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 factors(organizational agreement, task fitness, top management support, user involvement, and linkage between BPR and ERP systems) and the performance(user satisfaction) of ERP systems. The success factors of concern would show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user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57 firms that have installed ERP systems. The responding firms were asked to visit the website of the researcher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agreement and the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user involveme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user satisfac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irms adopting ERP systems need to establish the organizational agreement on the ERP system development which would be the critical factor for the successful system.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user involvement should be controlled for the successful ERP systems.
There were few empirical researches on the ERP system in spite of increasing interest on ERP system recen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framework for the marketing performance based on evaluation of ERP system used by the theoretical model for evaluation of information system and the empirical data of Korean firms. This study was empirically examined an effect of ERP system and its information quality on the use of information from ERP system. And another effect of information use from ERP system on marketing performances survey on MIS was conducted for the marketing strategy.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for verifying the relationship of above variables. And several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examined empirically from that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ERP system must be evaluated within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RP system and its information quality, the use of information from ERP, and marketing performances. Additional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founded the fact that ERP system and its information quality are important as elements of successful ERP system.
최근 들어, 중소기업에서의 기업자원관리시스템 구현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서의 기업자원관리(ERP) 소프트웨어 품질, 벤더의 지원, 사용자 정보 만족도 및 ERP 구현 성과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연구를 통하여 ERP 소프트웨어 품질과 벤더의 지원이 중소기업에서의 성공적인 ERP 구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내부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기업의 ERP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패키지 소프트웨어 품질과 벤더의 지원에 대한 의존성과 중요성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전사적 자원 관리 또는 기업 통합 정보시스템으로 해석되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이 최근 들어 널리 확산되고 있으며, 향후 그 정도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ERP에 관한 지식을 가진 인력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상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업무 흐름과 ERP를 통해 처리될 때의 과정을 업무프로세스, 사용자 화면 및 동영상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시스템은 크게 ERP 개요, ERP 사용법, 비즈니스 프로세스, 적합화(Customization)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Web 환경에서도 쉽게 사용될 수 있도록 수정될 경우 교육의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ERP 시스템은 기업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생산 판매 물류 회계 인사 등 기업의 기간 업무를 조직적 횡단적으로 파악하고, 경영 자원의 활용을 전사적으로 최적화하려는 계획 관리를 위한 경영 개념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RP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얻는 이점으로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각종 재무, 생산관련 자료를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으로 의사결정의 일관성 및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통한 보관 및 유통비용의 최소화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ERP 시스템을 고려하고 최신 웹기술을 고려하여 웹환경 ERP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여 고객의 불만해소와 업무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 절감등의 주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1990년대 이후 많은 기업들은 ERP를 도입하여 조직의 업무 전반을 통합시키고 실시간으로 업무를 처리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이고 경영성과를 크게 개선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ERP 시스템을 도입하면 기존의 업무 수행절차와 방법 대신 ERP 패키지가 제공하는 표준 업무 프로세스와 시스템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기업 경영의 관리방법을 획기적으로 바꾸어야 한다. 조직의 ERP 도입이란 이처럼 기존의 업무 수행 절차와 방법 대신 ERP 패키지가 제공하는 프로세스와 기능을 기업 내 업무기능에 적용하여야 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혁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조직 변화를 필수적으로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ERP 구현을 위해서는 기업이 처한 경영환경과 ERP 도입 목적에 적합한 구축 방법을 선택하고 변화관리 이행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ERP를 구축하는데 어떠한 조직적 환경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ERP 구축 방법에 따라 변화관리의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며, 변화관리가 ERP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후, 이를 근간으로 점진적, 혹은 혁신적인 구축방법을 통하여 ERP를 구축한 기업들의 환경적 특성과 도입 프로세스, ERP구축 방법에 따른 변화관리 특성 및 ERP성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ERP구축방법은 ERP 구축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ERP 구축방법에 따라 변화관리 특성이 달라져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변화관리 방법 중에서도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과 현업 직원의 적극적인 참여 및 전사적인 커뮤니케이션은 ERP 구축방법과 관계 없이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ERP 구축과정에 있어 변화관리 활동은 ERP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파악하였다. 