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nvironment friendly action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환경친화적 행동과 실천 장벽에 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Environment Friendly Behavior and Barriers to Implementing the Actions between Students and Environment Teachers)

  • 황은실;이재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1호
    • /
    • pp.97-109
    • /
    • 2005
  • This study was motivated to understand ways in which actors (students) perceived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actions in determining responsibility of so-called environment friendly actions. To understand hidden reasons by which students conduct specific environmental actions more or less frequently may be more important and meaningful for environment teachers than to measure and know the frequency that their students do such actions. This study has been implemented by applying questionnaire survey to 752 ru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211 environment teachers.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of environment friendly actions and barriers to implementing those actions between students and environment teachers, frequency analysis and f-test have been conducted.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ere a number of evidenc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of environment friendly behavior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erm of action frequency,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observed in 11 of the listed 20 actions. Similar resulted have been found in terms of perceived difficult, perceived effectiveness, and perceived guilty. These results seem to support an argument that the current list-making and checklist style of connecting students to so-called environment friendly actions need to be reviewed in a critical manner.

  • PDF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지식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Knowledg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35-24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co-friendly attitude and level of knowledge about environ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find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nd analyse with surveys about eco-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knowledge questionnaire targeting the 2nd semester of 2013 32 people of fast stream class 2nd grade. Also, w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the test results of eco-friendly attitudes. Results for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verage of eco-friendly attitudes test result is 'cognitive area(60.22)> definitional area(53.69)> behavioral area(52.72)'. These results are 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re knowledgeable about the environment, but they are passive at the execution act about environment. Second, the avera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nvironmental knowledge result is the highest to the protect the environment, for the average(26.25). It is interpreted that they acquired the most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Third, It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co-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knowledge. It means that although they acquired a lot of knowledge related to the environment, it is not affected to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 putting ideas into action about environment.

생활폐기물 감량을 위한 자원 재활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주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usehold Wastes Diminution and Recycling of Seoulite Housewives)

  • 최남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59-70
    • /
    • 2001
  • The study was designed to heap reduce daily household waste and promote the recycling of society's resources. the focus is on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activities and slevating a sense of nature-conscious domestic welfare, as well as providing wars to encourage garbage-savvy shopping, waste disposal by content and recycling. The thesis utilized demographic data obtained from 225 female homemakers and includes results based on frequency, ratio, mea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ppears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adjustment of purchases to reduce waste and of recycling. Conversely more action seems to be taken on the waste disposal separation established since the launch of the volume-based waste collection fee system than on environmental education. 2. Homemakers with relatively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reciprocate with correspondent shopping habits, waste disposal eparation and recycling. Factors that influence daily waste reducing action includ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omemaker employment status and the type of residence. 3. Activities reducing daily domestic wastes appear to effect a meaningful variable in explaining a sense of environmental welfare. The more respondents practice related shopping habits, waste disposal separation or recycling the more they recognize their living environment as desirable.

  • PDF

환경친화적 디자인을 위한 실천을 관한 연구 (A Study on practice for an Environment Friendly Design)

  • 송인호;이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33-41
    • /
    • 2000
  • 인간은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위하여 지구의 생태계를 외면한 채 산업화의 길을 걸어왔으며 이로 인한 폐품의 처리, 자원의 고갈, 오존층의 파괴, 대기 및 수질, 토양의 오염 등의 생태계 균형이 깨지면서 인간의 생존권마저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하에 최근에 와서는 전 세계에 걸쳐 기업경제활동 방식과 소비의식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환경친화적 디자인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과 소비자 측면에서의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불이익은 환경의 중요성을 알면서도 적극적인 환경친화적 제품의 생산활동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특히 고집적, 다품종 소량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가제제품의 경우에는 타 분야의 활동에 비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아직 재활용 소재의 사용 및 천연소재의 적용 등 물리적 측면에서의 소극성은 여전하며, 그 적용사례도 드물다. 그러므로 디자인 단계에서의 자연생태계를 위한 적극적인 사고와 실행은 더욱 중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현실에 비추어 기업과 소비자 그리고 환경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디자인을 위하여 기초가 되는 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컨벤션 참가자의 환경인식과 친환경 컨벤션 속성에 관한 수용도 및 참여의도 (Convention Participants' Environmental Awareness, Acceptance of Environment-friendly Convention Attribute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 최현주;김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31-441
    • /
    • 2011
  •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확산되면서 컨벤션산업에서도 친환경적인 경영활동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국내외 정부기관 및 컨벤션 관련 조직 등에서 친환경 컨벤션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으며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주최자와 공급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컨벤션 최종 수요자인 참가자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컨벤션 참가자들의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환경인식수준에 따른 친환경 컨벤션 속성에 대한 참가자의 수용도와 참여의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컨벤션 참가자들은 전반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해 높은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친환경 컨벤션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 수립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가자의 친환경 컨벤션 속성에 관한 수용도는 '개최장소>참가활동>교통수단>식음료>현장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환경인식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친환경 컨벤션 속성에 대해 모두 높은 수용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컨벤션 속성이 참가자의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두 집단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교통수단', '참가활동', '현장운영'은 공통적으로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duction of Azadirachtin from Plant Tissue Culture: State of the Art and Future Prospects

