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VOCs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28초

염소계 탄화수소의 열촉매 분해와 황화합물에 의한 촉매독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rmal Catalytic Decomposition of Chlorinated Hydrocarbons and Catalyst-Poison Effect by Sulfur Compound)

  • 조완근;신승호;양창희;김모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7-583
    • /
    • 2007
  • 다양한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독성오염물질들을 제어하는 기존의 기술이 안고 있는 일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이금속 지지체로 구성된 스테인레스스틸-백금 촉매를 이용하는 열촉매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섯 가지의 염소계 탄화수소[chlorobenzene(CHB), chloroform(CHF), perchloroethylene(PCE), 1,1,1-trichloroethane(TCEthane), trichloroethylene(TCE)]의 열촉매 분해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촉매독이 열촉매 분해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열촉매 시스템의 주요 세 가지 운전인자인 유입농도, 소각 온도 및 촉매시스템내 체류시간이 본 연구에서 고려되었다. 유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소계탄화수소의 분해효율이 최대 100%에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최저 0%(CHB) 가까이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CEthane을 제외한 네 가지 염소계탄화수소의 분해효율은 온도 증가에 따라 100% 가까게 나타났으나, TCEthane의 분해효율은 온도가 증가해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CEthane을 제외한 조사대상물질에 대하여 촉매시스템내의 체류시간이 10초에서 60초로 증가시 오염물질에 따라 30%에서 97%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TCEthane은 체류시간 30초에서 분해효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체류시간 길이가 항상 분해효율과 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염소계 탄화수소를 보다 고효율로 제어하기 위해서 전이금속 촉매시스템을 적용할 경우에 유입농도, 반응온도, 그리고 촉매시스템내 체류시간과 더불어 제어하고자하는 오염물질의 종류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으로, 황화메틸 1.0 ppm을 첨가함으로서 조사대상오염물질의 분해효율이 $0\sim50%$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지만, 일반적으로 산업 배기가스에서 측정되는 황화합물의 오염도 수준보다 다소 낮은 농도에 해당하는 황화메틸 0.1 ppm을 오염물질에 첨가하였을 때는 오염물질의 분해효율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습 주기에 따른 벽면형 식물바이오필터의 토양 수분 안정화 및 실내공기질 정화 (Stabilizing Soil Moisture and Indoor Air Quality Purification in a Wall-typed Botanical Biofiltration System Controlled by Humidifying Cycle)

  • 이창희;최봄;천만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605-617
    • /
    • 2015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실내의 공간과 식물바이오필터의 규모에 따라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식물 녹화와 자동관수 그리고 생물학적 여과 기능을 통합한 식물바이오필터 시스템의 개발이다. 본 연구는 가습 주기에 따른 벽면형(수직형) 식물바이오필터내 공기 흐름의 특성에 대한 안정성과 미세먼지 제거율을 비교하고, 이 식물바이오필터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율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식물바이오필터는 실내 공간 활용에 적합하도록 물펌프, 물탱크, 송풍기, 가습장치, 그리고 다층구조의 식물 식재 공간을 일체형으로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물펌프에 의해 작동하는 세 가지 다른 가습 주기 처리에 관계없이 식물바이오필터의 상대습도, 온도, 그리고 토양 수분 함량은 안정된 값을 나타내었다. 토양 수분 함량은 모든 가습 주기 처리에서 27.1-29.7%의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였으며, 특히 15분 작동 45분 작동 중지의 가습 주기를 120시간 동안 처리하여 $29.0{\pm}0.2%$의 평균 토양 수분 함량을 유지하면서 가장 수평적인 일차회귀식(y = 0.0008x + 29.09)을 보여주었다. 가습 주기에 따라 식물바이오필터를 통과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입자 수에 대한 제거율(RE)은 각각 82.7-89.7%와 65.4-73.0% 범위에 있었고, PM10의 무게에 대한 RE는 58.1-78.9%의 범위에 있었다. 식물바이오필터를 통과한 자일렌, 에틸벤젠,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톨루엔의 RE는 71.3-75.5%의 범위에 있었으나, 벤젠과 포름알데히드의 RE는 각각 39.7%와 44.9%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내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본 벽면형 식물바이오필터는 실내 공기 정화에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새 학교 건물 내 실내공기질이 재실자의 안구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Eye Conditions of Occupants in Newly-built University Buildings)

