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7초

문화 반영적 융합교육(STEM) 주제 상황에서 미국 토착민 학생들의 문제 해결 성향에 대한 탐색 (Exploring American Indian Students' Problem-Solving Propensity in the Context of Culturally Relevant STEM Topics)

  • 김영래;남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6
    • /
    • 2017
  • 본 연구는 북미 토착민인 인디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계된 문화 반영적 융합교육(STEM)을 이용한 문제해결 수업을 보여준다. 이 수업은 악기상을 고려한 Shelter Design 또는 피난처 설계에 관한 것이었다. 이 수업은 인디언 학생들을 대상으로 6일간 여름방학캠프 프로그램으로 적용되었으며 모든 수업은 인디언 보호구역에 있는 학교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데이터로는 학생들의 Shelter Design 그림, 그림에 대한 부연 설명, 그리고 학생용 학습지였다. 데이터는 질적 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문화 반영적(STEM) 수업 후 STEM 지식을 더 많이 습득하였으며, Shelter Design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의 문화적 지식과 일상생활 경험 등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학교육 성과 평가에 관한 설문 분석 사례연구 I (A Case Study on Engineering Education Outcomes by Questionnaire Survey)

  • 박용원;김병재;장혁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48-56
    • /
    • 2001
  • 공학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 명지대학교 공과대학에서는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공학교육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된 자료를 기초하여 공학교육 학습성과와 전공분야 설계 경험에 대한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학습목표를 ABEEK 인증기준의 교육성과 기준에 맞게 재 설정 할 필요가 있으며, 설계 교육의 비중을 강화시키는 공학교육 혁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PDF

무인이동체 기반 실감 콘텐츠 교육 과정 설계 (Unmanned Vehicle-based Realistic Content Training Course Design)

  • 진영훈;이면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9-54
    • /
    • 2022
  • 실감형 콘텐츠는 사용자의 오감을 극대화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콘텐츠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이 이에 속한다. 실감형 콘텐츠에서 사용자에게 실재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제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와 청각, 촉감 등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실감형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인력 양성 교육 전문가는 교육 과정 설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감형 콘텐츠 인재 양성 전문가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실세계 측정 데이터를 취득·가공하고, 도출된 데이터를 VR/AR/MR에 적용하는 일련의 교육 과정을 제안한다. 설계 과정은 기업과 학생, 지역 사회에 대한 수요조사와 분석을 통해 교과과정을 구성한다. 본 연구는 실감형 콘텐츠 인력 양성을 시도하려는 교육 전문가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소형 무인기 또는 스마트폰(smartphone)을 활용한 종합 설계 교과와 졸업 작품 제작 활동의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Management Method of Capstone Design and Graduation Portfolio Using with the Small Drone or Smartphone)

  • 장은영;윤석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종합 설계 교과와 학부 졸업기준이 되는 졸업 작품 구성에 관련된 주제 설정 및 작품 완성 단계까지 지도교수역할과 학생들의 진행 절차를 요약하고, 결과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1-2인을 1개조로 하여 담당교수를 지정하고 면담 및 기술 지도를 실시하였으며, 팀별로 자체 주제를 선정하도록 유도하였고, 2011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진행된 내용 중에서 소형 무인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제들에 대해 그 구성 결과를 제시하고, 2011년과 2015년 각각에서 1개 전공의 참여 학생들에 대한 작품 제작 활동 결과에 대해 설문 조사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 학년도 개선사항에 대해 검토하고, 지속적인 교육 개선을 이루어 열정과 도전 정신을 갖춘 융합형 창의 인재가 양성되고 취업 및 창업과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는 방안을 공유한다.

중·고등학교 기술교사의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s about Engineering Education)

  • 김영민;김기수;김현정;김진연;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13-2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teachers'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 about engineering education. For this, we surveyed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ost technology teachers perceive that engineering contents are lack in technology education, therefore they recognize the needs of reinforcement of engineering contents. Second, most technology teachers perceive that present technology subject does not give positive affect to students for their own career selection on engineering field. Furthermore, they perceive that if it contained the contents of engineering in technology education, students would experience creative desig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Third, most technology teachers perceive that they are able to teach engineering in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need the change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engineering program contents. Fourth, they perceive that the 7~9 grade is the best grade to start to study engineer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ifth, they perceive that 'design',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thinking' are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ing ability and knowledge about engineering. Sixth, they perceive that the aerospace engineering, the electrical engineering, the electronic engineering, the mechanical engineering, the computer engineering and the environmental engineering are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ing knowledge about engineering fields.

