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toxin gen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초

경기지역 학교 단체급식소 식품 및 환경 중 식중독균 분석 (Analysis of Foodborne Pathogens in Food and Environmental Samples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at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 오태영;백승엽;구민선;이종경;김승민;박경민;황대근;김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95-19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당 환자수가 높아 식품안전관리 우선순위가 높은 단체급식소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에서 식중독균을 분석하고 이들 미생물의 병원성 인자 및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여 미생물 위험분석을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총 8개(농촌 3, 도시 4 및 벽지 1) 학교급식소에서 식품 시료(n=66), 조리도구(n=44) 및 환경 시료(n=56) 등 총 179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표세균 및 식중독균을 분석하였다. 식품 시료에서 총균수는 평균 4.7 log CFU/g, 최대 8.1 log CFU/g으로 대장균군의 평균 오염도 3.1 log CFU/g, 최대 오염도 4.0 log CFU/g으로 높았다. 선반 및 개수대 등 환경 시료의 총균수는 평균 2.7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나 대장균의 경우 평균 4.0 log CFU/g, 최대 5.4 log CFU/g으로 식품 시료보다 오염 수준이 높아 환경으로 부터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병원성 미생물 중 Bacillus cereus의 정량분석 결과 식품(원료, 조리단계 및 조리식품 포함) 시료에서 평균 2.1 log CFU/g, 최대 4.1 log CFU/g으로 분석되었으나, 이 중 조리된 식품의 오염도는 10,000 CFU/g 이하로 식품공전의 기준 이하로 오염되어 있었다. Escherichia coli는 식품 중 조리 전 시료(n=14)에서만 검출율 35.7%로 분석되었으며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조리 전 식품 원료(n=14)의 21.4%에서 검출되었으며 환경 시료(냉장고 손잡이)에서 1건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조리단계의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 외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는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모두 음성이었다.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hblACD, nheABC, entFM, cytK enterotoxin gene)를 분석한 결과 구토 유발 독소인 ces는 모두 음성이었으나 분석된 86주 모두 적어도 1종 이상의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66.2%의 균주는 설사 유발 독소유전자를 모두 보유하고 있었다. 식품과 환경에서 분리한 S. aureus(n=16)의 장독소 생성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1종 이상의 독소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전형적인 장독소유전자 중에서는 sea만 검출되었으며, 독소충격증후군 toxin(tst) 유전자는 모든 분리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집단 식중독 발생 시 초기 진료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항생제 내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E. coli(n=41)의 92.7%는 분석한 항생제 16종에 대해 내성을 보이지 않았고 cefazolin에 대한 내성률이 4.9%로 가장 높았으며, 1개 균주에서만 2개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을 보여 국내외 항생제 내성률보다 낮았다. S. aureus(n=16)는 시험한 19종 항생제 중 gentamicin에 대한 내성률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일부 균주에서 2주 항생제에 대해 다제내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단체 급식소 2개소의 조리도구와 환경 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특정균이 도구와 환경에서 중복 검출되어 도구와 환경 중 교차오염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단체급식소 식품, 조리도구 및 환경 중 위생지표균과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패턴을 분석하고 분리된 균주의 독성인자와 항생제 내성 정보를 분석하였다. 관련 정보는 단체급식소 미생물 위험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사전적, 정량적 안전관리 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식중독 유발의 다른 원인인 바이러스류와 기타 원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광주지역 생식용 소 부산물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A survey on hygiene management for raw by-products of beef in Gwangju area, Korea)

  • 김지연;장미선;고바라다;지태경;성창민;박다해;김현중;김은선;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9-216
    • /
    • 2013
  • A total of 301 samples of bovine liver, spleen and omasum were collected from butchers and restaurants in Gwangju, Korea during 2012 and all samples were subjected to bacteriological examination and antibiotic residues. Als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consciousness for hygiene of livestock workers who are handling bovine by-products in Gwangju. The detection rate of aerobic plate count (APC) was higher in summer than in other seasons in all by-products (P=0.000). The detection rate of E. coli count was lower in the liver than the spleen and omasum (P=0.000). Twenty four of the samples (8.0%) were contaminated with S. aureus while one spleen sample (0.3%) was contaminated with L. monocytogenes and finally 10 (3.3%) of the liver and omasum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Cl. perfringens. Five of the twenty-four S. aureus isolates harbored enterotoxin gene. However, the cpe gene of Cl. perfingens was not detected among any of the 10 isolates. Antibiotic residues were not detected in the liver samples. The consciousness survey's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m (58.8%) were safe.

