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gallocatechin-3-gallate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4초

Ginsenosdie F1과 EGCG의 상승작용에 의한 자외선조사에 의한 세포 사멸 방지 (Combining Ginsenoside F1 with (-)-Epigallocatechin Gallate Synergistically Protects Human HaCaT Keratinocytes from Ultraviolet B-Induced Apoptosis)

  • Tae Ryong, Lee;Si Young, Cho;Eun Hee, Lee;Myeong Hoon, Yeom;Ih-Seo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53-261
    • /
    • 2004
  • 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하여 손상 받기 쉽다 그러한 외부적 자극 중 자외선은 피부노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손꼽힌다. 자외선 중 특히 280-320 nm의 파장을 갖는 UVB (ultraviolet-B)는 피부노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피부화상이나 피부암을 유발한다. 고설량의 자외선에 노출된 세포는 복구할 수 없는 심각한 DNA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 경우 세포사멸(apoptosis) 현상은 이러한 세포들의 죽음을 유도하여 이들이 종양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세포손상 정도에 따라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거나 막는 것이 암 발생을 억제하면서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세포 사멸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단백질로 알려진 것이 Bcl-2이다. Bcl-2는 피부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그 발현이 급격히 감소되며 이를 통해 피부세포가 사멸한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시에 Bcl-2의 발현감소를 막을 수 있다면 피부세포의 사멸을 막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여 노화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Fl(20-O-$\beta$-D-글루코피라노실-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과 녹차의 주요 효능 성분인 EGEG ((-)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자외선조사에 의한 피부세포사멸을 억제하여 그 손상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즉, 진세노사이드 Fl과 EGCG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에는 효과가 없는 낮은 농도의 두 화합물을 동시에 처리하게 되면, 상승작용을 통해 자외선 조사시 유발되는 Bcl-2의 발현 감소 및 그의 전사인자인 Brn-3a의 발현 감소를 억제함과 동시에, Rb 단백질의 탈인산화를 저해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세포사멸을 방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낮은 농도의 진세노사이드 Fl과 EGCG를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자외선 노출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지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단가가 높은 두 화합물을 낮은 농도(단독 사용시 각각 2.5배, 5배 농도 필요)로 사용함으로써 원료비를 낮추어 고기능성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녹차 카테킨 EGCG의 노출에 따른 식중독 세균인 용혈성 Aeromonas sp. MH-8의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of Hemolytic Aeromonas sp. MH-8 Responding to the Exposure of Green Tea Catechin, EGCG)

  • 김동민;오계헌
    • KSBB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228-236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hemolytic Aeromonas sp. MH-8 exposed to green tea 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Initially, the hemolytic Aeromonas sp. MH-8 was enriched and isolated from stale fish. Bactericidal effects of MH-8 exposed to EGCG ranging from 1 mg/mL to 4 mg/mL were monitored, and complete bactericidal effects were achieved within 3 h at 3 mg/mL and higher concentrations. SDS-PAGE with silver staining revealed that the amount of lipopolysaccharides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 strain MH-8 treat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exposing periods of EGCG in exponentially growing cultures. The stress shock proteins (70-kDa DnaK and 60-kDa GroEL), which might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ellular resistance to the cytotoxic effect of EGCG, were induc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GCG exposed to cell culture of MH-8.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irregular rod shapes with umbilicated surfaces for cells treated with EGCG. 2-DE of soluble protein fractions from MH-8 cultures showed 18 protein spots changed by EGCG exposure. These proteins involved in chaperons (e.g., DnaK, GroEL and trigger factor), enterotoxins (e.g., aerolysin and phospholipase C precursor), LPS synthesis (e.g., LPS biosynthesis protein and outer membrane protein A precursor), and various biosynthesis and energy metabolism were identified by peptide mass fingerprinting using MALDI-TOF. In consequence, EGCG was found to have substantial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food-poisoning causing bacterium, hemolytic Aeromonas sp. MH-8. Also the results provide clues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EGCG-induced stress and cytotoxicity on Aeromonas sp. MH-8.

