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richment

검색결과 1,868건 처리시간 0.036초

한반도 주변 해역으로부터 혐기성 미생물의 분리 및 분리 미생물의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aerobic microbes from marine environments in Korea)

  • 김원덕;이정현;권개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83-191
    • /
    • 2016
  • 유기산을 생산하는 발효미생물을 획득하기 위해 갯벌, 심해, 염전 등의 퇴적토와 해초시료 등의 시료에 대해 methanogen 배지, acetogen 배지, Clostridium용 배지 등을 이용하여 농후 배양을 실시하였다. 총 8개 시료로부터 65주의 혐기성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 신규성이 높거나 활용성이 높다고 알려진 11종에 대해 계통분석, 성장 양식(growth pattern), 유기산 생산 평가 등을 시도하였다. 분석이 수행된 균주 중 Bacteroidia 강에 속하는 1주 외에는 모두 Clostridia 강에 속하였으며 성장속도는 $1.2h^{-1}$ 이상이었다. 분석이 수행된 7종 중 6종은 아세트산을 생성하였으며, 부가적으로 2균주는 부틸산을, 4균주는 개미산을 생산하였다. 또한 MCWD5 균주는 제공된 포도당의 약 40%를 세포외 고분자물질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연안해역에서 분리된 신규 혐기성 미생물들은 유기산, 고분자 다당류를 생산하는 등 높은 응용성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시 미세먼지(PM2.5)에 함유된 원소의 조성특성 및 오염원 (Elemental Composi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PM2.5 in Jeju City)

  • 이기호;허철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43-554
    • /
    • 2018
  • From November 2013 to December 2016, ambient fine particulate matter ($PM_{2.5}$) was sampled in the downtown area of Jeju City, South Korea, which has seen rapid urbanization.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elements were measured in the $PM_{2.5}$ samples. This study focused on Cd, Cr, Cu, Mn, Ni, Pb, As, Sb, Sn, V, and Zn. The concentrations of Al, Na, K, Fe, Ca, Mg, Sr, and La were also obtained for refere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ntributions of these elements to $PM_{2.5}$ concentrations in downtown Jeju City, and to investigate the inter-element relationships and the elemental sources by using enrichment factors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A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19 elements constituted 6.65 % of the $PM_{2.5}$ mass, and Na, K, Al, Fe, Ca, Mg, and Zn constituted 98 % of the total ion mass. Seasonal trend analysis for the sampling period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the elements increased from November to April. However, no substantial seasonal variations were found in the concentrations of the elements. The composition ratios of some elements (Cu/Zn, Cu/Cd, Cu/Pb, V/Ni, and V/La) were found to be out of range when compared to the literature from other urban areas. The ratios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PCA results showed that local contaminant sources in Jeju City rarely influence the composition of $PM_{2.5}$. This suggests that the major sources of $PM_{2.5}$ in Jeju City may include long-range transport of fine particulate matter produced in other areas.

Heavy metal assessment of marine sediment in selected coastal districts of the Western Region, Ghana

  • Kuranchie-Mensah, Harriet;Osei, Juliet;Atiemo, Sampson M.;Nyarko, Benjamin J.B.;Osae, Shiloh K.;Laar, Cynthia;Ackah, Michael;Buah-Kwofie, Archibold;Blankson-Arthur, Sara;Adeti, Prince J.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155-166
    • /
    • 2013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establish the status of contamination of trace metals in the Western coast of Ghana was conducted prior to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crude oil in the area. The study revealed the presence of heavy metals such as Pb (4.00-79.64 mg/kg), As (8.81-236 mg/kg), Cu (12.86-108.06 mg/kg), V (28.07-953.32 mg/kg), Zn (7.08-264.25 mg/kg), Cr (101.69-1366.62 mg/kg), Ni (42.41-451.43 mg/kg), Mn (16.77-1890.45mg/kg), Br (7.66-142.78 mg/kg), Ti (542.03-19960 mg/kg) and Fe (7472.88-97120 mg/kg) at six sites sampled along the coast. With the exception of Ti and Fe which showed no variation in metal concentration, the rest of the metals varied significantly among the sampled locations. Potential ecological risk of metals particularly of Co, As and Br which exhibited extreme enrichment of the sediments indicates considerable metal pollution in the studied area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of particular concern especially to benthic biota that inhabit this environment for survival.

