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

검색결과 990건 처리시간 0.032초

넙치 성어기 배합사료 및 생사료의 사육효과 비교 (Evaluation of Extruded Pellets as a Growing Diet for Adult Flounder Paralichythys olivaceus)

  • 김경덕;강용진;이해영;김강웅;김경민;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3-177
    • /
    • 2006
  • 본 연구는 넙치 성어기 사료로 양식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생사료를 배합사료로 대체하기 위하여 부상배합사료와 생사료의 사육효과를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329 g의 넙치를 6종류의 실험배합사료(EP1-EP6),시판사료(EP7)및 생사료(MP)로 1일 2회 반복으로 공급하며 8개월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육기간 동안의 생존율은 $63\sim78%$ 범위였으며, 증체량은 MP 실험구가 EP1 실험구 보다 낮았으나, EP2-EP7 실험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MP 실험구가 EP1, EP3, EP4, EP5 및 EP6 실험구 보다 낮았으나, EP2 및 EP7 실험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단백질효율은 모든 EP 실험구들이 MP 실험구 보다 높았다. 사료섭취량은 MP실험구가 EP실험구들에 비해서 높았지만, EP실험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어체의 비만도는 모든 EP 실험구들이 MP 실험구와 차이가 없었다. 등근육 및 전어체의 수분,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329\sim680g$의 넙치 성어 사육을 위하여 MP 대신 EP1, $Ep3\sim6$를 사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업용 부상사료와 어분기초생사료가 넙치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xtruded Pellets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 for 10 Months)

  • 조성환;이상민;이종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0-65
    • /
    • 2005
  • Effect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or formulated extruded pellets (EP)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MP)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 were evaluated on commercial scale for 10 months. Survivals of flounder fed the MP, EP 1 and EP3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the EP2 or EP5, but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EP4. Weight gain of fish fed the M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the EP3 and EP5, but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EP1, EP2 or EP4. Improvement in weight gain of flounder fed the high lipid diets (EP1, EP2, EP3) compared to low lipid diet (EP4) in the $55\%$ protein level, and weight gain of fish fed the high lipid diet (MP) compared to low lipid diet (EP5) in the $61\%$ protein level indicated protein-sparing effect of lipid. FER for flounder fed the EP3.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for fish fed the EP1 or EP5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r. that for fish fed the EP2, EP4 and MP. FER significantly (P<0.05) changed over time. CF of flounder fed the MP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EP1 or EP4. Moisture content of dorsal muscle in flounder fed the EP2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fish fed the EP1 or EP4. Crude protein content of dorsal. muscle in flounder fed the EP1, EP4 and EP5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fish fed the EP2. How- ever, crude lipid content of dorsal muscle, and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of liver in flound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ets. In considering performance of flounder,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EP3 and EP5 is more recommendable than the MP, which commonly used in flounder farm.

Emotionalized Product의 규명과 디자인 프로세스 -제품에 집중된 실행적 감성 접근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Defining Emotionalized Product and EP Design Process)

  • 석진민;이은종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791-798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제품이라는 도메인에 보다 집중된 감성 디자인의 논의를 이끌어내고, 이에 대한 실행적인 접근을 통하여 실제로 디자이너가 제품을 디자인함에 있어 감성적 접근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있다. 감성의 중요성이 증대하였지만 감성의 논의는 추상적인 수준에 머무르거나 오감이라는 감각에만 집중되고 있으며, 이는 제품이라는 도메인에서 감성적인 접근을 할 때에도 적용하기 어려운 수준이거나 한정적인 부분만을 포괄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품이라는 도메인에 보다 집중된 실행적 차원에서의 감성의 논의를 위해 'Emotionalized Product'의 개념을 제안하고, 규명을 진행하였다. 규명의 결과물로 EP 매체, EP 절차, EP 차원, EP 캐릭터, EP 가치라는 'Emotionalized Product(EP)' 접근에 유효한 5가지 관점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EP의 정의를 실행적 관점에서 내렸다. 이어 EP와 제품과의 결합에 필요한 2가지의 관점, 도메인 구조와 EP 기회가 도출되었다. EP의 실행적 정의와 제품과의 결합 관점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크게 2가지의 관점, 귀납적 프로세스와 연역적 프로세스로 구성되는 EP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여 공유가능한 EP 디자인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였고, 보다 성공적인 감성적 접근으로 제품을 디자인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PDF