본 연구로 얻은 시사점은 ERP를 구현하고자 하는 많은 국내 기업들이 자사의 환경에 적합한 ERP 구축 방법을 선정하고 적합한 변화관리 방법을 전개하여 보다 성공적인 ERP 구축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의 또는 부문에서 구축된 각 정보시스템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통합의 필요성이 증대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필요에 의해 제기된 것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이다. 급변하는 기업의 내${\cdot}$외부 환경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ERP 시스템을 도입하는 기업들의 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ERP 원가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그 범위가 한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ERP 도입 현황 및 원가관리시스템의 도입${\cdot}$설계현황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중소기업의 ERP 원가관리시스템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소기업에서 ERP 원가관리시스템을 도입할 때는, 원가관리시스템의 특성과 구축 목표, 구조 설계, 원가대상 설정 등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성공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ERP 원가관리시스템 특성 분석단계에서는 원가정보를 구성하는 내용의 충실성뿐만 아니라 정보가 전달${\cdot}$제공되는 범위와 대상의 적합성과 함께 그 표현의 형식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ERP 원가관리시스템 구축목표 설정단계에서는 인가관리정보의 산출요건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목표설정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셋째, ERP 원가 관리시스템 구조 분석 및 선계단계에서는 생산관리시스템 및 원가대상 설정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ERP 원가관리시스템 구현단계에서는 원가관리시스템과 타 계열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원가관리시스템의 구현 시에는 관련시스템에서 어떠한 정보론 인터페이스 받을 것인가를 명확히 하여 시스템 가동 시에 타 관련시스템과 원활한 연계가 되도록 함으로써 전사적 종합시스템이 되도록 하여야 학 것이다.RS와 제진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성능평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운전결과 및 경험은 향후 상용설비를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할 것이다.X>, 그리고 입원기간은 $21.6\pm14.3일(13\~56)$이었다. 수술 후 평균 CK-MB는 $11.3\pm14.1ng/mL$였다. 수술 후 조기 혈관 개존율은 $100\% (24/24)$였다. 모든 환자에서 완전 추적이 가능하였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20.4\pm15.2개월(5\~43)$이었다. 이 기간 중 사망환자나 흉통이 재발한 환자는 없었다. 걸론: 80세 이상 고령의 환자에서 OPCAB은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고령의 환자에서도 관상동맥우회술의 적응증이 되면 적극적으로 수술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수술방법은 OPCAB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서 실용적 개발의 가능성을 보였다.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Dimethoate처리$(30^{\circ}C,\; 0.2\%$액에서 24시간)에 의하여 볍씨의 호흡량이 감소되었다. 9) 산소호흡량과 평균발아소요일수와는 $\gamma=-0.945$로 부의 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산소호흡량이 많은 품종은 평균발아소요일수가 짧은 경향을 보였다. 10) 볍씨의 산소호흡량과 Dimethoate 처리에 의한 볍씨의 발아저해도와는 $\gamma=-0,771$의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산색호흡량이 많은 품종이 발아저해도가 낮고 적은 품종에서는 높았다. 현재까지는 그 활동이 11.2년의 주기성을 보여주지만 그 이전에 있어서는 그 활동이 극히 약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매우 불규칙하다는 것이 Schneider와 Mass(1975)에 의해 밝혀졌다. 결국 1710년대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있어서 벼멸구와 흰
본 연구는 ERP software를 이용한 회계교육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ERP 회계교육의 하위변수인 정보특성, 개인특성, 시스템 특성이 교육만족도의 하위변수인 성과, 이해, 기능,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 활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1.0이다. ERP 회계교육의 하위변수인 정보특성, 시스템특성, 개인특성이 교육만족도의 하위변수인 이해, 기능, 업적,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ERP 회계교육이 이해(p<.001)와 기능(p<.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이해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요인별로 ERP 회계교육의 정보특성과 개인특성은 이해(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ERP 회계교육의 개인특성은 기능(p<.05)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ERP 회계교육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ERP 회계교육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경영관리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는 전략적 차원에서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널리 구축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공기업의 구축에서의 핵심성공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공기업, KOGAS의 ERP시스템 구축 사례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관리가 잘 되고 기관장의 의지가 높을 수록 비용 및 시간 감소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시스템 관리가 잘 되고 사용자의 참여 수준이 높으며 기관장의 의지가 높을수록 경영과 정보환경 개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ERP시스템의 구축은 학자마다 여러 단계를제시하고 있으나 아무리 구체화된 계획을 가지고 출발하더라도 ERP시스템를 구축하다 보면시스템을 사용하기도 전에 여러 가지 문제점과 장애물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ERP를 구축하는 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제 컨설팅회사의 벤치마킹의 자료를 근거로 3가지 쟁점에서 나타나는 12가지의 변인을 가지고 ERP프로젝트의 단계별 모델을개발 제시하였다. 여기서 실제사례의 주요 내용을 6단계 기준에서 분석하고 나아가 전 과정을 집행하기 전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몇 가지 주요 기준과 선택적 요인을 기술하며 나아가 단축되고 빠른 방법의 단계별 모델도 축소화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