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anol Fermentation by Pichia Stipitis in a Mixture of Pentoses and Hexoses

오탄당과 육탄당의 혼합용액에서 Pichia stipitis에 의한 에탄올 발효

  • 정봉환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농업생물신소재연구센터) ;
  • 유연우서진호 (아주대학교 생물공학과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농업생물신소재연구센터)
  • Published : 1994.10.01

Abstract

P. stipitis CBS5776 was cultiva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thanol fermentation for hexoses (mannose, g1ucose, and galactose) and pentoses(xylose and arabinose). Glucose was the best carbon source among the sugars used in terms of ethanol yield. Glucose was used to produce ethanol with an yield coefficient 0.376g ethanol/g glucose, whereas mannose was converted to produce ethanol with an yield coefficient 0.326g ethanol/g mannose. P. stipitis CBS5776 was also grown in a mixture of sugars to study the pattern of carbon utilization. The yeast utilized glucose and mannose firsts and then galastose and xylose as carbon sources. Arabinose was partially used for biomass when it was present as a sole carbon source, but it was not metabolized at all in a mixture of carbon sources. P. stipitis produced $12.2g/\ell$ ethanol with a yield coefficient 0.332 g ethano1/g sugar in a mixture of sugars.

Pichia stiJitis CBS5776를 이용하여 6탄당과 5 탄당을 함유한 혼합당 배지에서의 에탄올 발효 특성 을 알아 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탄소원으로 사용된 당 중 에탄올 수율변에셔는 포도당, man­n nose, galactose, xylose 순으로 5탄당보다는 6탄당 이 우수한 기절로 판명되었다. 포도당의 에탄올 수 율이 O.376g ethanol/g glucose로 제 일 높았으며, 다음으로 mannose의 에탄올 수율은 O.326g etha­nnol/g mannose이였다. Spent sulfite liquor와 같은 조성을 가진 혼합당 함유 배지에서 6탄당인 mannose, 포도당이 먼저 이용된 후 galactose와 5탄당인 xylose가 이용됨을 알 수 있었다. Arabinose가 단일 탄소원으로 존재할 경우, 일부가 균체 성장에 이용되였으나 혼합당 배지 에셔는 전혀 이용되지 못하였다. 발효 결과 최대 에 탄올 농도는 $12.2g/\ell$ 이었고, 에탄올 생산 수율은 0.332g ethanol/g sugar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