJK Isolated from Rotten Apple

  • Park, Joong-Kon;Park, Youn-Hee;Jung, Jae-Yo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2호
    • /
    • pp.83-88
    • /
    • 2003
  • A cellulose-producing strain isolated from rotten apples was identified as Gluconacetobacter hansenii based on its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the 16S rDNA complete sequencing method, and specifically named Gluconacetobacter hansenii PJK. The amount of bacterial cellulose (BC) produced by G. hansenii PJK in a shaking incubator was 1.5 times higher than that produced in a static culture. The addition of ethanol to the medium during cultivation enhanced the productivity of bacterial cellulose, plus the supplementation of 1% ethanol into the culture medium made the produced BC aggregate into a big lump and thus protected the bacterial-cellulose-producing G. hansenii PJK cells in the shear stress field from being converted into non-cellulose-producing (Cel) mutants. Cells subcultured three times in a medium containing ethanol retained their ability to produce BC without any loss in the production yield.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V. Cyclohexylethanoids from the Flower of Campsis grandiflora K. Schum.

  • Kim, Dong-Hyun;Oh, Young-Jun;Han, Kyung-Min;Chung, In-Sik;Kim, Dae-Keun;Kim, Sung-Hoon;Kwon, Byoung-Mog;Park, Mi-Hyun;Baek, Nam-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35-37
    • /
    • 2005
  • Campsis grandiflora K. Schum. flower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concentrated extract was successively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From n-BuOH fraction, two cyclohexylethanoids were isolated through repeated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Based on physico-chemical data obtained from NMR, MS, and IR, 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1,4-dihydroxy-3,4-(epoxyethano)-5-cyclohexene (1) and cornoside (2).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C. grandiflora K. Schum flower.

혼합 작동 유체를 이용한 진동 세관형 히트 파이프의 압력 진동과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ressure Oscillation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Oscillating Capillary Tube Heat Pipe Using Mixed Working Fluid)

  • 정현석;김정훈;김주원;김종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2호
    • /
    • pp.318-327
    • /
    • 2002
  • In this paper, heat transfer and pressure oscillation characteristics on oscillating capillary tube heat pipe(OCHP) according to input heat flux, mixture ratio of working fluid and inclination angle were investigated and were compared single working fluid(R-142b) with binary mixture working fluid(R-142b-Ethano1). OCHP was made to serpentine structure of loop type with 10 turns by drilling the channels of length 220mm, width 1.5mm, and depth 1.5mm on the surface of brass plate. In this study, R-l42b and R-l42b-Ethanol were used as working fluids, the charging ratio of working fluids was 40(vol.%), the input heat flux to evaporating section was changed from 0.3W/㎠ to 1.8W/㎠, and mixture ratio of working fluid was R(100%), R(95%)-E(5%), R(90%)-E(10%), and R(85%)-E(15%).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single working fluid was better than that of binary mixture working fluid. But, in case of binary mixture working fluid, critical heat flux was higher than that of single working fluid. And, the higher the mixture ratios of working fluid, the lower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case of pressure oscillation, as the inclination angle was lower, pressure wave was more irregular. These phenomena were more serious when the working fluid was binary mixture. Besides, when mixture ratio was higher, saturated pressure was increased, more irregular wave was observed and the mean amplitude was increased. For the same input heat flux, inclination angle and charging ratio, when pressure oscillation has sinusoidal wave, mean amplitude was small, and saturated pressure was low value, the heat transfer was excellent.

오탄당과 육탄당의 혼합용액에서 Pichia stipitis에 의한 에탄올 발효 (Ethanol Fermentation by Pichia Stipitis in a Mixture of Pentoses and Hexoses)