금형산업현장과 연계된 금형설계공학전공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Die & Mold Design Engineering Curriculum tailored for Industries)

  • 김세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8-919
    • /
    • 2006
  • 금형산업체의 직무능력 요구에 적응하는 산업현장과 연계된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의 금형기술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취업 후 회사의 사전교육 없이 직능별 업무에 투입 시킬 수 있는 창의력 있는 우수한 전문기술인을 양성하여 교육의 낭비적 요소를 제거하고 산업체 및 국가의 기술경쟁력을 강화시키며 학생은 인력수요자인 산업체로부터 요구하는 현장실무에 접근성 높은 교육을 받아 취업이 보장되어야 한다. 동시에 산업체는 전문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해소 시켜주기 바라고 있다. 이상의 요구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금형산업체와 연계된 금형설계공학전공의 교육과정 개발을 수행하였다.

  • PDF

Reliability: A Neglected Topic in the Power Electronics Curricula

  • Calleja, Hugo;Chan, Freddy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0권6호
    • /
    • pp.660-666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the approach followed to develop a course that introduces reliability into the design of power electronics converters. The course is part of the curriculum of a master of science in electrical engineering program, and it is aimed at providing reliability tools that can be used in a straightforward manner, while avoiding the mathematical intricacies. The reliability calculation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ilitary Handbook 217, using the evaluation version of a commercial software package which greatly reduces the computational burden usually associated with this task. The course assessment shows that, after attending the cours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 mean time between failures in a power-electronics converter, from a minimum of 5%, up to 100%.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활동의 과학개념 및 교수학습방법 분석 (A Study on Scientific Concep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Ages 3-5 in Accordance with Themes)

  • 최혜윤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5-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과학교육관련 활동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개념 및 교수학습방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교사용지도서의 과학교육관련 활동 772개이며, 과학개념은 물리과학(힘과 운동, 물리적구조, 전기와 자기, 빛과 그림자, 소리의 성질), 화학(물질의 특성, 물질의 반응), 생명과학(조직적 구조, 성장과 변화, 유전과 진화, 동식물과 인간의 관계), 지구과학(지구시스템의 상호작용, 지구시스템의 구조, 우주), 공학(설계된 세상, 공학 설계, 공학 및 기술과 사회), 생태학(환경보존) 영역에서 제시하는 개념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대소집단활동 유형, 자유선택활동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과학개념은 3-5세 공통으로 공학, 화학, 생명과학 영역이 주로 제시되고 있었으며, 물리과학은 전 연령에서 낮은 분포로 제시되고 있었다. 과학개념은 주로 '동식물과 자연', '생활도구', '환경과 생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생활주제에서 많이 나타났다. 교수학습방법은 3세, 4세는 자유선택활동(과학영역, 실외자유선택활동, 미술영역, 수조작영역 중심), 5세는 대소집단활동(요리, 이야기나누기, 음악활동)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정보(공)학 분야 졸업생의 CAC 인증성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uter engineering graduates' perception of CAC(Computing Accreditation Committee) evaluation)

  • 한지영;강소연;전주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24-34
    • /
    • 2016
  • There's been few research to study the effects of CAC(Computing Accreditation Committee) evaluation, since start of CAC accreditation 10 years ag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what computer engineering graduates perceive the effects of CAC accreditation and to suggest how CAC accreditation process can be improved. The research findings through survey are followings; First, computer engineering graduates' undergraduate education satisfaction is not high enough(3.28). Second, the computer engineering graduates don't recognize CAC accreditation necessary. Third, graduates who work in company chose design courses as the most helpful, while graduates who study in graduate school pursuing further career in master or doctor program chose major subjects. Lastly, graduates from accredited program do not think their completion of accreditation program influence their employment. Strategic approaches to make higher effectiveness of CAC accreditation system are suggested. First, improvement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method in CAC accredited program is required to satisfy the needs of students and industry. Second, efforts to inform students of understandings and necessity of accreditation are highly recommended. Third, industrial sector needs to understand CAC accreditation and give graduates from accredited program more incentives. Lastly, government support like Seoul Accord Activation Project should last for a while.

디자인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적용사례 및 성과 고찰 (Capstion Design Applications and Performance in the Field of Design)

  • 윤명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11-118
    • /
    • 2012
  • 캡스톤디자인은 비단 공학 분야에서의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산업체가 요구하는 산업현장 적응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종합설계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측면에서 디자인 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인더스트리얼디자인전공의 2011년도 캡스톤디자인 적용 교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성과 및 활용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디자인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실험 연구와 지식재산창출을 위한 선행기술조사 및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 지원기관과 산업체와 협약을 바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수업을 통해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등의 지식재산을 창출하여 학생들에게는 실무능력 향상의 계기를, 기업은 디자인을 통한 기업역량강화의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지원지관은 지역 중소기업 경쟁력강화의 계기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