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zyme transport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간흡충(Clonorchis sinensis)감염에 의한 흰쥐 담관 섬유모세포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의 감소 (Reduction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ferase in Rat Bile duct Fibroblast by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 민병훈;홍순학;이행숙;김수진;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89-99
    • /
    • 2010
  • 섬유모세포 (fibroblast)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결합조직 전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모세포는 주위환경에 따라 형태가 쉽게 변하며, 대부분 결합조직내에 고정되어 분포하고 있지만 염증이 일어났을 때나 조직배양중에는 세포들이 이동하기도 한다. 또한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상처부위로 이동하여 대량의 콜라겐 층을 형성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복구시키기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전자전달계(electron transport system)를 통해 세포대사에 필요한 ATP를 생산하는 것을 주 기능으로 한다. 미토콘드리아의 형태적 변이와 산화적 스트레스 그리고 전자전달효소 결핍으로 인한 세포내 활성산소의 증가 등의 기능이상으로 세포의 노화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apoptosis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에 감염된 담관 조직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나타나는 세포질돌기의 증가와 같은 형태적인 변화양상과 배양중의 섬유모세포에 간흡충 분비배설물질을 첨가할 경우 섬유모세포의 형태와 세포분열양상의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간흡충의 감염이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간흡충 피낭유충을 실험쥐에 감염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담관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고,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과 담관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한 섬유모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 분포를 확인하여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가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이상으로 인한 변이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에 분포하는 섬유모세포에서는 주변 섬유성조직에 의한 물리적 손상으로 세포질이 파괴되고, 소포체의 확장 및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 효소는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 조직과 담관 섬유모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였을 경우에 정상대조군에 비해 ATPase, COXII, porin의 분포가 감소하였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충체의 자극으로 인해 결합조직의 섬유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담관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는 섬유조직에 의한 물리적 상해로 세포가 파괴되었다. 감염된 담관으로 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는 간흡충 감염에 의한 화학적 손상으로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가 감소되었다. 그 결과, 섬유모세포는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 기능이상으로 인한 세포사멸이 유도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간흡충의 감염은 물리적 자극에 의한 담관의 섬유화, 화학적 자극에 의한 섬유모세포 대사과정의 변이를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의 경우 ATP 생성을 위한 섬유모세포의 전자전달효소의 분포를 감소시켜 정상 조직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담관의 섬유화가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allium-201을 이용한 세포막 $Na^+-K^+$ ATPase 활성도 측정: Rubidium-86 측정법과의 비교 (Quantitative Measurement of Membrane $Na^+-K^+$ ATPase Activity using Thallium-201 : Comparison with Rubidium-86)

  • 이재태;이인규;손상균;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28
    • /
    • 1998
  • 목적 : 생물학적 성질이 potassium과 유사하고 핵의학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쉽게 구할 수 있는 T1-201을 이용하여 $Na^+-K^+$ ATPase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배양한 백서 대동맥평활근세포와 사람의 제대동맥 평황근세포에서 $Na^+-K^+$ ATPase의 활성도를 측정하곤 기존의 Rb-86으로 측정한 방법과 비교하였다. 또한 T1-201로 측정한 활성도에 대한 포도당, 인슐린 및 PMA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Sprague-Dawley 백서의 흉부대동맥과 인체태반의 제대동맥에서 얻은 평활근세포를 배양하여 사용하였고. ouabain첨가로 억제되는 Rb-86과 T1-201의 섭취율을 $Na^+-K^+$ ATPase에 의한 섭취율로 계산하여 활성도로 간주하였다. 결과: 배양된 백서대동맥 평활근세포에서 $Na^+-K^+$ ATPase 활성도는 고포도당배양액(22 mM) 상태에서 생리적 농도의 저포도당배양액(5 mM) 상태에 비하여 평균 28%의 저하를 보였으며, 인슐린 100 nM을 첨가하였을 때는 50%의 증가를 보였다. PKC효소를 활성화시키는 PMA는 20%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인체제대동맥의 평활근세포에서도 유사한 변화를 보였다. T1-201로 측정한 $Na^+-K^+$ ATPase의 활성도치의 변화는 Rb-86을 이용한 측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 T1-201을 이용하여 측정한 $Na^+-K^+$ ATPase 황성도는 Rb-86을 이용한 측정치와 유사하여, T1-201은 세포막 $Na^+-K^+$ ATPase 활성도의 측정에 사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인슐린과 PKC효소 자극제는 $Na^+-K^+$ ATPase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고농도의 포도당은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Kisspeptin-10 Enhanced Egg Production in Quail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Triglyceride Synthesis in Liver