  • 정봉환;유연우서진호
    • KSBB Journal
    • /
    • 제9권4호
    • /
    • pp.395-399
    • /
    • 1994
  • Pichia stiJitis CBS5776를 이용하여 6탄당과 5 탄당을 함유한 혼합당 배지에서의 에탄올 발효 특성 을 알아 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탄소원으로 사용된 당 중 에탄올 수율변에셔는 포도당, man­n nose, galactose, xylose 순으로 5탄당보다는 6탄당 이 우수한 기절로 판명되었다. 포도당의 에탄올 수 율이 O.376g ethanol/g glucose로 제 일 높았으며, 다음으로 mannose의 에탄올 수율은 O.326g etha­nnol/g mannose이였다. Spent sulfite liquor와 같은 조성을 가진 혼합당 함유 배지에서 6탄당인 mannose, 포도당이 먼저 이용된 후 galactose와 5탄당인 xylose가 이용됨을 알 수 있었다. Arabinose가 단일 탄소원으로 존재할 경우, 일부가 균체 성장에 이용되였으나 혼합당 배지 에셔는 전혀 이용되지 못하였다. 발효 결과 최대 에 탄올 농도는 $12.2g/\ell$ 이었고, 에탄올 생산 수율은 0.332g ethanol/g sugar이었다.

  • PDF

알코올로 인한 흰쥐의 백혈구 및 간 DNA 손상에 미치는 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섭취 효과 (Ethanol Induced Leucocytic and Hepatic DNA Strand Breaks Are Prevented by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Supplementation in Male SD Rats)

  • 김정미;박해룡;이승철;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71-1278
    • /
    • 2007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독특한 향과 맛이 있는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나 경상남도 마산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해양생물이다. 한편, 과량의 에탄올 섭취는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MEOS)에 의한 에탄을 산화를 증가시켜 superoxide ion,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1-hydroxyethyl radical과 같은 활성산소종을 생성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보충투여가 과량의 에탄을 투여로 인해 유도되는 간기능 관련 지표와 간세포 및 백혈구 DNA손상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SD계 수컷 쥐를 세 군으로 나누어 6주간 25% 에탄을 용액을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면서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식이의 3%(w/w) 수준으로 보충투여하였다. 6주간의 미더덕과 오만둥이 투여는 체중증가 량, 식이 및 에탄을 섭취량, 간을 비롯한 각종 장기무게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미더덕과 오만둥이 보충투여는 총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혈장 지질 수준에는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지만, 혈장 ALT, ALP, LDH 활성 등 간기능 관련 지표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과량의 에탄을 섭취로 유도된 흰쥐의 백혈구, 간세포의 DNA손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세포 DNA 손상도는 혈장 ALP와 LDH 활성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투여는 알코올 섭취로 인해 유도된 간조직 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간의 TG와 TBARS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TP의 첨가가 간에서의 GSH함량 및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의 1일 변중의 총 지방 및 TG 배설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OVX-C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OVX-C군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난소 절제 흰쥐에서 5% GTP를 제공받은 군에 비해 20% GTP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혈액과 간에서의 지질농도 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높은 수준을 보여 GTP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난소절제 흰쥐에서 GTP 첨가가 변의 총지질과 TG및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켜 혈청과 간의 총 지질 농도와 TG및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GTP의 섭취가 체내 총 지질 농도를 감소시켜 항 동맥경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녹차가공품의 폐경기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용적중 등 품질 평가 기준에서 차이가 없었다.50 에서는 43% 발효주에는 0.95 cm, 45% 고은 발효주에는 0.95 cm의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높게 났다. 관능평가에서는 45% 고온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항산화성 실험에 나타난 저온 45%의 갈색도의 측정과는 항산화성에서는 좀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항균성이 가장

