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stemological analysi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Tectonic`과 Carlo Scarpa 건축(建築)에서의 디테일에 대한 존재론적(存在論的) 이해(理解)에 관한 연구(硏究) -Heidegger의 실존(實存) 현상학적(現象學的) 사유방식(思惟方式)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Ontological Apprehension of 'Tectonic' and Architectural Details in Carlo Scarpa's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way of thinking through Heidegger's existential phenomenology -)

  • 이상진;변태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1호
    • /
    • pp.49-64
    • /
    • 2002
  • The recently published papers and essays regarding 'tectonic' bring us to rumination of its importance on comprehending modern architectural process. Many architectural theorists may seem to seek the substance of architecture through the discussion of 'tectonic'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dilemma of representation which can be easily found in modern architectural forms. Their emphasizing on its double-faced aspect as the manner of representation, that is semantic and aesthetic, may imply the significance of philosophical approach especially to the recent architectural phenomena. From this point, it ought to be meaningful to manifest etym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s with semantic analysis and interpret the substance and ontological meaning of 'tectonic' referring Martin Heidegger's existential philosophy. Besides the works of Carlo Scarpa, that are known as the art of making, are exampled to prove the way how the ontological meaning of practical act is exposed on an artwork. The idea of 'tectonic' connotes not only technological aspect as construction of form and space, but also ontological aspect as joint or detail, that is the result of logos. The 'tectonic' means etymologically 'joint' having double-meaning structure, technology and aesthetics. It means 'detail' as minimum units of architectural form and as sites where making relationship or connection takes place in the way of ontological apprehension. The 'detail' as the place of innovation and invention implies the culture of an area, and expresses craftsmanship, which modem architecture buries in oblivion. This study aims to deviate from the aesthetical commercialization in which the modern architecture tends to fall, and further, propose the possible way to succeed traditional locality in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 PDF

중등 학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 소원주;김범기;우종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7-13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예비 투입을 하는 것이다. 이 조사 도구는 넓은 영역의 과학철학적 주제를 담은 24개의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도구의 진술문과 선택지는 다양한 과학철학적 관점을 분석하여 만들어졌다. 이 도구 속의 주된 과학철학적 체계는 귀납주의, 반증주의, 그리고 상대주의이다. 이를 구분할 하위주제는 구획의 기준, 과학적 변화 양상, 과학적 지식의 인식론적 지위, 그리고 과학적 방법이다. 또한 본 연구자들은 과학의 본성에 관련한 넓은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측정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개방적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참과학탐구의 특정 분석 (Analysis of Features Related to Authentic Science Inquiry Appear in Open-ended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 강은주;김선자;박종욱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647-667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개방적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참과학탐구의 특징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청주교대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여름집중교육에서 실시하는 탐구토론대회에 참가한 초등과학 영재학생 5명으로 이루어진 한 소집단을 선정하였고, 계획단계에서부터 탐구결과 정리 단계까지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수행 과정을 녹음 녹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참과학탐구의 인식론적 측면과 인지과정 측면의 특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학생들의 개방적 탐구 활동에서는 참과학탐구의 인식론적 특징인 이론 의존성과 지식의 사회적 구성이 나타났다. 학생들은 탐구 과제의 이해 및 실험 설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때 사고 실험이나 과학적 개념에 대해서 자주 언급했다. 또한 인지과정 측면에서는 연구 설계 부분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주로 변수선택, 과정 계획, 변수 통제, 측정 계획 등에서 참과학탐구와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포스트휴먼 감수성 함양 교육을 위한 미술작품 사례분석 (Case study Analysis of Art works to foster Post-Human Sensitivity Education)

  • 이예슬;허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85-194
    • /
    • 2020
  •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포스트휴먼적 존재들의 등장은 인간중심적인 근대 휴머니즘에서 탈피하여 인간 아닌 존재들과의 새로운 관계에 대한 성찰의 필요하다는 인식론적 변화를 야기했다. 이러한 성찰을 위해서 주변 세계를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포스트휴먼 감수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감수성 함양을 위해 포스트휴먼 시대를 사유하고 경험할 수 있는 미술작품 사례를 포스트휴머니즘 연구자인 브라이도티가 제시한 '동물-되기', '지구-되기', '기계-되기' 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미술작품은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있기에 포스트휴먼 시대를 성찰하고 체험해 볼 수 있는 텍스트라는 긍정적인 측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감수성 함양을 위해 미술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술작품들을 제시하여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인식론 및 존재론적 관점에서 두 유형의 산·염기 모델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지 수준 분석 (Analysis of Chemistry Teachers' Cognitive level related to Two Types of Acid-Base Models based o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viewpoint)

  • 류은주;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5호
    • /
    • pp.267-27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두 유형의 산-염기 모델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지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모델이 가지는 '이그노런스'를 분석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교사들의 인지를 알아보는 설문을 개발하였다. 설문은 두 모델에 대한 불일치 상황을 제시한 산과 염기 반응에 관련된 문항과 산과 염기 해리와 관련된 문항 등 2문항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15명의 화학 교사들이었으며, 설문 분석 결과, 4가지 수준으로 교사의 인지가 분석되었다. 4가지 수준은, 모델을 모르는 경우, 한 모델만 이해하는 경우, 두 모델을 이해하고, 한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지각하는 경우, 두 모델을 이해하고 두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지각하는 경우였다. 가장 큰 비율의 교사들은 두 모델을 이해하고, 한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지하는 경우였다. 그러나 두 모델을 이해하고 두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지각하는 경우의 비율은 매우 적었다. 이를 통해 모델과 '이그노런스'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지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특수체육에서 질적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 질의 평가 (Qualitative Research: The Theory to the Practice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 이서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91-301
    • /
    • 2021
  •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시작하는 초보 연구자들을 위해 질적 연구의 기본적인 배경 학적 이론과 방법의 틀을 제시하고, 특수체육에서 질적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첫째, 질적 연구의 기본이 되는 인식론의 이해를 설명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자료 수집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셋째, 질적 연구에서 자료 분석 방법과 타당성 확보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체육 영역에서 활용되는 질적 연구 질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 내외 특수체육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고 그 중요성 또한 계속 강조되고 있다. 질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참여자들을 관찰, 이해, 분석 그리고 해석하는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의 본질적인 이해와 연구 방법론의 습득이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인 질적 연구의 질의 평가로 좀 더 깊이 있는 질적 연구의 결과물이 특수체육 분야에 적용돼야 할 것이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교육 분야 적용 연구 분석을 통한 과학교육 연구 기여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tential of Actor-Network Theory (ANT)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Studies Applying ANT)