  • Wu, J.;Fu, W.;Huang, Y.;Ni, Y.;Zhao,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080-1088
    • /
    • 2013
  • Our previous results showed that kisspeptin-10 (Kp-10) injections via intraperitoneal (i.p.) once daily for three weeks notably promoted the egg laying rate in quai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behind the effects of Kp-10 on enhancing the egg laying rate in birds, this study focused on the alternations of lipids synthesis in liver after Kp-10 injections. 75 female quails (22 d of age)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s randomly, and subjected to 0 (control, Con), 10 nmol (low dosage, L) and 100 nmol (high dosage, H) Kp-10 injections via i.p. once daily for three weeks, respectively. At d 52, quails were sacrificed and sampled for further analyses. Serum $E_2$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Kp-10 injections, and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H group. Serum triglyceride (TG)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46.7% in L group and 36.8% in H group, respectively,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G contents in liver were significantly elevated by Kp-10 inject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Serum total cholesterol (Tch)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 group, while in H group the hepatic Tch content was markedly increased. The level of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apolipoprotein A1 and B (apoA1 and apoB) were not altered by Kp-10 injections. The genes expression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 (SREBP-1), fatty acid synthetase (FAS), apolipoprotein VLDL-II (apoVLDL-II), cholesterol $7{\alpha}$-hydroxylase (CYP7A1) and vitellogenin II (VTG-II)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high but not low dosage of Kp-10 inje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expression of SREBP-2, acetyl-CoA carboxylase ($ACC_{\alpha}$), malic enzyme (ME), stearoyl-CoA (${\Delta}9$) desaturase 1 (SCD1), apolipoprotein A1 (apoA1), fatty acid binding protein 2 (FABP2), 3-hydroxyl-3-methyl glutaryl-coenzyme A reductases (HMGCR), estrogen receptor ${\alpha}$, ${\beta}$($ER{\alpha}$ and ${\beta}$) mRNA were not affected by Kp-10 treatment. In line with hepatic mRNA abundance, hepatic SREBP1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 group. Although the mRNA expression was not altered, the content of $ER{\alpha}$ protein in liver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H group. However, SREBP-2 protein content in liver was not changed by Kp-10 treatment. In conclusion, exogenous Kp-10 consecutive injections during juvenile stage significantly advanced the tempo of egg laying in quails,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significant elevation in hepatic lipids synthesis and transport.

Correlations betwee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Phospholipids and Blood Pressure

  • Lee, Yang-Cha-Kim;Shim, Yoo-Jin;Chung, Eun-Jung;Kim, Soo-Yeon;Yangsoo Jang;Lee, Jong-Ho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68-74
    • /
    • 2002
  •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tion of serum fatty acids and blood pressure are complex and controversial. Fatty acids, important constituents of biological membranes, could potentially affect vasoreactivities including blood pressure.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s in serum phospholipids were compared between three types of hypertensive subjects (men, pre-menopausal women, and post-menopausal women) and their respective nrmotensive controls. Serum lipids were extracted and phospholipids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percentage of palmitic acid (16 : 0) in serum phospholipid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percentage of stearic acid (18 : 0)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three hypertensive groups, compared with their corresponding control groups. Only in the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palmitic acid was closely associated wish increases in both systolic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while stearic acid was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both SBP and DBP.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serum phospholipids behaved differently from saturated fatty acids. The ratios of products / precursor fatty acids, such as $\sumLCPUFA\omega6/18 : 2\omega$6, 20 : 4$\omega$6/18 : 2$\omega$6, ∑LCPUFA$\omega$3/18 : 3$\omega$3 and 22 : 6$\omega$3/20 : 5$\omega$3, were all clearly associated with both SBP and DBP in hypertensive, post-menopausal women. Desaturation and elongation in fatty acid metabolism could affect the bioavailability of eicosanoid precursors. Changes in the constituent fatty acids of phospholipids and eicosanoid precursors may also influence fluidity, ionic transport, hormone receptors and enzyme activities in biological membranes. In conclusion,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post-menopausal wome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almitic acid,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stearic acid, in serum phospholipid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um phospholipid-$\omega$6 and $\omega$3 series fatty acids and blood pressure in women, especially in post-menopausal women, require further investigation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hormonal status and eicosanoid metabolism. Funk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value of dietary manipulation of fatty acid constituents of serum phospholipids, relating to hypertension in women.