K. fragilis에 의한 돼지감자의 에탄올 발효에 관한 연구 (Ethanol Fermentation by K. fragilis from Jerusalem Artichoke)

  • 허병기;유진선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4권1호
    • /
    • pp.48-56
    • /
    • 1989
  • K.fragilis를 이용한 돼지감자의 알콜발효에서 초기 당농도 및 초기 pH가 발효특성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최대 비성장속도($\mu$$_{max})는 초기 당농도 65g/l에서 0.40$hr^-1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2) 최대 비알콜생성속도(V$_{max})는 초기당농도 105g/1에서 1.68g/ghr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빠른 균체의 성장이 곧 빠른 생성물 생성의 조건이 아님을 뜻한다고 여겨지며, 저농도 기질에서 기질 및 생성물의 저해를 적게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3)균체(Y$_{x/s})및 메탄올수율(Y$_{p/s})은 저농도 기질인 당농도 26g/1에서 각각 0.14, 0.49로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4)알콜발효능(F)는 기질농도 26, 45g/1에서 97%로서 가장높았고, 잔당의 농도도 5g/1미만이 였다. 5)총팔에탄올생성율(Q)은 고농도 기질인 당농도 215g/1에서 2.78/ghr로서 가장 높았다. 6)효모 K.fragilis가 분비하는 lnulinase의 생성최적 p$^{H}인 5.5에서 최대 비성장속도 0.40, 최대 비알콜 생성속도 1.60, 균체수율 0.096, 에탄올수율 0.49로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Clostridium thermosaccharolyticum에 의한 에탄올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thanol Production by Clostridium thermosaccharolyticum)

  • 조은경;이윤광;변유량;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7-402
    • /
    • 1985
  • C. thermosaccharolyticum을 이용하여 xylose, glucose, cellobiose등을 각각 단일기질 및 혼합기질로 배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에탄올의 생산양상은 Leudeking-Piret모델에 따랐으며 q$_{p}$=$\alpha$ $\mu$$\beta$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단일당에서의 배양결과 glucose, xylose, cellobiose 각 당에서의 비증식속도는 0.363 h$^{-1}$, 0.242 h$^{-1}$, 0.144 h$^{-1}$로 균의 증식은 glucose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가 가장 좋았다. 에탄올 생산성은 xylose에서 가장 좋았으며, 각 당에서의 에탄올수율은 0.38g ethanol/g xylose, 0.34 g ethanol/g cellobiose, 0.242g ethano1/g glucose 이었다. glucose에서의 배양결과, 배양 12시간이후 균의 자기소화현상이 현저히 일어났으며, 다른 당에서와는 달리 에탄올 생산양상은 $\alpha$값이 음수를 나타내므로써, 균의 생육이 증가하면 오히려 에탄을 비생산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로 다른 당을 혼합하여 기질로 사용할 경우, 각 당의 이용특성은 이들을 단독기질로 배양하였을 때의 소비양상과 유사하여 각 당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자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혼합당에서의 기질소비는 glucose, xylose, cellobiose순으로 소비되었으며, 또한 에탄을 생산성은 glucose가 첨가된 경우 glucose 농도가 낮고(5g/l), glucose를 기질로 하여 균이 왕성하게 증식한 상태에서 xylose나 cellobiose를 이용하므로써 glucose만을 단독기질로 배양한 결과보다 좋았다.

  • PDF

에탄올에 대한 지방산염의 용해도 차를 이용한 EPA와 DHA의 농축방법 (Separation of EPA and DHA from Fish Oil by Solubility Differences of Fatty Acid Salts in Ethanol)

  • 한대석;안병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30-434
    • /
    • 1987
  • 알칼리 수산화물이 용해되어 있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어유를 비누화시키고 이를 냉각 여과함으로써 ${\omega}-3$고도불포화지방산 특히, EPA와 DHA가 농축된 지방산 농축물을 얻을 수 있었다. 정어리유와 농축물의 지방산 비교 분석한 결과 지방산 분자의 이중결합 수 또는 탄소사슬 길이보다는 탄소사슬 길이에 대한 이중결합 수의 비율이 에탄올에 대한 지방산 나트륨염의 용해도를 결정짖는 보다 중요한 인자라는 점을 알수 있었다. 비누화 반응의 용매인 에탄올 내의 물함량은 분리효율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는데 물함량이 낮아질수록 농축물 내의 EPA 및 DHA 함량과 이들의 수율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한편, 비누화된 용액을 결정화시킬 때의 냉각온도 및 냉각과정은 공정의 효율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고 비누화된 용액을 $10^{\circ}C$로 급속 냉각하였을때 EPA와 DHA함량이 원료 정어리유의 14.2%와 10.7%에서 각각 34.1%와 27.8%로 증가된 PUFA농축물을 84.5%의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