  • 김우재;김선덕;김효진;김호현;이철민;김윤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1-207
    • /
    • 2011
  • 목적: 신축된 대학교 건물 내에서 수업 등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이 안구증상 및 새집증후군 증상 등의 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교 신축건물을 선정하여, 1개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참여대상자는 33명이었고, 개개인의 특성 파악을 위해 사전 설문조사(성별, 연령, 흡연여부, 콘택트렌즈 착용여부, 음주여부 등)를 실시하였다. 1차 실내유해물질 및 연구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설문조사(1차) 및 안구증상은 10월 학기 중에 실시하였고, 2차 조사는 2개월 후인 12월 학기말에 실시하였다. 실내공기질 측정은 1차 설문조사 시와 2차 설문조사 시 측정하였으며 실내공기 중 가스상 물질인 알데하이드류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측정하였다. 결과: 새 건물 내 실내공기질 평가항목 중 폼알데하이드는 1차 측정 시 22.90 ${\mu}g/m^3$, 2차 측정 시 16.79 ${\mu}g/m^3$로 감소되었고, 그 외 대부분 물질에서도 1차 입주 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은 1차 측정 시 448.54 ${\mu}g/m^3$, 2차 측정 시 62.55 ${\mu}g/m^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눈의 자극 증상은 안구증상 등 임상평가에서 1차와 2차 노출에 따른 연구참여자들의 건성안 유발이 확인되었으며, 1차와 2차 측정을 비교한 결과, 2차 측정시의 오전은 1차에 비해 건조감이 심해졌다. 결론: 재실자는 오전에 비해 오후에 건조안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안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알데하이드류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실내공기질 측정결과와 안구증상과의 연관성에서 유해물질에 의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일관성 있는 결과는 도출되지 않았다.

유기지방산 신규악취물질에 대한 저온농축 열탈착방식 (Thermal desorber)의 검량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alibra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fatty acids designated as new offensive odorants by cryogenic trapping-thermal desorption technique)

  • 안지원;김기현;임문순;주도원
    • 분석과학
    • /
    • 제22권6호
    • /
    • pp.488-497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2010년 기준의 지정악취물질에 해당하는 유기지방산과 함께 기존 VOC류 지정 악취물질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흡착관-열탈착 분석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분석기법의 검량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Tenax TA를 충전한 시료흡착관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유기지방산 4종 (propionic acid (PA), butyric acid (BA), isovaleric acid (IA), valeric acid (VA))을 위시한 13 가지 조사성분을 함유한 작업용 표준시료를 주입하고 저온농축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유기지방산의 분석감도를 절대량 (ng) 및 농도기준 (ppb)의 검출한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다른 일반적인 VOC 악취성분들에 비해 약 1.5-2배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PA: 0.24 ng (0.16 ppb), BA: 0.19 ng (0.11 ppb), IA: 0.15 ng (0.07 ppb), and VA: 0.28 ng (0.13 ppb)). 분석의 재현성을 RSE로 표시할 경우, 대부분의 성분들이 5% 이내로 안정적으로 나타난 반면, BA (8.02%), IA (14.0%), VA (5.08%)는 5%가 넘을 정도로 낮은 재현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한 검량으로 비교하였을 때, 대다수 성분의 재현성이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다(PA: $1.1{\pm}0.4%$, BA: $10{\pm}0.46$, IA; $12{\pm}0.3%$, VA: $4{\pm}0.1%$). 이 연구의 결과, 악취공정시험법에서 유기지방산의 분석방법으로 권장한 알칼리 흡수법에 대비하여 흡착튜브를 이용한 시료의 채취가 보다 유용한 대체방법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활동 양상과 국소환경 농도를 이용한 근로자의 유해 공기오염물질 노출 예측 (Estimation of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ants for Workers Using Time Activity Pattern and Air Concentration of Microenvironments)

  • 이현수;이석용;이병준;허정;김순신;양원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6-445
    • /
    • 2014
  • Objectives: Time-activity studies have become an integral part of comprehensive exposure assessment and personal exposure modeling.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exposure levels to nitrogen dioxide($NO_2$)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nd to compare estimated exposures by using time-activity patterns and indoor air concentrations. Methods: The major microenvironments for office workers were selected using the Time-Us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Korea in 2009. A total of 9,194 and 6,130 workers were recruited for weekdays and weekends, respectively, from the Time-Use Survey. It appears that workers were spending about 50% of their time in the house and about 30% of their time in other indoor areas during the weekday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time-activity patterns of 20 office workers and indoor air concentrations in Daegu using a questionnaire and time-activity diary. Estimated exposure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concentrations using the time-weighted average analysis of air pollutant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time-activity pattern for the office workers, time spent in the residence indoors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have been shown as $11.12{\pm}2.20$ hours and $12.48{\pm}1.77$ hours,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higher hours in the winter. Time spent in the office in the summer has been shown to be 1.5 hours higher than in the winter. The target pollutants demonstrate a positive correlation ($R^2=0.076{\sim}0.553$)in the personal exposure results derived from direct measurement and estimate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s by applying the time activity pattern, as well as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partial environment to the TWA model. However, these correla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ay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ing caused by other indoor environments, such as a bar, cafe, or diner.