다공성막이 혈액뇌관문 내피세포의 배양에 끼치는 영향 (Effect of Porous Membrane on Culture Properties of Blood-Brain Barrier Endothelial Cell)

  • 이금정;조혜진;최형택;나오순;김경용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4호
    • /
    • pp.261-266
    • /
    • 2003
  • 소 뇌 미세혈관에서 분리한 내피세포(BBMECs)를 직경 $3.0{\mu}m$$0.4{\mu}m$인 구멍을 가지는 다공성막(Transwell)에서 일차배양하였을 때의 특징을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분리된 모세혈관의 작은 조각과 분리된 내피세포들은 콜라겐으로 도포한 배양기구의 표면에 고착되어 성장하였다. BBMECs들은 직경 $0.4{\mu}m$인 다공성막의 위쪽 구획에서만 성장하였으나 직경 $3.0{\mu}m$인 구멍을 가진 막에서는 세포들이 구멍을 통해 막의 반대쪽으로 이주하여 다공성막의 아래쪽 구획에서도 성장하여 세포단층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효소 처리에 의해 분리한 BBMECs는 직경 $0.3{\mu}m$의 다공성막을 통과하나 직경 $0.4{\mu}m$의 다공성막을 통과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약물이동도를 관찰하는 실험이나 전기저항을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실험에서는 $3.0{\mu}m$의 다공성막을 사용하는 대신 $0.4{\mu}m$ 크기의 다공성막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물 β-D-fructofuranosidase의 화학적 성질과 생리적 기능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Plant β-D-fructofuranosidase)

  • 김동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49-856
    • /
    • 2017
  • 역사적인 관점에서 ${\beta}$-D-fructofuranosidase (EC 3.2.1.26)는 1860년 프랑스 생물학자 Berthelot에 의해서 발견된 중요한 효소이며, 효소학을 연구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beta}$-D-fructosfuranosidase는 sucrose가 D-glucose와 D-fructose로 가수 분해되는 것을 촉매 한다. 4 종류의 생화학 하위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beta}$-D-fructofuranosidase가 식물에서 조사되었다. 정제 방법에 의해서 액상(수용성 산성), 세포질(가용성 알칼리), 막 결합(불용성 알칼리) 그리고 세포벽 결합(불용성 산성) ${\beta}$-D-fructosfuranosidase가 있다. 그들의 생화학적 특징은 뚜렷하다. 그것은 그 효소가 다른 유전자 산물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식물에서 자당을 분배하기 위한 이들 효소의 기여도는 위치한 장소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식물의 다양한 발달 단계 그리고 다양한 부분에서, 조직내의 세포를 발달시키는 공통적인 위치의 장소에 모든 동위효소들이 영양분 수송과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음을 제시한다. ${\beta}$-D-fructosfuranosidase는 과일, 잎, 뿌리가 발달, 조직의 성숙 과 관련되어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었다. 그리고 ${\beta}$-D-fructosfuranosidase 활성은 세포 분열, 저장 기관 및 조직의 발달, 식물 방어 반응의 관계를 통해 성장과 확장 사이의 관계에 따라 그 활성의 차이가 다양하다. 명확한 생리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를 종합 할 필요가 있다.

