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intention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1초

창업생태계 변화가 여성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Change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on Women Entrepreneurial Intentions)

  • 전혜진;박재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2호
    • /
    • pp.85-96
    • /
    • 2015
  • 창조경제의 핵심은 개개인들의 역량을 경제적 가치로 연결하는데 있다. 개인들의 경제가치 창출에 있어 여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남성들은 이미 다수가 경제활동인구로 활동을 하고 있는데 반해 비경제활동인구의 여성들을 경제활동인구로 전환시켰을 때 더 큰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우수한 여성인력들이 실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사장되어 있어 여성사회참여도 여성경제활동률 등이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창업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효과적인 접근방법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여성 근로자를 충분히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는 여성창업자의 증가는 여성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창업과 취업의 고른 성장을 이끌며 여성의 경제참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의 경제활동을 높이는 방안을 찾는 근간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창업, 성장, 회수, 재투자/재도전이 선순환 되는 창업생태계 중 창업자의 심리적특성과 창업지원기관의 창업교육 그리고 창업환경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창업환경이 조절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고학력자와 경력자 등의 우수인력을 다시 사회로 끌어내기 위해 연구의 대상은 정규교육과정에 있는 학생이 아닌 경력단절여성으로 한정지어 진행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심리적특성, 창업교육, 창업환경이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심리적특성과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창업환경이 조절효과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경력단절여성의 경우 경력의 단절과 개인 네트워크의 단절이 함께 일어나게 되면서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교육의 기회에서 배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특성, 창업교육, 창업환경 등의 창업생태계가 여성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확인하였다. 정부는 창업생태계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 중에 있다. 그 중 경력단절 여성의 개인네트워크 구축이나 여성창업에 대한 주변인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창업환경 조성에 대한 노력을 보탠다면 더욱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의 경제활동 복귀를 돕기 위해 심리적특성을 고려하며,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지를 높이는 일에 역점을 두어 경력단절여성창업활성화 및 사회 재 참여율 증가를 가져 오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정책 방안 수립을 위해 후속연구를 통해 창업생태계의 다양한 요인들을 더 살펴보고 하위 요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후속 연구가 꾸준히 배출되었으면 한다.

  • PDF

Determinant Factors of Young People in Preparing for Entrepreneurship: Lesson from Indonesia

  • WARDANA, Ludi Wishnu;HANDAYATI, Puji;NARMADITYA, Bagus Shandy;WIBOWO, Agus;PATMA, Tudung Subali;SUPRAJAN, Sandy Ek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555-565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 factors affecting young people in preparing entrepreneurship in Indonesia. This study involved several variables, including the need for achievement, risk perception, locus of control, entrepreneurial attitude to predi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preparation for entrepreneurship among young people. The approach utilized in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using a survey mode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young people in East Java, Indones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Partial Least Square (SEM-PLS) was implement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attitudes toward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young people in Indonesia are determined by several variables such as the need for achievement, risk perception, and locus of control.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showed one positive direction in which all independent variables can influence dependent variables. Additio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s a robust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entrepreneurship and preparing for entrepreneurship among young people. Lastly,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preparation for entrepreneur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need to be concerned about entrepreneurial programs to promote young entrepreneurs.

A Study on Elderly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in China

  • ZHANG, Lili;SOROKINA, Nadezd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335-346
    • /
    • 2022
  • Elderly entrepreneurship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 response to the impact of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resulting demand on government support systems, as well as a means of ensuring long-term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derly's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the hotel and tourism sector in Ma'anshan City, Eastern China. The researcher used an online survey of older people aged 50 to 64 in a tourism destination that is approaching an aging society stage to see i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an explain the entrepreneurial ambitions of the elderly in the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There were 391 questionnaires gathered in all, 367 of which were vali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veals that personal attitudes toward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are highly influenced by societal norms. It also shows that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are antecedents of the elderly's entrepreneurial intent in this particular industry. This research adds to the research on geriatric entrepreneurship in hospitality and tourism, as well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seniors in China, helping to alleviate the country's aging demographic concerns.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Compassion, Moral Obligation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Examining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 이채원;오혜미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127-139
    • /
    • 2017
  • 본 논문은 '의도(Intention)는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사회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근간을 두고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과 Shapero의 기업가정신행동모델(Shapero's Model of the Entrepreneurial Event: SEE)에 근간하여 많은 연구들은 기업가적 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기 효능감(Self Eficacy), 지각된 욕구(Perceived Desirability), 지각된 실현가능성(Perceived Feasibility) 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맥락에서 사회적 공감(Compassion), 도덕적 의무감(Moral Obligation),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Perceived Social Support)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공감(Compassion)은 다른 사람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일반인 혹은 일반 기업인들에 비해 사회적 기업가가 갖는 두드러진 특성이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는 사회적 기업가적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도덕적 의무감을 주관적 규범으로서 중시한다. 또한 개인이 갖는 특성 변수 외에 외생적 요소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하느냐가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기업가정신 과목 수강을 선택한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공감능력(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사회문제 공감)과 주관적 규범으로의 도덕적 의무감은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 즉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주로 기존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특성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의도(Intention)에 영향요소임을 밝힘으로써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 연구 분야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청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창업 멘토링 유무의 차이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Youth Entrepreneurship : A Comparative Study of Mentored vs. Non-Mentored Groups)