치과병·의원 환기방법에 따른 실내공기질 자각증상 수준 및 근무환경 만족요인 (A Subjective Symptom Level and Satisfaction Factor by Indoor Air Quality According to Ventilation System in Dental Clinic)

  • 최미숙;지동하;최재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53-359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가 근무하는 병원의 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히드(HCHO), 이산화탄소($CO_2$), 일산화탄소(CO),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가 치과위생사의 건강 및 작업능률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근무하는 병원의 냉 반방 방식 및 창문개폐를 통한 환기 횟수에 따른 실내공기질에 대한 신체자각증상 정도를 비교하고, 근무하는 병원의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환경 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므로써 치과위생사의 건강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근무환경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전국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로 하였으며 2010년 10월 1일 부터 2011년 1월 2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582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냉 난방 방식별 창문 개폐를 통한 하루 환기 횟수를 비교한 결과 창문개폐를 통한 환기가 편리한 개별 냉 난방 방식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는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자각증상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가장 많이 느끼는 시간은 오후 2시 전 후이며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한 지 1시간 경과 후인 3시 전 후에 불편함의 정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치과위생사의 자각증상에 따른 불편함 수준을 냉 난방 방식 및 하루 창문개폐를 통한 환기 횟수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창문 개폐를 이용하여 자연환기가 유리한 개별 냉 난방 방식의 사무실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근무하는 병원의 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실내공기 조건과 관련된 항목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병원 공기의 냄새가 기분 좋게한다", "병원 실내 온도조건은 근무하기에 편하다", "병원의 조명은 일하기에 적당한 편이다", "병원의 환기가 잘 된다", "병원 시끄러움", "병원공기가 신선하다고 느낀다", "병원 더움"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2.9%인 것으로 나타났다.

LC50 Determination of tert-Butyl Acetate using a Nose Only Inhalation Exposure in Rats

  • Yang, Young-Su;Lee, Jin-Soo;Kwon, Soon-Jin;Seo, Heung-Sik;Choi, Seong-Jin;Yu, Hee-Jin;Song, Jeong-Ah;Lee, Kyu-Hong;Lee, Byoung-Seok;Heo, Jeong-Doo;Cho, Kyu-Hyuk;Song, Chang-W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93-300
    • /
    • 2010
  • tert-Butyl acetate (TBAc) is an organic solvent, which is commonly used in architectural coatings and industrial solvents. It has recently been exempted from the definition of a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by the Air Resources Board (ARB). Since the use of TBAc as a substitute for other VOCs has increased, thus its potential risk in humans has also increased. However, its inhalation toxicity data in the literature are very limited. Hence, inhalation exposure to TBAc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ts toxic effects in this study. Adult male rats were exposed to TBAc for 4 h for 1 day by using a nose-only inhalation exposure chamber (low dose, $2370\;mg/m^3$ (500 ppm); high dose, $9482\;mg/m^3$ (2000 ppm)). Shamtreated control rats were exposed to clean air in the inhalation chamber for the same period. The animals were killed at 2, 7, and 15 days after exposure. At each time point, body weight measurement,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alysi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biochemical assay were performed. No treatment-related abnormal effects were observed in any group according to time cours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median lethal concentration ($LC_{50}$) of TBAc was over $9482\;mg/m^3$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MSDS, the 4 h $LC_{50}$ for TBAc for rats is over $2230\;mg/m^3$. We suggested that this value is changed and these findings may be applied in the risk assessment of TBAc which could be beneficial in a sub-acute study.

대기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생물살수여과법의 운전인자와 성능평가 (Operating Parameters and Performance of Biotrickling Filtration for Air Pollution Control)