단삼약침액(丹蔘藥鍼液)이 신장(腎臟) 근위세뇨관세포(近位細尿管細胞)에서 산화제(酸化劑)에 의한 인산(燐酸)의 이동억제(移動抑制)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alviae Radix on Oxidat-Inhibition of Phosphate Uptake in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 이호동;윤현민;장경전;송춘호;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08-218
    • /
    • 200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if Salviae Radix (SR) exerts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nt-induced inhibition of phosphate uptake in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Membrane transport function and cell death were evaluated by measuring phosphate uptake and trypan blue exclusion, respectively, in opossum kidney (OK) cells, an established proximal tubular cell line. $H_2O_2$ was used as a model oxidant. $H_2O_2$ inhibited the phosphate uptake in a dose-dependent manner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0.1-0.5 mM. Similar fashion was observed in cell death. However, the phosphate uptake was more vulnerable to $H_2O_2$ than cell death, suggesting that $H_2O_2$-induced inhibition of phosphate uptake is not totally attributed to cell death. Decreasedphosphate uptake was associated with ATP depletion and inhibition of $Na^+$-pump activity as determined by direct inhibition of $N^+-K^+$-ATPase activity.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H_2O_2$ in the presence of 0.05% SR, the inhibition of phosphate uptake and cell death induced by $H_2O_2$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SR restored ATP depletion and decreased $Na^+-K^+$-ATPase activity, and this is likely responsible for the protective effect of SR on decreased phosphate uptake. The protective effect of SR was similar to the $H_2O_2$ scavenger catalase. SR reacts directly with $H_2O_2$ to reduce the effective concentration of the oxidant. The iron chelator deferoxamine prevented the inhibition of phosphate uptake and cell death induced by $H_2O_2$, suggesting that $H_2O_2$-induced cell injury is resulted from an iron-dependent mechanis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R exert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H_2O_2$-induced inhibition of phosphate uptake by reacting directly with $H_2O_2$ like the $H_2O_2$scavenger enzyme catalase, in OK cell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remains to be explored.

  • PDF

허혈전후 적출 가토 심근내의 구성 효소의 변화 (Pre-and Post-ishemic Changes of the Constituent Enzymes in Isolated Rabbit's Myocardium)

  • 천수봉;전도환;이재성;김송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117-124
    • /
    • 2000
  • Background: Nucleoside transport inhibitor(NTI) Keeps AMP, ADP, ATP levels high in myocytes by inhibiting adenosine cataboilsm so that it may preserve the myocardial contractability during ischemi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yclic AMP phosphodiesterase inhibor(C-AMP PDSI) and S-P-nitrobenzyl-6 -thioniosine(NBT; a sort of NIT) on myocadial preservation and changes of constituent enzyme. Material and method: Twenty-six isolated rabbit hearts were perfused with Krebs-Henseleit buffer solution for 20 minutes arrested for 20 minutes and ten reperfused for 30 minutes. The following four groups were prepared and hemodynamic changes coronary effluent lactate dehydrogenase (LDH) a-hydroxybutylic accid(a-HBD) levels and myocardial LDH creatine kinase-MB (CK-MB) adenosine deaminase(ADA) a-HBD levels and myocardial LDH creatine kinase-MB (CK-MB) adenosine deaminase(ADA) a-HBD levels were analysed before and after cardiac arest ; Group I(control) ; the heart was only perfused with K-H ; Group II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C-AMP PDSI(Amrinone 25mg/L); Group III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NBT(4.19mg/L) ; Group IV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C-AMP PDSI + NBT. Result : Left venticular developed pressure(LVDP) at 10 minutes of the equilibri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I(72.1$\pm$5.3 mmHg p<0.01) and group III(72$\pm$5.6 mmHg P<0.025) as compared with group I (40.8$\pm$4.7mmHg) and LVDP at 20 minutes of the reperfu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74$\pm$5.3mmHg p<0.01) and group III(72$\pm$5.6mmHg p<0.025) as compared with group I (44.2$\pm$4.6mmHg). Percentage recovery of LVDP at the reperfusion was the highest in group II(123.3%) Percentage recovery of coronary flow at the equilibrium reperfusion were higher in group II(310%, 270%) group III(230%, 290%) group IV(310%, 280%) as compared with group I (100%) respectively. Myocadial LDH level was significant lower in group IV(33495$\pm$1802 IU/gm p<0.04) as compared with group I(48767$\pm$1421 IU/gm) Myocadial CK-MB level was significant higher in group II(74820$\pm$1421 IU/gm) compared with group I (45450$\pm$1737 IU/gm) Myocadial ADA level was significant higher group IV(1215$\pm$8 IU/gm p<0.05) compared with group I(125$\pm$15 IU/g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III, IV in changes of coronary effluent LDH, a-HBD levels. Conclusion: C-AMP PDSI solely appears to have a better effect on myocardial preservation after ischemia than NBT but with no synergistic effect and it could keep CK-MB leve high in myocardial tissues.