A Comparison of Adult and Pediatric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Collected from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 Park, Jin-Yeol;Jin, Jong-Sook;Kang, Hee-Young;Jeong, Eun-Hee;Lee, Je-Chul;Lee, Yoo-Chul;Seol, Sung-Yong;Cho, Dong-Taek;Kim, Ju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5호
    • /
    • pp.447-452
    • /
    • 2007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stics of 138 MRSA isolates obtained from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adult, 50; children, 88). The resistance rates against gentamicin, clindamycin, and ciprofloxacin were much higher in the adult MRSA isolates than in the pediatric MRSA isolates. The ermC gene, which is responsible for inducible clindamycin resistance, was detected in 52(59.1%) of the 88 pediatric MRSA isolates but in only 5(10.0%) of the 50 adult MRSA isolates. MRSA isolates of clonal type ST5 with an integration of SCCmec type II/II variants was the most predominant clone among the adult isolates, while clonal type ST72 with an integration of SCCmec IV/IVA was the most predominant clone among the pediatric MRSA isolates.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and toxic shock syndrome toxin-1 were prevalent among the adult MRSA isolates but not among the pediatric MRSA isol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adult and pediatric MRSA isolates in terms of thei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SCCmec type, multilocus sequence type, staphylococcal toxin genes, and erythromycin resistance genes.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MRSA 균주의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rains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Busan Area)

  • 최성화;박은희;박연경;김정아;김남호;이영숙;빈재훈;박호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83-1089
    • /
    • 2008
  • 부산 지역 5개 2차 종합병원 설사환자 변에서 유래한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한 연구 결과,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142주 중 총 49주(34.5%)가 MRSA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중 MRSA 분리율이 '04, '05, '06년에 걸쳐 각각 30.0%, 32.7%, 46.7%인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RSA 균주의 항균제 내성 양상은 75.5%가 10종 이상의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1종 항균제에 대한 다제 내성균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MRSA주의 장독소 유전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 51%가 장독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30.6%가 독소유전자 A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밖에 C (8.3%), B (4.1%) 순이었다. MRSA 총 49주에 대해 PFGE를 수행하여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크게 7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부산지역 전체에 뚜렷하게 동일한 균주의 유행은 확인 할 수 없었으나, 종합병원 내에 소규모의 MRSA 유행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인천지역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linically Isolated Staphylococcus aureus)

  • 오보영;김정희;공용우;이제만;고종명;김용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05-310
    • /
    • 2008
  • 황색포도상구균은 주요한 기회 감염균으로, 최근 여러 가지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늘어나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관내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장독소 양성인 S. aureus를 대상으로 항생제 감수성시험 및 PCR을 이용한 tsst, eta, etb mecA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여 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고, tsst 양성인 MRSA를 대상으로 Pulse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에 의한 유전자형을 분석함으로서 경시적인 분자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2,281건의 대변에서 173주의 장독소 양성인 S. aureus를 분리하였으며 A독소와 C독소가 각각 39%, 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감수성 결과 장독소 양성주는 모두 MRSA였으며, 이중 51%가 tsst 양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eta, etb 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mecA 내성유전자는 MRSA 균주의 97%가 양성으로 나타났다. tsst 양성인 MRSA 88주를 대상으로 PFGE한 결과, 10개의 유형으로 나뉘었으며 그중 A형, H형 및 F형 이 각각 58%, 10%, 9%로 주요한 형으로 나타났다.