  • 원양수
    • 공업화학
    • /
    • 제16권4호
    • /
    • pp.474-484
    • /
    • 2005
  •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처리는 기존의 처리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유기화합물 또는 악취가 포함된 저농도 고유량의 공기를 처리하는데 효과적이다. 생물학적 처리 방법은 기존의 소각 또는 흡착 방법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주요 장점으로 처리비용이 저렴하고, 2차 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며, 화학물질이 사용되지 않고, 에너지 사용이 적으며, 상온에서의 운전 등이다. 대기오염물질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하는데는 생물여과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여러 제약이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물살수여과법에 대한 개발연구가 수년 전부터 수행되어 왔다. 생물살수여과법은 생물여과법에 비해 다소 복잡하나 난분해성 물질이나 분해과정에서 산이 생성되는 경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생물살수여과법을 이용한 대기중 VOC 처리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로서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제어를 위한 생물살수여과법의 기본 원리와 이론 및 실용적 내용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생물살수여과법의 운전인자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자동차 평균통행속도 적용방식에 따른 대기오염 배출량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ir Pollutants Emissions according to Three Averaging Methods of Vehicular Travel Speed)

  • 조규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1-41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be able to estimate the vehicular emissions according to spatial scales-Seoul province, 25 counties and hundreds of grids $(1km{\times}1km)$. First, the emissions at each spatial scale was calculated by using the road network and the travel volume and speed of each link modeled by travel demand model (TDM). Second, the emission at each spatial scale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verage speeds estimated by using three kinds of averaging method. These are called the provincial, volume-delay function (VDF) and zonal method, respectively. Third, three kinds of emissions and those by TDM are compared each other at three spatial scales. In Seoul (provincial scale), three kinds of emissions are less than those by TDM, but the differences of TDM from three speed averaging methods (SAMs) are small. The relative ratios of three SAMs to TDM are $88\~90\%\;in\;CO,\;99\~100\%\;in\;NOx,\;84\~85\%$ in VOCs. At county scale, NOx among three pollutant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DM and three SAMs and the zonal method among three SAMs was proven to b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DM. NOx showed the coefficients $(R^2)$ greater than 0.9 in all three SAMs but CO and VOC showed the coefficients $(R^2)$ greater than 0.9 in only zonal method. Slopes of co..elations of all pollutants showed the values close to '1' in zonal method. In the other two SAMs, slopes of NOx showed the values close to '1', but those of CO and VOC showed the values less than 0.85. At grid scale, correlations between TDM and three SAMs were not high. CO showed $0.68\~0.77\;in\;R^2s\;and\;58\~0.68$ in slopes. NOx showed $0.90\~0.94\;in\;R^2s\;and\;0.86\~0.94$ in slopes. VOC showed $0.56\~0.70\;in\;R^2s\;and\;0.48\~0.57$ in slopes. There are not high correlations between TDM and three SAMs in grid scale.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calculating the average travel speed at each spatial scale and it is thought that the zonal method is more suitable than the VDF or provincial method.

활성탄섬유를 이용한 확산포집기의 공기 중 유기용제 포집효율에 관한 연구 (The Sampling Efficienci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to the Diffusive Monitor with Activated Carbon Fiber)

  • 변상훈;박천재;오세민;이창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7-201
    • /
    • 1996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diffusive monitor using activated carbon fiber(ACF, KF-1500) in measuring airborne organic solv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studied as critical to the performance of diffusive monitor; recovery, sampling rate, face velocity, reverse diffusion and storage stability. For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is monitor, MIBK, PCE, toluene were used as organic solvents. In the sampling rate experiments, eight kinds of solvents (n-hexane, MEK, DIBK, MCF, TCE, CB, xylene, cumene) as well as the above solvent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sorption efficiencies(DE's) of ACF diffusive monitor ranged from 83 % to 101 %. In contrast, those of coconut shell charcoal ranged from 78 % to 102 %. Especially, the DE's of ACF for the polar solvents such as MEK were superior to those of charcoal. 2. Experimental sampling rates on ACF were average 42ml/min(37-46ml/min) for 11 organic solvents at $24{\pm}2^{\circ}C$, $50{\pm}5%RH$. However ideal sampling rates(DA/L) were 33 % higher than experimental sampling rates. 3. The initial response(15~16 min) of the testing monitor was 2 times higher than the actual concentration determined by the reference methods at $24{\pm}2^{\circ}C$, $8{\pm}5%RH$ and $80{\pm}5%RH$. Within 1 hours, the curve reached a linear horizontal line at low humidity condition. But sampling efficiencies decreased with respect to time at high humidity condition. And sampling efficiencies were higher at high humidity condition than low humidity condition for MIBK. 4. At very low velocity (less than 0.02 m/sec), the concentration of ACF diffusive monitor were poorly estimated. But ACF diffusive monitor were not affected at higher velocity(0.2 m/sec-0.6 m/sec). 5. There was no significant reverse diffusion when the ACF monitors were exposed to clean air for 2 hours after being exposed for 2 hours at the level of 1 TLV. 6. There was no significant sample loss during 3 weeks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nd 5 weeks of storage at refrige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