2006년 천안시 대기 입자의 원소 성분 특성 (Elemental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particles in Cheonan during 2006)

  • 오세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82-1786
    • /
    • 2008
  • 천안시 대기 입자 중 원소 성분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ascade Impactor를 장착한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하여 대기 입자를 미세입자와 조대입자로 나누어 채취한 후, ICP를 이용하여 16개 원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미세입자와 조대입자의 총 질량농도는 각각 평균 33.23, $20.66{\mu}g/m3$ 이었으며, 이 중 총 원소농도는 각각 1.27, $1.71{\mu}g/m3$으로, 전체 질량의 3.8%와 8.3%를 차지하여 조대입자에 원소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함을 나타냈다. 미세입자와 조대입자 모두 Fe, Al, Ti이 가장 높은 농도를 나나내는 원소였으며 Pb는 총 농도가 84.55ng/m3으로 국내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Al을 기준원소로 분석한 Sc, Cr, Cu, Zn, As, Se, Sn, Pb의 농축계수가 미세입자에서 1,000이상을 나타냈는데, 이는 천안시 미세입자에 포함된 원소 성분의 주요 배출원이 인위적 배출원임을 시사한다.

곡류제품의 철 강화 시나리오 작성 및 평가 (Estimated Iron Intakes from Simulated Fortification to Selected Grain Products in the Korea Food Supply)

  • 정해랑;홍민지;;오세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808-813
    • /
    • 2006
  • Until now, South Korea does not have either fortification or enrichment program as intervention tools although the addition of micronutrients to foods is for the most part not regul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scenario would most effectively reduce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with low iron intake while not putting other population groups at risk of excessive intakes. In order to investigate potential dietary consequences of iron fortification we analyzed 2 day dietary record data (n=3,955) from the 2001 National Nutrition Surveys.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consuming dietary iron less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ranged from $12.4{\sim}87.5%$ depending upon gender and age group. Iron fortification at the level of 100% of Recommended Intake (RI) per 100g to breads and instant o. dried noodles was estimated to result in a 15% decrease of proportion of those with iron less than EAR, while putting 1.4 % of the population greater than the Upper Limit (UL). Iron fortification appeare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the $15{\sim}19$ year old age group, showing 39% reduction of iron intake insuffici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carefully designed fortification or enrichment to staple foods may contribute to increase dietary iron intakes of Koreans, especially for the young population with a high prevalence of iron inadequacy. As the estimation in this study was based solely upon dietary intake data, iron intake from supp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studies.

된장 분리균 Bacillus sp. YB-1401의 Mannanase 생산성과 효소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 from a Bacillus sp. YB-1401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Paste)

  • 전호진;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9-105
    • /
    • 2014
  • 가정에서 제조된 된장을 산성조건에서 계대 배양한 후 균체외 mannanase 를 생산하는 Bacillus sp. YB-1401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당이용능을 비롯한 생화학적 특성은 Brevibacillus laterosporus와 유사도(61.1%)가 가장 높은 반면에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B. amyloliquefaciens와 유사도가 가장 높았다. 분리균 YB-1401의 mannanase 생산성은 mannans에 의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곤약(4%)이 첨가된 배지에서 약 265 U/ml로 최대 생산성을 보였다. 분리균의 mannanase는 $55^{\circ}C$와 pH 5.5 반응조건에서 최대활성을 보였으며 pH 3.5-11.0의 범위에서 1시간 방치하였을 때 실활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LBG와 guar gum 및 mannooligosaccharides를 mannanase로 분해하였을 때 주된 반응산물로 mannobiose와 mannotriose가 생성되었으며 mannose도 소량 생성되었다.

Application of Molecular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Blueberries and Citrus Fruits

