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freshme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6초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들의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Limit and Continuous Concepts of Function of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 서종진;박진한;윤민;강점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523-556
    • /
    • 2020
  •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들이 함수의 극한, 함수의 연속과 관련된 기초 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개념들을 연결하여 이해한 대학생들에 비해 그렇지 못한 대학생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 교양 수학을 지도하기 위해 대학 신입생들이 기초수학 개념을 어느 정도 연결하여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분석하여 대학생 개개인에게 적합한 교수·학습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 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reshmen's achievements for grade point averag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69-379
    • /
    • 2013
  • 최근 대학에 진학하는 이공계 신입생들의 상당수가 정상적인 전공과목이수가 어려울 만큼 수학과목에 대한 기초수학능력이 심각한 수준으로 저하되어 기초수학능력 및 대학 수학과목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2학년도 M대학교 이공계열 신입생 66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공계 신입생의 모집전형별 고교내신등급, 대학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좋은 수시모집 학생들보다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시모집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대학수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이공계열 전체 뿐만 아니라 각 모집전형별 이공계 신입생들의 대학 1학기 성적이 대학 2학기 성적에 매우 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학력보충교육 통과자들과 미통과자들의 기초보충교육 성적과 대학 1학기와 대학수학 1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가 대학 2학기와 대학수학 2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보다 높게 나타나 기초보충학습이 2학기 성취도 보다 1학기 성취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수학기초학력평가성적 및 대학수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DLR, the Score of Mathematics Diagnostic Assesment and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of Engineering Students)

  • 이경희;권혁홍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54-63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DLR], prerequisite mathematics test score and achievement level in college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the adjusted SDL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of Guglielmino's model, the score of mathematics diagnostic assesment and first semester college mathematics score among 424 freshmen students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D university in 2011 were used and analy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freshmen of engineering department had average level of SDLR, though they showed relative low level of self-direction, passion and time control ability. Secondly, considering SDLR with the mathematics diagnostic assesment score (3 groups: high, middle, low),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ly, concerning SDLR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 in college mathematics, a group which acquired good achievement showed higher level of SDLR compared with middle or lowachievement group.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re were affirmative relationships between SDLR, mathematics diagnostic assesment score and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Furthermore, mathematics diagnostic assesment score and achievement level in college mathematics were found to be the most closely related.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strategies to elevate SDLR of engineering department students and improve their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공학계열 대학생 물리 기초학력평가 문항분석 및 성취수준 설정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Item Analysis and Standard Setting of the Physics Basic Ability Test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이금호;정혜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40-50
    • /
    • 2023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assessing basic-level proficiency in physics among incoming engineering freshmen through item analysis and standard setting. For empirical analysis, we examined the physics subject taken by the freshman class of 2021 at K University, considering its significance for engineering students. In this study, we initially performed item analysis utilizing both classical test theory and item response theory. Subsequently, leveraging the item and test information, we employed a modified Angoff method and the Bookmark method for standard setting. Consequently, the difficulty level initially set during item development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actual performance level exhibited by the students. This study highlights a discernible disparity between the expected university standard and the real proficiency level of incoming freshmen in terms of basic academic ability in physic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fundamental academic competence of engineering students was conducted, underscoring the necessity for formulating a tailored learning approach leveraging the outcomes from the basic ability test.

공대 신입생들의 팀 활동 만족감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am Satisfaction and Associated Factors of Engineering College Freshmen)

  • 이성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315-3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대의 교과과정에서 흔히 요구되는 팀 활동에 대해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팀 활동의 만족감과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입문교과를 수강하는 신입생 64명을 대상으로 13개의 팀을 구성하여 총 5개의 개방형 과제를 통해 팀 활동을 수행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팀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감은 팀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팀 만족도는 팀의 성과보다는 팀원의 활동 참여도와 팀원 간의 관계가 좋다고 인식하는 정도에 더욱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학생들은 상호 배려하는 화목한 팀 분위기가 조성될 때 팀 활동의 만족감이 증가하며, 팀의 분위기가 성과보다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한편 팀원의 역할별 구성은 팀 활동의 만족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었으며, 또한 자율적인 팀 구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팀 활동 만족감이 극대화되도록 지원을 한다면 특히 최근 학제적 융복합 학습 환경에서의 팀 활동을 통한 교육적인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물리보다 수학을 잘 해야 물리를 잘 한다: 입학 전 수학진단점수의 일반물리학 성취도 예측타당성 검증 (Mathematical Preparedness Predicts College Grades in Physics Better than Physics Preparedness: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Mathematical Diagnostic Test on the Freshmen's Physics Grades)

  • 신윤경;박규열;이아름;정종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22-3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s and mathematics to predict achievement for the college level of engineering courses. For the last 4 years, more than 3,000 engineering college freshmen of this study took the diagnostic tests on three subjects, which were physics, mathematics, and chemistry before enrollment. We studied how strongly these diagnostic scores can predict each general college course grad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s diagnostic scores and the course grades in physics was .264,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s scores and the physics grades, .311. This stronger prediction of the mathematical diagnostic scores for the general course grades was not found when predicting the grades in chemistry. We therefore conclude that mathematical preparation can unexpectedly predict future achievement in physics better than physics preparation due to the academic inter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s and physics.