EP2 Induces p38 Phosphorylation via the Activation of Src in HEK 293 Cells

  • Chun, Kyung-Soo;Shim, Minsub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6호
    • /
    • pp.539-548
    • /
    • 2015
  • Prostaglandin $E_2$ ($PGE_2$), a major product of cyclooxygenase, binds to four different prostaglandin $E_2$ receptors (EP1, EP2, EP3, and EP4) which are G-protein coupled transmembrane receptors (GPCRs). Although GPCRs including EP receptors have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their specific G proteins, recent evidences suggest that GPCRs can regulate MAPK signaling via non-G protein coupled pathways including Src. EP2 i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various tissues and the expression of EP2 is induced by extracellular stimuli. We hypothesized that an increased level of EP2 expression may affect MAPK signaling. The overexpression of EP2 in HEK 293 cells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intracellular cAMP levels response to treatment with butaprost, a specific EP2 agonist, while overexpression of EP2 alone did not increase intracellular cAMP levels. However, EP2 overexpression in the absence of $PGE_2$ induced an increase in the level of p38 phosphorylation as well as the kinase activity of p38, suggesting that up-regulation of EP2 may promote p38 activation via non-G protein coupled pathway. Inhibition of Src completely blocked EP2-induced p38 phosphorylation and overexpression of Src increased the level of p38 phosphorylation, indicating that Src is upstream kinase for EP2-induced p38 phosphorylation. EP2 overexpression also increased the Src activity and EP2 protein was co-immunoprecipitated with Src. Furthermore, sequential co-immunoprecipitation studies showed that EP2, Src, and ${\beta}$-arrestin can form a complex. Our study found a novel pathway in which EP2 is associated with Src, regulating p38 pathway.

넙치 육성용 실험 부상사료, 시판 부상사료 및 생사료의 사육효과 비교 (Evaluation of Experimental Extruded Pellet, Commercial Pellet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for Growing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상민;서주영;이용환;김경덕;이종하;장현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7-292
    • /
    • 2005
  • 본 연구는 넙치 육성용으로 실험 부상배합사료와 시판사료 및 생사료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평균 체중 43.5 g의 넙치를 8주 동안 사육하였다. 실험사료로 4종류의 부상배합사료(EPl-EP4), 시판사료 4종류(EP5-EP8)및 습사료(MP)를 준비하여 1일 3회 만복으로 공급하였다. 사육실험 결과,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85\%$ 이상으로 양호하였으며, 증중률은 EP2-EP4 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EP6 실험구에서 가장 낮았다. 사료효율과 단백질효율은 MP 실험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인 반면, 일일 사료섭취율과 일일 단백질섭취율은 MP 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어체의 단백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분, 지질 및 회분 함량은 사료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액의 총 단백질은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 중성지방은 EP3 실험구에서 높은 값을 보이긴 하였지만, EP7 실험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평균체중 42 g${\~}$108 g인 넙치의 성장을 위해 EP2-EP4를 공급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넙치 육성용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현장 사육 실험 (Development of Extruded Pellet for Growth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Commercial Scale Feeding Trials)

  • 서주영;최진;이종하;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120
    • /
    • 2007
  • 육성기 넙치 사육용으로 부상배합사료 및 생사료의 사육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회에 걸친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평균체중 115 g의 넙치를 5종류의 실험EP ($EP1{\sim}EP5$v와 생사료(MP)로 78일간 사육 실험하였으며, 실험 2는 양식현장에서 평균체중 137 g의 넙치를 실험 1에 사용한 5종류의 EP ($EP1{\sim}EP5$), 시판사료(EP6) 및 EP4와 EP6에 물과 각종 영양소를 흡착시킨 2종류 흡착-습사료(MEP4 및 MEP6)로 80일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육실험 결과, 실험 1에서 증중율은 모든 EP 실험구가 MP 실험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EP4는 MP에 비하여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사료효율은 EP4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등근육의 간과 수분함량 및 간의 지질함량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 2에서는 생존율은 $89{\sim}99%$의 범위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증중량은 EP4와 MEP4 실험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EP3과 MEP6 실험구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사료효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108% 이상으로 양호하였으며, EP4, MEP4 및 MEP6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114{\sim}350\;g$인 넙치에게 생사료를 기초로 제조된 MP를 공급하는 것 보다 영양소 균형이 잘 갖춰진 EP를 공급하여도 좋을 것으로 보이며, EP 공급시 물과 다른 영양소의 흡착과정은 불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MP와 상업용 EP 실험구에 비해 양호한 성장 결과를 보인 EP4는 MP 대체 실용사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백질 및 지질함량이 다른 부상배합사료와 생사료의 넙치 사육효과 비교 (Evaluation of Extruded Pellets Containing Different Protein and Lipid Levels,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for Growth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강용진;이해영;김강웅;장미순;김신권;손맹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76-480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xtruded pellets (EP)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protein (51%-55%) and lipid (9%-15%) for growth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omparing with raw fish-based moist pellet (MP). Two replicate groups of 40 fish per each tank (initial mean weight 106 g) were fed one of three experimental EP (EP1, EP2 and EP3) containing different protein and lipid levels, a commercial EP (EP4) and MP for 16 weeks.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Final mean weight of fish fed M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ish fed EP1, EP2 and EP4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ish fed EP3. Feed efficiency of MP-fed fis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ish fed all EP formulations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EP groups. Daily feed intake of MP-fed fis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ish fed all EP formulations (P<0.05). Condition fact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Whole body moisture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 (P<0.05). Growth and feed efficiency of flounder was not affected by EP protein and lipid levels. Dietary formulation used in EP1, EP2 and EP3 can be applied to the practical feeding of flounder.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작약계통의 저항성 검정 (Resistance to Nor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la, in Peony Strains)