  • Gerard, Liliana Mabel;Davies, Cristina Veronica;Solda, Carina Alejandra;Corrado, Maria Belen;Fernandez, Maria Veronic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93-204
    • /
    • 2020
  • Sixteen acetic acid bacteria (AAB) were isolated from blueberries and citric fruits of the Salto Grande region (Concordia, Entre Rios, Argentina) using enrichment techniques and plate isolation. Enrichment broths containing ethanol and acetic acid enabled maximum AAB recovery, since these components promote their growth. Biochemical tests allowed classification of the bacteria at genus level. PCR-RFLP of the 16S rRNA and PCR-RFLP of the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allowed further classification at the species level; this required treatment of the amplified products of 16S and 16S-23S ITS ribosomal genes with the following restriction enzymes: AluI, RsaI, HaeIII, MspI, TaqI, CfoI, and Tru9I. C7, C8, A80, A160, and A180 isolates were identified as Gluconobacter frateurii; C1, C2, C3, C4, C5, C6, A70, and A210 isolates as Acetobacter pasteurianus; A50 and A140 isolates as Acetobacter tropicalis; and C9 isolate as Acetobacter syzygii. The bacteria identified by 16S rRNA PCR-RFLP were validated by 16S-23S PCR-RFLP; however, the C1 isolate showed different restriction patterns during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Partial sequencing of the 16S gene resolved the discrepancy.

칼린형 금광상 탐사와 국내 적용성 연구 (Exploration for the Carlin-type Gold Deposits and Its Potential to Korea)

  • 박맹언;성규열;백승균;김필근;강흥석;문영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4호
    • /
    • pp.421-434
    • /
    • 2005
  • 미국 네바다주의 칼린형 금광상을 모델로 강원도 예미지역에 대한 칼린형 금광상의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고생대 퇴적암은 스러스트 단층 및 습곡으로 구성된 뚜렷한 구조적 규제를 받았으며, 고각의 단층과 투수성이 큰 예미각력암 및 호층의 석회질 이암층이 결합되어 있다. 남부 지역에 분포하는 석회암에 대한 탈륨, 안티몬, 비소, 은, 납, 아연, 구리, 몰리브덴 및 텅스텐에 대한 원소부화도의 분포 양상은 칼린형 금광상과 지구화학적 유사성을 나타낸다. 또한, 탄소와 산소동위원소 값은 이들 지역이 광역적으로 열수의 영향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연구지역에 대한 지질구조, 화학분석, 변질광물 감정 및 안정 동위원소 분석 및 지구물리학적 해석 견과, 광화대는 북동부 방향으로 연장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앞으로 체계적인 정밀탐사가 필요하다.

페루 남동부 쿠스코주 콘스탄시아 반암동-몰리브데늄 광산의 지질 및 광화작용 (Geology and Mineralization in Constancia Porphyry Cu-Mo Mine, Cusco State, Southeastern Peru)

  • 양석준;허철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3호
    • /
    • pp.193-199
    • /
    • 2016
  • 콘스탄시아 광산은 페루 남동부 안다우아이라스-야우리 Cu-Mo-Au 광화대 내에 발달하는 광상으로서, 구조적으로는 아방까이 변형대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반암동광형태로 부존한다. 콘스탄시아 광산의 광화대는 상부로부터 용탈대, 2차부화대(약 1% Cu), 혼합대, 초생광화대(약 0.5%), 스카른대(약 1.5% Cu)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모암은 몬조니 반암이다. 용탈대는 갈철석 침전이 특징적이며 노두상에서는 갈색으로 보인다. 스카른대는 자철석과 석류석의 산출이 특징적이다. 현재 콘스탄시아 광산은 캐나다의 Hudbay사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5년 1월부터 상용생산을 시작하였다.

백제 와전재료로서 정동리 고토양의 광물 및 지구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cient Field Soil in Jeongdongri as Ceramic Raw Materials of the Baekje Kingdom)

  • 장성윤;이찬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6호
    • /
    • pp.543-553
    • /
    • 2010
  • 이 연구는 부여 정동리 꿩바윗골 유적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경작토양의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정을 조사하고, 이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무령왕릉 및 송산리 전(벽돌)과 토양을 비교하여 태토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토양시료들은 모두 미사질 양토로 가장 하부층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사한 토양입도를 가지고 있다. 토양은 산성으로 일부 시료에서 유기물, P, S 등의 집적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지구화학적 원소 분포경향이 유사하며 석영, 사장석, 정장석, 질석, 운모, 고령석 등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광물조성을 보인다. 부분적으로 붉은 철산화물의 농집이 관찰되는데, 강의 범람과 배수에 따른 산화와 환원환경이 반복되었던 환경이 토양 내 철산화물의 농집을 일으킨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연현상과 인간의 경작활동에 의한 풍화양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무령왕릉과 송산리고분군 출토 전에서 발견되는 철산화물의 농집현상은 연구지역 토양이 전의 태도로 추정될 수 있는 추가적인 증거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