Bacillus cereus에 대한 길항적 저해 작용과 biogenic amines 분해 능력을 지닌 Bacillus licheniformis SCK A08 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SCK A08 with Antagonistic Property Against Bacillus cereus and Degrading Capacity of Biogenic Amines)

  • 이은실;김용상;류명선;정도연;엄태붕;조성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0-46
    • /
    • 2014
  • Biogenic amine은 주로 단백질이 풍부한 전통장류 중 된장과 간장에서 높게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 식중독 사고를 보면 biogenic amine중 tyramine, histamine과 putrescine에 의한 보고가 있다. 전통장류의 biogenic amine에 대한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장류 제조에 적합한 발효미생물 중에서 biogenic amine 비생성 및 분해하는 미생물을 선발하여 종균으로 적용한다면 biogenic amine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발효능력과 함께 유해균에 대해 강한 길항 능력을 지니며, biogenic amine을 생산하지 않지만 높은 분해능력을 보이는 균주를 선발하여 장류제조 종균으로의 이용가능성을 실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선발된 장류발효균주를 종균으로 이용하여 메주제조 및 청국장 제조 등에 이용한다면 biogenic amine과 Bacillus cereus를 안전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전통장류의 HACCP적용을 위한 HAZARD를 관리하는 우수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에는 단일 균종만 종균으로 사용할 경우 전통장류의 우수한 풍미를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균들을 적절하게 조합한 혼합발효를 통해 제조한다면 풍미가 좋을 뿐만 아니라, 위생문제를 해결한 우수한 장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설사 증상의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용혈성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의 인체로부터 분리된 균주로의 전이 (Transfer of Gene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oxin of Hemolyt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eces of Pig Suffering Diarrhea to Human Isolates)

  • 이계남;정병열;이연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6-294
    • /
    • 2004
  • 1997년과 1998년 사이에 설사 증상을 보이는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총56균주의 Escherichia coli를 분리하여 이중 용혈성을 나타내는 38균주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한천 희석법으로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36균주$(94.7\%)$가 tetracycline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고, 27주$(71.0\%)$는 ampicillin에 내성, 26균주$(68.4\%)$는 chloramphenicol에 내성, 그리고 21균주$(55.2\%)$는 tri-methoprim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aztreonam, amikacin, norfloxacin에 내성을 나타낸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중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다제내성(multiple drug resistance, MDR)을 보인 균주는 총 38 균주 중 21균주$(55.3\%)$였다. 또한 이중 디스크 시험법(Double Disk Synergy Test)을 수행한 결과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를 생산하는 균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수의 균주가 내열성 독소$(ST,89.5\%)$를 생산하였고, 다음으로 베로 독소(VT와 VTe, 각각$47.4\%$)와 이열성 독소$(LT,31.6\%)$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8균주$(21.0\%)$는 57만을 생산하였던 반면에 12균주$(31.6\%)$는 LT와 ST를 동시에 생산하였고, 13균주$(34.2\%)$는 ST, VT, VTe를 동시에 생산하였으며, 5균주$(13.2\%)$는 VT와 VTe를 동시에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 가지 독소를 동시에 생산하는 균주는 없었다. 또한 이 균주들은 매우 다양한 혈청형(serotype)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람에 직접적인 유해성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사람 방광 유래의 T-24세포와 장내 표피 유래의 Caco-2세포에 대한 부착능을 시험하였을 때, 16균주$(42.1\%)$가 T-24방광 세포에, 그리고 17균주$(44.7\%)$가 Caco-2장세포에 대해 강한 부착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11균주$(28.9\%)$는 두 세포 모두에 강한 부착능을 가지고 있었다. Filter mating method를 수행하여 이들 균주들의 독소 생산 유전자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사람에서 분리된 균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설사 중상을 나타내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용혈성 E. coli의 독성과 세포 부착능력, 그리고 항생제 내성간의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동물 분리 세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 능력이 유전자 전달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세균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인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통 중인 즉석·편의식품류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산생 Toxin 및 분자유전학적 특성 조사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Toxin Profile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Ready-to-eat Foods)

