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Textbook in Eco Friendly Clothing-related Contents - Based o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2 -

친환경 의생활 영역에 관한 교과서분석 - 중학교 "기술.가정" 2 교과서를 중심으로 -

  • Lee, Hee-Hy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이희현 (가톨릭관동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4.11.21
  • Accepted : 2015.01.14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As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a worldwide concern after the 20th century, the idea and the term of 'green growth development' has become familiar to the public. After 2008, the green growth development dramatically became an important ideology in Korea; thus industries, studies and product investments in relation are in active progress. Following the trend, the latter major unit of the middle school textbook "Technology & Home Economics" was named the revis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2009. The learning goal of 'green' or 'eco-friendly' of the revised edition of the textbook will guide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ssues of clothing habits and the environment. Furthermore, students will be able to apply the 'green' concepts in their real life and put eco-friendly clothing habits into action. Thus, the practice of effective learning will depend on the quality of the current issue of the textbook.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co-friendly contents of the semi-unit from 7 different textbooks and presents an example of textbook production to the preliminary teacher of home economics.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훈. (2014). 교과서는 교육의 질을 담보하는 길라잡이. 한국교과서연구재단 교과서연구 77, 5.
  2. 김지선. (2013). 2000년 이후 패션소재에 나타난 친환경 경향과 그 특징.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4), 83-86
  3. 김지숙 외 11인. (2011). 중학교 기술.가정 2. 서울: 비상교육.
  4. 녹색성장위원회, 자료검색일 2014. 10. 25, 자료출처 www.greengroth.go.kr.. .
  5. 환경, 자료검색일 2015. 10. 25, 자료출처 http://www.un.org/geninfo/bp/enviro.html/.
  6. 성희원. (2008). Eco-sumer를 위한 친환경 패션 제품 수용에 관한 연구: 소비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연구성과물과제 경상대학교, 4-11.
  7. 이상봉외 24인. (2011). 중학교 기술. 가정 2. 서울: 교문사.
  8. 이진우, 이은주. (2013). 제5의 물결, 녹색인간. 서울: 예담.
  9. 이희현. (2014). 중학교 '기술. 가정' 2 교과서 의생활영역의 교과 내용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137-156
  10. 장남경, 김윤정, 주진나. (2007). 패션 산업에서의 친환경 디자인. 복식문화, 15(6), 957-961.
  11. 정성봉외 11인. (2011). 중학교 기술. 가정 2. 서울: (주)교학사.
  12. 정철영외 15인. (2011). 중학교 기술. 가정 2. 서울: 두산동아.
  13. 조강영외 13인. (2011). 중학교 기술. 가정 2. 서울: 금성출판사.
  14. 줄리아 헤일즈. (2014). 뉴 그린 커슈머 가이드.(녹색소비자연대 역). 서울: 세창미디어. (원저 2007 출판)
  15. 채정현외 11인. 중학교 기술. 가정 2. 서울: (주)삼양미디어.
  16. 최진아. (2014). 교육과정 중심의 중학교 교과서 활용 사례. 한국교과서재단 교과서연구 78. 75.
  17. 최완식 외 11인. (2011). 중학교 기술. 가정 2. 서울: 지학사.
  18. 하승연. (2009). 친환경패션에 나타난 디자인적 요소의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3(8), 1281.
  19. 한국교과서 연구 재단. 자료검색일 2014. 9. 10, 자료출처 http://www.textbook.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