Cancer Prevention with Green Tea and Its Principal Constituent, EGCG: from Early Investigations to Current Focus on Human Cancer Stem Cells

  • Fujiki, Hirota;Watanabe, Tatsuro;Sueoka, Eisaburo;Rawangkan, Anchalee;Suganuma, Masami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2호
    • /
    • pp.73-82
    • /
    • 2018
  • Cancer preventive activities of green tea and its main constituent,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y scientists all over the world. Since 1983, we have studied the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of EGCG as well as green tea extract and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The first part of this review summarizes groundbreaking topics with EGCG and green tea extract: 1) Delayed cancer onset as revealed by a 10-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2) Prevention of colorectal adenoma recurrence by a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phase II trial, 3) Inhibition of metastasis of B16 melanoma cells to the lungs of mice, 4) Increase in the average value of Young's moduli, i.e., cell stiffness, for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and inhibition of cell motility and 5) Synergistic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y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with the combination of EGCG and anticancer compounds. In the second part, we became interested in cancer stem cells (CSCs). 1) Cancer stem cells in mouse skin carcinogenesis by way of introduction, after which we discuss two subjects from our review on human CSCs reported by other investigators gathered from a search of PubMed, 2) Expression of stemness markers of human CSCs compared with their parental cells, and 3) EGCG decreases or increases the expression of mRNA and protein in human CSCs. On this point, EGCG inhibited self-renewal and expression of pluripotency-maintaining transcription factors in human CSCs. Human CSCs are thus a target for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with EGCG and green tea catechins.

갈랑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효과 및 W/O형 에멀젼에서 항산화 효과의 보존성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Alpinia galanga L. rhizome extracts and preservation of antioxidant effects in W/O type emulsion)

  • 윤선영;김봉환;장영아;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24-435
    • /
    • 2023
  • 본 연구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갈랑가 뿌리 70% 에탄올 추출물(AG.E) 100 ㎍/mL 농도에서 81.8%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AG.E 50 ㎍/mL의 낮은 농도에서 L-Ascorbic acid (AA)와 유사한 99.8%로 확인되었다.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둘 모두에서 AG.E는 50 ㎍/mL의 낮은 농도부터 epigallocatechin (EGCG)보다 더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0 ㎍/mL 농도에서 EGCG 대비 3배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CCD-986sk 세포내에서 AG.E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UVB로 자극한 다양한 실험에서도 우수한 항노화 효과가 얻어졌다. RT-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 분석 실험에서 COL1A mRNA 발현량은 AG.E 20 ㎍/mL 저농도에서 무첨가 대비 2.90배 증가시키는 결과가 얻어져 항노화관련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제형에 소재의 적용 시 생리활성의 경시적 보전성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AG.E 및 AA등을 안정한 W/O type emulsion에 첨가하여 25 ℃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1일차, 30일차, 60일차에 DPPH와 ABTS+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경시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높은수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보성산 유기농 녹차의 품질에 따른 카테킨 함량과 항산화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atechin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Various Grades of Organic Green Teas Grown in Boseong, Korea)

  • 박경련;이상길;남태규;김영준;김영록;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2-86
    • /
    • 2009
  • 유기농 녹차의 등급별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각 추출 용매에 따른 수율을 확인하였을 때 물 추출에 비하여 수용성 유기 용매의 추출 수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 수율은 물을 이용할 때 보다 총페놀 함량은 1.5에서 3.2배, 항산화능은 1.8에서 3.8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HPLC 분석을 통하여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의 상관관계를 비교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1차 선형관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PLC분석을 통하여 유기농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카테킨의 함량이 채엽시기에 따라 변화가 나타났다.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성분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EGCG가 건조중량당 5.8-7.7%의 함량을 보였고, caffeine은 1.7-2.9%의 함량을 보였다.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함량은 일반적으로 채엽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였다. 유기농 녹차의 등급에 따른 항산화능은 최상급인 우전에서 가장 높았으며 최하등급인 엽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HPLC 분석에 의한 유기농 녹차의 등급에 따른 총 카테킨 함량(mg/g)은 우전(155.4), 세작(147.7), 중작(143.2), 엽차(135.1), 대작(130.5)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녹차의 채엽 시기가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성분 및 항산화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상급의 유기농 녹차 일수록 총페놀 및 카테킨 함량이 많으며 또한 더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시판 잎차 형태 녹차의 이화학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oose-leaf Green Tea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 이란숙;김상희;박종대;김영붕;김영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9-424
    • /
    • 2015
  • 제주, 보성, 하동산 차엽의 우전, 세작, 중작 및 대작 상품명을 쓰고 있는 시판 잎 녹차의 색은 녹차 등급이 높을수록 즉 채엽시기가 빠를수록 L값과 녹색도인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산 녹차가 보성 및 하동산 녹차에 비해 L값과 b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테킨 분석 결과 EGC 함량은 차엽 산지에 관계없이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GCg, ECg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카테킨류 중 EGCg 함량이 95.39-116.25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보성산 녹차가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모든 차엽에서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제주산 우전의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각각 33.43, 17.84, 20.84 mg/g으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산화방지 활성은 측정방법에 상관없이 등급이 높은 우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 및 하동산 녹차의 경우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보성산 녹차는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녹차의 주요 산화방지 성분인 개별 카테킨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DPPH 활성은 EGCg, ECg 및 총카테킨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BTS 활성은 EGC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 그리고 카테킨, GCg 및 ECg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첨가 아펜젤러 치즈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Appenzeller Cheese Containing Green Tea Powder)