  • 이준병;이상직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201-223
    • /
    • 2024
  • 창업과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연구가 적은 청년을 대상으로 한 창업과 관련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특히 창업 멘토링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중 유효한 250부를 구조방정식 검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청년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기술적 제약은 청년 창업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미래불확실성과 실패부담감은 유의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청년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지각된 행동통제, 직무스트레스, 기술적 제약, 주관적 규범 순이었다. 창업 멘토링을 받지 않은 집단이 창업 멘토링을 받은 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규범, 기술적 제약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PPM(Push-Pull-Mooring)과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를 결합한 모형의 창업분야 연구의 유용성을 검정한 것이며, 실무적으로는 창업 멘토링은 청년 창업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요소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한국과 중국의 예비 창업자의 창업의지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Intentions of Korean and Chinese Preliminary Entrepreneurs)

  • 공령유;김인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2호
    • /
    • pp.109-127
    • /
    • 2019
  • Purpose South Korea and China have a long and deep relationship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here are many exchanges between economic and educational or other aspects. It will be interesting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preliminary entrepreneurs in South Korea and China.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intentions of Korean and Chinese entrepreneurs, an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entrepreneurs.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internal and external affecting variables, and one dependent variable as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in China. Data have been analyzed using a Lisrel 8.80 software.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ll variables except for successful role mode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nationality partially medi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Som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Influential 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Bangladesh

  • AKHTER, Ayeasha;HOSSAIN, Md. Uzzal;ASHEQ, Ahmed A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645-651
    • /
    • 2020
  • The concept of social entrepreneurship (SE) is gaining attention in developing economies for the purpose of greater societal welfare maximization. Still, findings in the field of SE studies have been riddled with conflicting results and counterstatement. Also, the determinants of developing SE are not robustly investigated in developing economies like Bangladesh. This context has mobilized the authors of this current study to focus on determining student's intention to pursue SE as their career choice. Hence,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dictive determinant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I) among Bangladeshi students. The study ha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 prior experience, and educational support on SEI.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 public university of Bangladesh, and 23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Questionnaire items under each construct variable have been adopted from pre-tested research studies. Five-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measure the variables. SPSS version 23.0 has been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whic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SEI. Results exhibited that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ducational support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EI, while prior experience does not influence SEI.

창업가의 지각된 규범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창업가적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Perceived Norm and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Entrepreneurial Resilience)

  • 김완기;서상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86-1410
    • /
    • 2018
  • 창업가적 탄력성은 청년 창업가가 지녀야 할 핵심 역량이다. 그러나 이의 중요성에 비해 관련 연구는 희소하며, 특히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의도를 예측하는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창업가적 탄력성을 포함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창업가의 지각된 규범과 창업가 자기효능감 및 창업가적 탄력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지각된 규범 및 창업가 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가적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잠재적 청년 창업가 443명으로부터 설문지법을 통해 분석대상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사회적 규범과 창업가 자기효능감은 창업가적 탄력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관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규범, 창업가 자기효능감, 창업가적 탄력성은 창업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또한, 간접효과 검증 결과, 창업가적 탄력성은 사회적 규범 및 창업가 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년 창업가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창업가적 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단, 표본이 일부 지역, 특정 대학으로 한정되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전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Maj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배병윤;이주헌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63-74
    • /
    • 2018
  • 한국 대학졸업자들의 실업은 최근 아주 심각한 수준인데 이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도를 진작시킬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내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여성창업자과 이공계창업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반해 성별과 전공의 차이에 따른 창업관련 변수들의 차이를 검증한 실증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외를 통해 기업가정신의 다양한 요인들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결측치를 제외한 339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선행 실증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이 남녀 모두에 있어 창업의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그 영향력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이공계 전공 대학생보다 이공계 전공 대학생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여성과 이공계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을 진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대학생들의 경력개발과 관련된 계획된 행동들이 창업실행에 미치는 영향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s)

  • 한정희;조건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1-118
    • /
    • 2015
  • 대학생들은 미래를 위해 계획적인 경력개발활동을 다양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취업과 창업은 서로 다른 길이라 여기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경력개발과 관련된 일련의 계획된 행동들이 창업의지와 실행에 관련이 있는지를 '계획된 행동이론을 토대로 실증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분한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연구가설 4를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주관적 규범 (가설2, 창업을 강조하는 무언의 압력환경)을 제외하고는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 또는 기타 기관에서 제공되는 창업관련 정보와 교육에서 다분히 의도된 창업교육은 지양해야 한다. 아르바이트, 자격증 취득과 같은 취업을 위한 경력개발활동도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였다. 효과적인 창업교육이 되기 위하여 대학생들이 창업관련 제반 교육 등이 본인의 경력개발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시켜, 창업에 대한 자신감인 자기효능감을 제공해 주는 것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