  • 하윤희;임성은;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1-35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 과학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외의 교육 분야의 연구에서는 어떻게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해왔는지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분야에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한 교육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 접근방식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교육 방법이나 관점을 구성하기 위한 인식론적 관점으로 활용하거나 둘째, 비인간의 행위성을 인식하는 존재론적 관점으로 활용하거나 셋째, 교육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 또는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교육 연구에의 기여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새로운 이론적 관점으로써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 과학교육의 실천과 연구에 있어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들뢰즈의 '되기' 운동으로 바라본 고등학생들의 천체 관측 활동 경험 (The Experi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Seen through the Movement of Deleuzian "Becoming")

  • 홍석영;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7-156
    • /
    • 2024
  • 과학 실천은 학습 소재에 해당하는 대상이나 관찰과 측정을 위한 도구와 같은 '이질적인 것'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과정이다. 최근 전공 교과에 대한 과학 실천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천체 관측이라는 지구과학 교과의 특유한 과학 실천을 새롭게 들여다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천체 관측을 경험한 학생들과 수많은 물질들이 만들어 낸 의미를 '-되기'의 경험으로 바라보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A고등학교의 천체 관측 활동에 참여하는 17명의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 일지, 사진 자료 등을 수집하고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황 분석 방법을 재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학생들의 존재-인식론적 '-되기'의 과정으로 1) 반복을 통해 새로움을 발견하는 과정, 2) 천체 관측 활동의 정동을 전달하기 위한 '설명 기계'가 되어가는 과정, 3) 안정적인 영토를 벗어나 문턱을 넘는 과정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교육과 교육 연구를 위한 교사의 실천과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제언하였다.

여성 몸 이미지의 전형과 내면화 과정의 시각 체계적 상호작용 - 몸매관리산업 광고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 (Visual Interaction between the Stereotype of Women's Body Image and Its Internalization - with the Analysis of Images on the Advertising of Body-line Care Company -)

  • 이수안
    • 여성학논집
    • /
    • 제26권1호
    • /
    • pp.73-108
    • /
    • 2009
  • 후기산업사회에서 몸에 대한 관심은, 몸의 개념을 단순히 건강한 몸으로부터 스타일을 구현하는 도구로서, 개인의 품격을 드러내주는 외피로서, 그리고 자신의 정체성을 수행하는 터전으로 확장시켜 나가는데 큰 기여를 했다. 이에 따라 몸 이미지(body image)는 물질적 몸 그 자체에 못지 않게 중요한 하나의 재현으로서 존재론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 경향은 여성에 있어서 극대화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통념은 여성들의 몸 이미지의 전형을 제시하면서 이를 내면화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몸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요한 학문적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는 몸 이미지 개념은 정신, 육체, 개인과 사회의 특성에 대한 인식론적 가정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요 학문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는 몸 이미지의 이원론적 형성과정, 즉 사회문화적 전형(stereotype)화와 이 전형들이 시각 체계(the scopic regime)를 통해 주관적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의 상호 역동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 상호작용이 실제몸매관리산업 광고에 등장하는 몸 이미지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검증해보았다. 분석대상은 다국적 몸매관리업체인 M사 광고 이미지와 광고 문안, 그리고 보도자료 등 홍보 문건이다. 이 분석을 통해 한국의 몸 이미지의 전형이 서구화되어 있고 이에 남성적 응시가 다각도로 용해되어 있으며 이의 내면화가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로써 여성 몸 이미지의 건강한 생산과 확산이 여성의 주체적 노력에 의하여 이루어져야할 것이라는 당위성이 대두되었다.

문화적 역량 비판 담론에 관한 사회철학적 분석 (Social Philosophical Analysis of Critical Discourses on the Cultural Competence)

  • 김기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239-26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사회복지 이론을 이론적 도구로 하여 문화적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다문화사회의 사회복지사라면 당연히 갖추어야 할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다문화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명확히 하고 그 타당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급진적 비판 사회복지이론, 특히 푸코와 데리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계열의 비판사회복지이론에 지적 기초를 두고 있음을 밝힌다. 비판담론들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문화적 역량의 지식적 토대의 근거와 정당성을 문제시하는 동시에, 윤리적 측면에서는 문화적 사회복지실천이 가진 억압과 통제를 지적한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이 별도의 실체로서 간주될 수 있는 것으로 보기 보다는 일반사회복지의 한 가지 태도로 간주하려 한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하고 있는 이상 이들이 가진 사회철학적 한계 역시 분명하다. 이들 담론들은 사실과 규범에 대한 인식적 구별을 하지 않으며, 전문직 관계의 억압을 과도하게 철폐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상대주의나 급진적 자유주의로 흐를 수 있고,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권력적 제휴나 연합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의 실천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