  • 최희영;최효주;양철주;이상석;최갑성;박정로;전순실;신현정;정석근;배인휴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7-16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추구하는 친환경 기능성 자연 치즈제품의 다양한 아이템 개발을 위해 녹차를 자연 치즈에 접목시킴으로써 녹차의 약리 효과가 부여된 기능성 치즈의 개발 가능성 검토를 위해 실시되었다. 이 녹차 첨가 자연 치즈는 약 4개월간 숙성하면서 유산균의 생육과 pH, 질소화합물의 변화 및 단백질의 분해도 측정 및 카테킨 함량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제품의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산균 수는 숙성 12주까지 녹차 1.0% 이상을 첨가한 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은 유산균 수를 보였으나, 숙성 16주에는 대조구와 녹차 첨가구의 유산균 수 차이가 없었다. pH 5.0~5.3이던 것이 숙성 15주에는 pH 5.9~6.3 범위를 나타냄으로써 숙성이 진행됨으로 점차 상승하였다. 치즈의 숙성 기간 중 질소화합물의 변화는 비단백태 질소화합물(NPN)의 경우 숙성 시작보다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였고, WSN과 NCN에 비해 다소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전기영동 결과, 치즈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alpha_s$-casein, $\beta$-casein 및 $\kappa$-casein 등 모든 종류의 casein이 점진적으로 분해되었고, 특히 $\alpha_s$-casein은 숙성 8주 후부터는 거의 분해되어 다른 casein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카테킨 화합물의 종류로는 epigallocatechin(EGC), catechin(+catechin),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epicatechin gallate(ECG)등 5종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EGC 함량이 12.39 mg%로 나타났다. 치즈에 함유된 총 카테킨 함량은 녹차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치즈의 총 카테킨 함량은 각각 24.1, 46.0 및 103.9 mg%이었다. 녹차 첨가구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구는 녹차 1.0% 첨가구로 맛 2.61, 외형은 2.28, 향미는 2.44, 조직은 2.33의 평가를 받았으나, 첨가구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즈의 향미는 대조구 및 첨가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차를 첨가한 아펜젤러 치즈에서 치즈로 이행된 카테킨 성분이 숙성 종료 후에까지도 치즈 내에 일정량 보전됨이 확인되었고, 녹차 첨가는 아펜젤러 치즈의 숙성 과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맛과 외관, 물성 등 관능적 기호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와 향후 자연 치즈 제조 시 첨가 수준 및 가공 방법을 달리하는 등 관능적 특성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녹차 함유 기능성 자연 치즈의 제품 개발이 가능할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Four-week histologic evaluation of grafted calvarial defects with adjunctive hyperbaric oxygen therapy in rats

