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Limit and Continuous Concepts of Function of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들의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 이해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0.12.14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how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s understand the limit and the continuous concept of function. The survey found that there were more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do so than those who understood each concept by linking the concepts together. Therefore, in order to teach college general mathematics,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college students are connect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teaching-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individuals.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들이 함수의 극한, 함수의 연속과 관련된 기초 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개념들을 연결하여 이해한 대학생들에 비해 그렇지 못한 대학생들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 교양 수학을 지도하기 위해 대학 신입생들이 기초수학 개념을 어느 정도 연결하여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분석하여 대학생 개개인에게 적합한 교수·학습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성은. (1997). 컴퓨터 그래픽을 통한 수학교육의 향상.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수학교육), 36(2), 107-117.
  2.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8]. 수학과 교육과정.
  3. 김문옥. (2000). 이질적 집단에서 수준별 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중학교 1학년 수학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병무. (2002). 대학수학에서 급수의 합에 대한 다양한 접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수학교육), 41(1), 91-100.
  5. 김성옥. (2005). 사회과학 전공을 위한 대학 수학 교육. 수학교육논문집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19(4) 통권24호, 587-597.
  6. 김태수.김병수. (2008). 대학수학의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 22(3), 369-382.
  7. 김향숙. (2003).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athematics using Mahtematica(II). 한국수학교육학회시리즈D(수학교육연구), 7(2), 101-123.
  8. 김혜영. (2009). 대학생의 미적분학 성취도와 수학적 자기 효능감의 차이와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용범외 4인. (2001). 수학교육에서 Maple의 활용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수학교육), 41(1), 91-100.
  10. 서종진․유천성․최은미. (2006). 대학수학교육에서 Maple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557-573.
  11. 서종진․조승희. (2018). 개별지도가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3), 287-301.
  12.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 (2011). 수학 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5(1) (2011), 167-184. https://doi.org/10.7468/JKSMEE.2011.25.1.167
  13. 이정례. (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수학교육 논문집>, 29(3) 통권63호, 513-532.
  14. 이준승. (2000). 소집단 협동 학습을 통한 문제해결 전략 지도가 수학적 힘의 육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전명진․조민식. (2005). 대학수학교육에서 기하학의 응용과 교과내용의 구성방안. 수학교육논문집 한국수학교육학회시리즈E,. 19(4) 통권24호. 621-631
  16. 전영배․노은환․최정숙․김대의․정의창․정찬식․김창수. (2009). 미분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오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545-562.
  17. 전재복. (2008). 바람직한 대학 기초 수학 교육 과정 운영 방안. 한국 수학교육 학회, 22(4). 399-416.
  18. 정상권․추상목. (1999). 수학교육에서의 Maple 활용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1(1), 157 -185.
  19. 정준영. (1999). 수학과 수준별 교육과정을 위한 협동 학습 적용의 효과성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조창연. (1999). 동료교수를 통한 협동 학습이 수학적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표용수.박준식. (2009). 대학과목선이수제 교과목의 효율적 운영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3(2), 279-296 .
  22. 표용수.박준식. (2010).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 24(3) , 525-541.
  23. 한동승․유홍상. (2001). Maple을 이용한 삼각함수의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지, 4(2), 1-9.
  24. 함승연. (2009).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1), 196-209.
  25. 허혜자. (1998). Mathematica를 활용한 수학지도.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8(2), 541-551.
  26. Aiken, L. R. (1970).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0, 551-596. https://doi.org/10.3102/00346543040004551
  27. Aiken, L. R. (1976). Update on attitudes and other affective variable in learning mathema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 293-303. https://doi.org/10.3102/00346543046002293
  28. Dreyfus, T., & Eisenberg, T. (1982). Intuitive functional concepts: A baselilng study on intuitions. Jouornal for Rea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5), 360-380.
  29. Fennema, E., & Sherman, J. (1977). Sex-related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spatial visualization and affective facto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4, 51-71. https://doi.org/10.3102/00028312014001051
  30. Hadar. N. M., & Zaslavsky. O. (1987). Error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0, 163-172. https://doi.org/10.2307/748804
  31. Johnson, B. (2000).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of students in different college mathematics course. Bell & Howell Information and Earning Company. 1-10.
  32. Knuth, E. J. (2000). Understanding the connections between equation and graphs. Mathematics Teacher, 93(1), pp. 48-53. https://doi.org/10.5951/MT.93.1.0048
  33. Othman Norhayati. (1996).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raditional Mathematics Instruction in Grade K-12 : A Meta-Analysis of Findings, West Virginia university, E.D.
  34. Schofield, H. L. (1981). Teacher effects on cognitive and affective pupil outcom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 462-471 https://doi.org/10.1037//0022-0663.73.4.462
  35. Slavin, R. E., & Karweit, N. L (1981). Cognitive and affective outcomes of an intensive student team learning experienc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0, 29-35. https://doi.org/10.1080/00220973.1981.11011797
  36. Slavin, R. E., & Karweit, N. L (1984). Mastery learning and student teams: A factorial experiment in urban general mathematics class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1(4), 725-736. https://doi.org/10.3102/00028312021004725
  37. Slavin, R. E., & Leavey, M. B & Madden, N. A. (1984). Combing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Effects on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attitudes, and behavio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4, 409-422. https://doi.org/10.1086/461373
  38. Vinner, S., & Dreyfus, T. (1989). Image and Definitions for the Concepts of Function. Jouo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4), 356-366. https://doi.org/10.2307/749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