  • Prakash, Gunjan;Bhojwani, Sant S.;Srivastava, Ashok 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4호
    • /
    • pp.185-193
    • /
    • 2002
  • With Increasing awareness towards environment-friendly and non-toxic pesticide azadirachtin obtained from neon tree (Azadirachta indica) is gaining more and more importance. Its broad-spectrum activity, Peculiar mode of action. eco-friendly and non-toxic action towards beneficial organisms has offered many advantages over chemical pesticides. All currently use commercial formulations based on azadirachtin contains azadirachtin extracted from seeds of naturally grown whole plants which is labour intensive process depending upon many uncontrollable geographical and climatic factors. Plant tissue culture can be a potenti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fering consistent, stable and controlled supply of this bioactive compound, However the research on tissue culture aspects of production are in preliminary stage and requires culture and process optim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commercially viable process. This review states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of plant tissue culture for azadirachtin production.

친환경 의생활 영역에 관한 교과서분석 - 중학교 "기술.가정" 2 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Textbook in Eco Friendly Clothing-related Contents - Based o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2 -)

  • 이희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7-130
    • /
    • 2015
  • As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a worldwide concern after the 20th century, the idea and the term of 'green growth development' has become familiar to the public. After 2008, the green growth development dramatically became an important ideology in Korea; thus industries, studies and product investments in relation are in active progress. Following the trend, the latter major unit of the middle school textbook "Technology & Home Economics" was named the revis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2009. The learning goal of 'green' or 'eco-friendly' of the revised edition of the textbook will guide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ssues of clothing habits and the environment. Furthermore, students will be able to apply the 'green' concepts in their real life and put eco-friendly clothing habits into action. Thus, the practice of effective learning will depend on the quality of the current issue of the textbook.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co-friendly contents of the semi-unit from 7 different textbooks and presents an example of textbook production to the preliminary teacher of home economics.

  • PDF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환경의식이 친환경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Eco-friendly Consciousness of the Undergraduate by the Lifestyl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Eco-friendly Products)

  • 한동여;이정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83-91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분류하여 그 유형별로 환경의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환경의식은 친환경제품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건강지향형은 환경실천과 환경보호의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자기추구형과 적극활동형의 유형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값으로 기각되었다. 둘째, 환경보호가 높은 집단이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있어서 유의한 수준으로 가설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건강지향형의 라이프스타일을 지닌 대학생들이 환경에 대한 의식이 높았으며, 환경보호의식이 높은 집단에서 친환경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치유적 환경의 관점에서 고령친화 커뮤니티 환경디자인의 평가체계 연구: 중국 고령자 중심으로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Design for an Age-Friendly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a Healing Environment: Focus on the Elderly in China)

  • 사린;정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96-308
    • /
    • 2022
  • 코로나-19 사태에서 60세 이상 노인들은 우울, 불안,공포 등 다양한 심리건강 문제가 생겼고, 커뮤니티는 노인 활동의 유일한 공간이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FGI 인터뷰와 계층 분석법 AHP를 활용하여 치유적 고령친화 커뮤니티 환경디자인 평가체계를 제시하였다. 평가체계는 3차원 공간, 10개 상위 계층과 68개 하위 계층이다. 또한 전문가 설문조사와 SPSS 프로그램 분석를 통해 평가체계의 각 지표의 가중치를 배분하였다. 첫째, 물질 공간 환경디자인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공용공간 활동시 쾌적성과 건강성을 충족시켜야 한다. 둘째, 사회적 공간환경 디자인은 노인들의 교류와 사회적 연계를 촉진한다는 취지로 디자인을 한다. 셋째, 운영 공간 환경디자인은 커뮤니티 운영회사의 운영체제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주거환경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기술적 근거와 행동지침을 제공하여 고령자 심리의 건강 향상을 기대해 본다.

자연친화적 하천사업 및 통합적 유역 관리를 위한 새로운 수환경 분류법 및 자료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New Classification Criteria and Database Code of Water Environment for Nature-Friendly River Work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shed)

  • Noguchi, Masato;Kang, Sang Hyeok;Kim, Joon Hyun;Nishida, Wataru;Fujisaki, Nobuhito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103-112
    • /
    • 1998
  • 일본에서는 자연친화형 하천사업을 많이 시행하고 있다. 바람직한 수환경을 보전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하천내외의 생태계에 대한 수질기준을 정립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지표를 사용한 수질 분류 방법을 개발하여 나가사키현의 혼묘하천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수질 분류를 위하여, 수정된 오염물 지표 분류법을 제안하였다. 비교적 단순한 방법이지만, 가장 많은 종에 대한 3가지 지표만으로 수질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하천유역의 통합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생태계 자료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자료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건전한 수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각종 생태계 자료를 쉽게 취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사용하여 수질자료를 개선하고, 시민들의 의식을 고양하며, 하천관리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일본에서는, 자연친화적 하천복원사업에 있어서 시민들의 의식 및 행동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