  • 박소득;김재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33-36
    • /
    • 2001
  • 작약계통에 대한 당근뿌리혹선충의 저항성검정에서, 의성작약, 태백작약 도서종, EP368, EP512는 효충의 밀도가 토양 300m1당 121-173마리로 높았으며 사벌종, 웅수종, 김천종, Pl23에서는 21-60마리로 타계통 보다 기생밀도가 낮았다. 공신된 계통별 작약 뿌리의 부패정도는 용수종, 김천종에서 경징하였으며, 선충의 기생이 많았던 의성작약, 태백작약 Ep368, Ep512는 선충의 기생밀도도 높았으며 뿌리 부패율이 아주 높았다. 작약계통별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정도를 보면 의성작약, 태백작약 용수종, 도서종, EP368, EP512는 난낭의 형성이 많아 당근뿌리혹선충에 감수성이였고, 사벌종과 김천종, Pl23, EP337, EP425는 난낭형성이 매우 낮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단백질 및 지질함량이 다른 배합사료와 생사료로 사육한 넙치의 육질평가 (Evaluation of Muscle Qual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Extruded Pellets Containing Different Protein and Lipid Levels,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 안철민;박희연;손맹현;김경덕;김강웅;장미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29-7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51~5%) 및 지질(9~15%)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EP)와 생사료(MP)를 공급하면서 사육한 양식넙치의 육질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사육실험은평균체 중 106g의 넙치를 원형수조에 40마리씩 실험구별로 2반복으로 수용하면서,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이 서로 다른 실험 배합사료(EP1, EP2, EP3)와 수입산 상품 배합사료(EP4) 및 MP를 16주간 공급하면서 사육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사료(MP)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에서 배합사료(EP)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16:1n-7, 20:4n-6 및 20:5n-3의 함량은, 수입산 배합사료 EP4 및 MP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에서 실험배합사료 EP1, EP2, EP3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18:2n-6의 함량은 EP4 및 MP 공급구가 낮게 나타났다. 22:6n-3의 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Taurine 함량은 MP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에서 EP를 공합한 모든 넙치의 등근육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sparagine의 함량은 실험배합사료 EP1을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에서 EP2, E3, EP4 및 MP를 공급한 넙치 등근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각 사료를 공급한 넙치 등근육의 유리아미노산 중 lysine 및 serine의 함량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핵산관련물질 중 넙치 등근육의 IMP 함량은 공급한 각 사료의 영향을 받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물성측정 결과는 공급한 사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pecific Targeting of Fluorescein Isothiocyanate with Ep-CAM Antibody(Specific targeting of FITC with Ep-CAM Antibody)

  • Lee, Young-Tae;Tae, Gun-Sik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10권3호
    • /
    • pp.237-240
    • /
    • 2003
  • The tetradecameric peptide (K47-K60) near the NH$_2$-terminal region of epithelial-cell adhesion molecule (Ep-CAM) was chosen as antigenic site and a polyclonal antibody was generated, which could recognize Ep-CAM from the mouse colon tissue or the colon cancer cell, CT-26, in Western blot analysis. Then, the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 a fluorescence dye, was conjugated with the affinity purified Ep-CAM antibody using thiocyanate and the amino groups of FITC and antibody, respectively. The molar ratio of FITC to antibody was estimated approximately 1.86 to 1.00 by measuring the optical densities at 492 nm and 280 nm. Ep-CAM antibody-FITC conjugate was then used for immunohistochemistry of the CT-26 cells. Judging from the shapes formed by fluorescence, the Ep-CAM antibody could delivered FITC to the surface of cells in which Ep-CAM was expressed. This result implies that Ep-CAM antibody could be also used for the tissue-specific delivery of the photosensitizer to the target protein via antigen-antibody inter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