  • 김태순;김민지;강유미;오그네;최수연;오무술;양용식;서정미;류미금;김은선;하동룡;조배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4-340
    • /
    • 2014
  • 즉석섭취 편의식품은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직접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B. cereus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여 대부분의 식품에 쉽게 오염되어 식중독을 유발 시킬 수 있는 독소형 식중독균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통 판매중인 즉석섭취 편의식품류 및 식중독이 발생하여 의뢰된 보존식에서 B. cereus의 분리율 및 독소 종류의 분포형태를 파악하였다. 식품 총 619건 중 263건(42.5%)의 B. cereus를 분리하였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서 즉석섭취 편의식품류에 대한 B. cereus에 대한 규격기준이 1,000 CFU/g 이하로, 본 실험에서는 규정 범위를 초과한 식품은 없었다. B. cereus 총 263개 분리균주에 대한 9종류의 장내독소 및 1종류의 구토독소를 분석한 결과, NHE complex (nheA, nheB, nheC)중 3개의 nhe 유전자를 모두 보유한 B. cereus는 236개 균주(89.7%), 1개만의 독소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2개(0.8%)뿐이었다. 또한, HBL complex (hblA, hblB, hblD) 중 3개의 hbl 유전자를 보유한 균주는 175개 균주(66.5%), 그리고 한개 혹은 두 개의 hbl 유전자를 가진 균주는 59개 균주(21.7%), 3개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지 않은 균주는 29개 분리균주(11.0%)로 나타났다. NHE complex 유전자의 빈도가 HBL complex 유전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내독소 entFM, $cytK_2$, bceT 유전자의 보유율은 각각 100, 100, 43.0% 순으로 확인되었다. B. cereus의 구토 독소인 CER 유전자는 평균 50.2%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식품유형에 따라 식중독 보존식, 즉석섭취 식품, 편의식품에서 각각 100, 59.4, 35.6%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 중 분리한 B. cereus가 산생하는 구토독소를 가지고 있는 B. cereus 균주 중 29.4%에서 8개의 장내독소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균주들도 대부분 5-8개의 장내독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식품에서 분리한 B. cereus는 대부분의 균주가 설사형 및 구토형 독소를 보유하고 있어, 즉석 섭취 편의식품의 미생물 오염 요인들은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품의 미생물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업체의 생산단계부터 저장 및 운반을 포함한 유통단계 등에서 식중독을 유발 할 수 있는 오염원들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철저한 개인 및 환경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in Various Foods in Korea

  • Kim, Mi-Gyeong;Oh, Mi-Hwa;Lee, Gun-Young;Hwang, In-Gyun;Kwak, Hyo-Sun;Kang, Yun-Sook;Koh, Young-Ho;Jun, Hong-Ki;Kwon, Ki-S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83-488
    • /
    • 2008
  •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various food samples in Korea were monitored and the obtain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A total of 1,240 food samples including 280 sashimi, 244 processed frozen products, 258 kimbab (cooked rice wrapped with seaweed), 337 soybean pastes were obtained from 7 cities including Seoul in Korea. Microorganisms tested were Bacillus cereu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 coli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r jejuni, and Clostridium perfringens. The contaminated microorganisms in food samples were comprised of 10.55% B. cereus, 2.7% S. aureus, 2.0% V. parahaemolyticus, 0.8% C. perfringens, 0.2% Y. enterocolitica, and 0.1% of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Salmonella spp., C. jejuni, and E. coli O157:H7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food samples. Particularly, B. cereus that harbors the enterotoxin gene was detected in various foods and regions in Korea, therefore it should be a given special consideration not to allow the hazardous level of contamination.

담배 속 식물의 다양한 활용방안 모색 (Usage of Tobacco Plants for Various Purposes)

  • 엄유리;이문순;이이;석영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5
    • /
    • 2011
  • Genus Nicotiana has 76 species including N. tabacum. These plants are used not only as a material for cigarette manufacturing but also as ornamental plant, medicinal plant, poisonous substance plant, and bug repellent plant. N. tabacum is used as a main material for cigarette manufacturing with N. rustica. N. sylvestris and N. alata is used as ornamental plants because of their beautiful flowers and N. rustica is used for bug repellent or pesticide because of its high concentration of nicotine. N. glauca, a tree tobacco, is used for bio-fuel production. N. tabacum is used as a popular model plant system for degeneration, re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N. benthamiana is also used as a model system for foreign gene expression by agroinfiltration. The transformation ability of tobacco plant is a good target for molecular farming. Hepatitis B virus envelop protein, E. coli heat-labile enterotoxin, diabetes autoantigen, and cholera toxin B subunit were produced using tobacco plants. Secondary metabolites of tobacco include nicotine, anabasine, nornicotine, anatabine, cembranoid, solanesol, linoleic acid, rutin, lignin and sistosterol, and they are used for various medicine productions which cannot be produced by organic synthesis for their complicated structures. In conclusion, we have to understand the applicability of tobacco plant in detail and study to enlarge the usage of the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