  • PDF

페닐케톤뇨증의 치료: 현재와 미래 (Phenylketonuria: Current Treatments and Future Developments)

  • 이정호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43
    • /
    • 2020
  • 페닐케톤뇨증(PKU)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지고 중요한 유전성 대사질환이다. 1950년대 이후 단백제한을 이용한 식사치료를 처음으로 시도하여 성과가 있었던 질환이며 1960년대 이후 신생아선별검사를 통해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가능하게 된 최초의 유전성대사질환이기 때문이다. 단백제한 식사치료의 효과가 좋지만 학동기, 사춘기 이후 성인시기까지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이 있고 이시기에 조절이 잘 되지 않았을 경우 경련, 여러가지 정신과적인 문제들, 삶의 질의 감소 등이 문제가 되어서 오랜 기간 치료를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더해서 2014년 미국의학유전학회(American Medical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CMG)에서 전 연령에서 혈중 페닐알라닌 수치를 120-360 umol/L로 제시를 한 이후 더욱 치료의 중요성이 올라갔다. 2000년대 페닐알라닌수산화 효소(phenylalanine hydroxylase, PAH)의 조효소인 tetrahydrobiopterin (BH4)가 치료 승인되어서 약물반응을 보이는 환자에서 치료가 시작되었으며 4세미만에서도 허가가 되어서 이른 시기부터 약물치료를 병행하여 효과를 보게 되었다. 높은 혈중 페닐알라닌수치가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통하여 뇌로 넘어가서 회백질의 변성을 나타내게 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거대중성아미노산(LNAA)를 이용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오랫동안 연구되었던 페닐알라닌을 trans-cinnamic acid와 암모니아로 변화를 시키는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을 이용한 효소치료는 최근 약제로 개발되어서 2018년 이후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가 시작되었고 잘 조절되지 않는 환자들에게 효과를 보이고 있다. PAL을 경구용으로 개발하는 것이 빠르게 진행 중이며 유전자치료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어 다양한 치료들이 앞으로 기대된다.

식물 조직학적 방법에 의한 β-D-fructofuranosidase의 기능 연구 (Study of the Function of β-D-fructofuranosidase by Plant Histological Method)

  • 김동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87-592
    • /
    • 2023
  • 식물의 성장은 유기물 이용 가능성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유기 영양소는 "소스"라고 하는 탄소 및 에너지 고정과 관련된 조직에서 생성된 광합성 제품으로 탄수화물 분자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식물 유관속을 통해 "싱크"라고 하는 비광합성 또는 성장 조직으로 흐른다.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화합물 중에서, 이당류 프럭토실글루코스인 자당이 가장 대표적이다. 자당이 수송 동안, 소스에서 싱크로의 경로는 자당을 글루코스 및 과당의 유도체로 분해하거나 자당의 직접적인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이때 관여하는 효소 중에 β-D-fructofuranosidase 가 가장중요하다. 여러 동위효소 중의 하나인 가용성중성 β-D-fructofuranosidase 는 세포 내 원형질체 안에 위치하여 식물세포에게 자당을 분해하여 에너지생성 물질대사를 돕는다. 이 효소의 활성을 식물이 성장하는 과정 동안에 추적하기 위해서 가장 효과적인 면역 국소화를 위해서 조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잎에서 옆육 조직보다는 사부와 표피에 활성이 높았다. 성장하는 줄기에서는 사부, 표피, 그리고 피층에 활성이 높았다. 싱크조직인 뿌리는 모든 부분에 활성이 높았지만 특별히 가장 끝 부분에는 가장 높았다. 자당의 분해를 필요로 하는 싱크조직에서 자당의 unloading을 돕고, 자당을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