지방 소재 중위권 대학의 이공계 신입생을 위한 수준별 영어수업의 운영방식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naging Differentiated Freshman English Classes at the Engineering College of a Provincial University)

  • 최경미;양우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51-59
    • /
    • 2011
  • 동일한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에 대한 진단평가의 성적이 매우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는 영어수준별 수업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치밀한 행정적 준비 없이 영어수준별 수업을 시작하는 것은 많은 시행착오를 낳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방에 소재하는 이공계 대학의 신입생 대상 영어 수준별 수업 시행의 사례를 통하여, 수준별 수업의 운영전반에 대하여 살펴본다. 특히, 진단평가 계획부터 실행 및 분반, 공동기말고사, 성적산출 방법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차례로 짚어본다. 또한 각 단계별로 요점과 함께 문제점, 개선사항을 알아보며, 궁극적으로 교양 영어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살펴본다.

학습역량 저하 공과대학 신입생을 위한 기초역량 증진 복습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a Review Course to Enhance Basic Competencies for Freshmen with Reduced Learning Ability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 김기대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35-41
    • /
    • 2022
  • In order to enhance basic competencies for freshmen at engineering college, whose learning ability is gradually declining, a new course was developed to review basic mathematics and physics through a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from fellow professors. Tests in six fields of math and physics with the same problems showed the correct answer rate rose from 24.8%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59.0% at the end of the semester after operating the cours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students' self-evaluated confidence on the basic competencies in 16 fields of math and physic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tudents with high confidence in basic competencies also received high actual grades.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confidence point in basic competencies improved from 54.7 at the beginning to 75.3 poin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whil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enhanced from 38.3 to 64.0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Production of Chemistry Laboratory Class for Senior High School Freshmen

  • Yasuzawa, Mikito;Minagawa, Keiji;Kamitani, Sachiyo;Arai, Yuka;Konishi, Yuki;Nakanishi, Shinsuke;Oshima, Takuya;Yamaguchi, Junko;Ishii, Arisa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5호
    • /
    • pp.55-60
    • /
    • 2010
  • Chemistry laboratory class was produced for senior high school freshmen with the cooperation of university staffs,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university students. Although the students who will take the lab class are senior high school freshmen, we decided to prepare four experiments that are simple and have highly visible reactions or transformation. That is, 1) Water purification, 2) Surface modification, 3) Briggs-Rauscher reaction, and 4) Polymer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After the safety guideline and experiment instructions by the faculty staffs, two teaching assistants (TAs) supervised each experiment. Since taking a direct part in it will provide stronger impact than only being one who is just watching the experiment, all experiments contained some process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must handle the reagents, tools or the equipment, by themselves. Although,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students was limited to a series of simple actions, the various unique phenomena presented by the experiments impressed the students. The lab class was fruitful not only for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good for university students. The lab class provided good opportunity for them to improve the abilities to teach and guide someone.

  • PDF

창의설계입문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 to Introduction to Creative Engineering Design Course: Case Stud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장용철;김건국;김민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78-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의 교과목 운영 사례를 분석 제시하였다. 본 교과목은 공과대학 환경공학 전공을 선택하여 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교수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자기주도 학습,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적 공학설계 개념 및 방법을 배우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공학 분야의 전공 설계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공학 분야의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에 대한 PBL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변화와 학습 성과를 심층 학생설문조사 및 강의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그 결과를 요약할 수 있다. 1. PBL 학습법을 적용한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은 학습 성과분석 결과, 학생 스스로 문제해결 과정에서 팀워크의 중요성과 팀원으로서의 책임감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의사전달 능력을 배양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아울러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과 창의성의 중요성, 팀 협동 능력이 향상되었다. 2.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의 교과목 수강을 통해 학생들이 대체로 매우 만족하고 우수하다는 평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교수와 조교의 충분한 의사소통, 역할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PBL-문제 제시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유발과 동기부여가 되었으며 공학설계 주제에 대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논의하고 이를 실제 설계 제작하였다. 구두발표회와 시연회를 통해 의사전달 능력을 배양하였으며, 학생들이 설계에 대한 흥미를 느끼며 직접 체험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4. 그러나 향후 PBL 활용창의설계입문 교과목 교육 시 PBL문제 제시의 수, 충분한 예산 확보 방안, 팀원 간 갈등 예방 등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와 개선이 필요하다. 이상을 종합하여 요약한다면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 활용 창의설계입문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학습 성과를 거두었다. 향후 이러한 PBL 활용 공학설계입문 교과목이 지속적으로 보완되어 개선된다면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배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응용하고 관련 공학 설계 지식을 배우고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성 배양에 기여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