  • Chang, Hyeyoon;Oh, Seo-Eun;Oh, Seunghan;Hu, Kyung-Seok;Kim, Sungt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6권4호
    • /
    • pp.244-253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healing in the grafted calvarial defects of rats after adjunctive hyperbaric oxygen therapy. Methods: Twenty-eight 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250-300 g)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treatment groups: with hyperbaric oxygen therapy (HBO; n=14) and without HBO (NHBO; n=14). Each group was furthe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bone substitute applied: 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n=7) and surface-modified BCP (mBCP; n=7). The mBCP comprised BCP coated with Escherichia-coli-derived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ErhBMP-2) and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Two symmetrical circular defects (6-mm diameter) were created in the right and left parietal bones of each animal. One defect was assigned as a control defect and received no bone substitute, while the other defect was filled with either BCP or mBCP. The animals were allowed to heal for 4 weeks, during which those in the HBO group underwent 5 sessions of HBO. At 4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he defects were harvested for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Results: Well-maintained space was found in the grafted groups. Woven bone connected to and away from the defect margin was formed. More angiogenesis was found with HBO and EGCG/BMP-2 (P<0.05). None of the defects achieved complete defect closure. Increased new bone formation with HBO or EGCG/BMP-2 was evident in histologic evaluation, but i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histometric analysis. A synergic effect between HBO and EGCG/BMP-2 was not found.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adjunctive HBO and EGCG/BMP-2 could be beneficial for new bone formation in rat calvarial defects.

Albumin and Antioxidants Inhibit Serum-deprivation-induced Cell Adhesion in Hematopoietic Cells

  • Han, Mi-Jin;Lim, Sung-Mee;Kim, Yu-Lee;Kim, Hyo-Lim;Kim, Kye-Ok;Sacket, Santosh J.;Jo, Ji-Yeong;Bae, Yoe-Sik;Okajima, Fumikazu;Im, Dong-S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4호
    • /
    • pp.410-415
    • /
    • 2008
  • Previously, we identified albumin as an inhibitory factor in serum for cell adhesion of T cells such as human Jurkat T and primary cultured human T cells.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other hematopoietic cell lines including U-937 human monocytes, THP-1 human monocytes, K-562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and HL-60 human leukemia cells, also adhere to tissue culture flasks when serum is withdrawn, and albumin exerts an inhibitory effect on cell adhesion by those cells, implying that this inhibition is a common phenomenon in hematopoietic cells. Furthermore, we found that cell adhesion is inhibited by antioxidants such as (-)-epigallocatechin- 3-gallate (EGCG), morin, and a-tocopherol. Our results suggest that albumin may inhibit basal cell adhesion of hematopoietic cells and that the oxidative balance in the plasma may be important for cell adhesion of hematopoietic cells in vivo.

Protective Effects of EGCG on UVB-Induced Damage in Living Skin Equivalents

  • Kim, So-Young;Kim, Dong-Seok;Kwon, Sun-Bang;Park, Eun-Sang;Huh, Chang-Hun;Youn, Sang-Woong;Kim, Suk-Wha;Park, Kyoung-Ch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7호
    • /
    • pp.784-790
    • /
    • 2005
  •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on ultraviolet B(UVB)-irradiated living skin equivalents (LSEs). Histologically, UVB irradiation induced thinning of the LSE epidermis, whereas EGCG treatment led to thickening of the epidermis. Moreover, EGCG treatment protected LSEs against damage and breakdown caused by UVB exposure. Immunohistochemically, UVB-exposed LSEs expressed p53, Fas, and 8-hydroxy-deoxyguanosine (8-OHdG), all of which are associated with apoptosis. However, EGCG treatment reduced the levels of UVB-induced apoptotic markers in the LSEs. In order to determine the signaling pathways induced by UVB,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for both c-Jun $NH_2$-terminal kinase (JNK) and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which are associated with UVB-induced oxidative stress. UVB activated JNK in the epidermis and dermis of the LSEs, and EGCG treatment reduced the UVB-induced phosphorylation of JNK. In addition, p38 MAPK was also found to have increased in the UVB-exposed LSEs. Also, EGCG reduced levels of the phosphorylation of UVB-induced p38 MAPK. In conclusion, pretreatment with EGCG protects against UVB irradiation via the suppression of JNK and p38 MAPK activ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EGCG may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UVB-induced human skin damage, and LSEs may constitute a potential substitute for animal and huma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