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sulfan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2초

자외선 조사에 의한 수용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엔도설판 alpha, beta, sulfate의 광분해 (Photodegradation of Endosulfan alpha, beta, and sulfate in Aqueous Solution by UV Irradiation Only)

  • 유건상;김미향;이화성;황현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1061-1067
    • /
    • 2006
  • Photodegradation of endosulfan alpha, beta, and sulfate known as the most toxic substance among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UV irradiation was studied at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different pH aqueous solution and reaction time.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endosulfan alpha, beta, and sulfate in aqueous solution was 500 ppb, respectively. The experiment of photodegradation was conducted in a quartz reactor equipped with a low pressure mercury lamp (100 W, 240 nm). The samples were withdrawn from the photo reactor at intervals of 0, 10 min, 30 min, 1 hr, 2 hr, and 4 hr. Endosulfan sulfate was never hydrolyzed and photodegraded in wide range of pH. At pH 5 and reaction time (240 min), endosulfan alpha was photodegraded up to 67%. Both endosulfan alpha and beta were started to photodegrade at pH 6.5 with the lapse of time, resulting in approximately 99.9% and 87.2% of photodegradation efficiency, respectively. Furthermore, at pH 9, endosulfan alpha and beta was partially hydrolyzed and photodegraded to 99.5% at 120 min of reaction time. During the photolysis, any photo-products of endosulfan alpha, beta, and sulfate were not observed.

잉어중 Endosulfan의 잔류분석(殘留分析)을 위한 Radioimmunoassay(RIA)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Radioimmunoassay(RIA) for Residue Analysis with Endosulfan in Water and Carp(Cyprinus carpio L.))

  • 이강봉;심재한;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2-270
    • /
    • 1994
  • Endosulfan의 잔류분석(殘留分析)을 위한 RIA(radioimmuno assay)는 endosulfan alcohol(EA)-BSA conjugate를 항원(抗原)으로 하여 집토끼에서 면역항체(免疫抗體)를 생산(生産)하였다. 생산(生産)된 면역항체(免疫抗體)의 역가(力價)는 1 : 32,000 으로 endosulfan과 EA 이외(以外)의 유사화합물(類似化合物)에서는 거의 반응성(反應性)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RIA를 위한 최적(最適) 희석배수(稀釋倍數)는 1 : 2,000 으로 나타났다. RIA의 최적(最適) 배양온도(培養溫度)는 $4\;^{\circ}C$ 이었으며 endosulfan의 검출범위(檢出範圍)는 $1\;ng-20\;{\mu}g$ 이었고 최소검출량(最小檢出量)은 1 ng 이었다. RIA 기법(技法)을 이용(利用)하여 잉어의 각(各) 조직(組織)과 공시수(供試水)에서 실시한 회수율(回收率) 시험(試驗) 결과(結果)는 GLC/ECD나 ELISA를 이용(利用)한 회수율(回收率)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시료(試料)에서 RIA에 의한 endosulfan의 검출한계(檢出限界)는 0.1 ppb 였다.

  • PDF

농산물 중 유기염소계 잔류 농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evel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 엄미나;장재철;정진아;유영희;지의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46-456
    • /
    • 2001
  • 2000년 7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경기도 지역에 유통중인 17종의 농산물 397건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보건위생상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기염소계 13종을 GC/ECD와 GC/MSD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농산물 397건 중 endosulfan이 31건(7.8%) 검출되었으며 chlorothalonil이 4건(1.0%) 검출되었다. 농약의 검출범위는 endosulfan 의 경우 상추는 3.7437~0.0488ppm, 시금치 2.1902~0.1423ppm, 아욱 2.4909~0.0786ppm과 겨자잎에서 3.2333~0.3997ppm이었다. Chlorothalonil은 상추에서 5.8097ppm과 시금치에서 0.8962ppm이었다. 잔류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endosulfan이 5건(1.8%)이었으며 chlorothalonil은 1건(0.3%)이었다. Endosulfan은 산화물 형태인 endosulfan sulfate(45.9%)가 $\alpha$-endosulfan(28.5%) , $\beta$-endosulfan(23.9%)보다 높게 나타나, 농약이 식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양보다 식물체 내에 흡수되어 있는 양이 더 많이 잔재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유기염소계 농약 endosulfan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분리 및 분해 특성 (Isolation of endosulfan degrading bacteria and their degradation characteristics)

  • 신재호;곽윤영;김원찬;소재현;신현수;박종우;김태화;김장억;이인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2-297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는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을 미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총 182점의 토양, 퇴비 및 액상의 미생물 시료를 접종원으로 실시한 endosulfan 집식(enrichment) 실험으로부터 endosulfan을 endosulfan diol 형태로 경유하여 분해하는 균주를 선발하고 그 이름을 Bacillus sp. E64-2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주는 7일만에 배지에 함유된 10 mg/L 농도의 endosulfan을 99% 이상 분해하였다. 또한 분리균주 Bacillus sp. E64-2의 조효소액은 endosulfan을 endosulfan diol로 전환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균주 자체는 생육 중에 배지의 pH를 배양 7일 만에 pH 7.0에서 pH 8.4로 올릴 수 있었다. 이러한 효소활성과 pH 증가 능력은 분리균주 E64-2에 의한 endosulfan 분해의 주된 작용 인자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균주는 효소에 의한 분해작용과 pH 상승작용을 통하여 토양에 잔류는 난분해성 물질인 endosulfan을 bioremediation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균주로서의 가치가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돌을 이용한 잔류성 농약 endosulfan의 소장 흡수 억제 연구 (A study to reduce the intestinal transport of endosulfan by indole)

  • 공대철;김주연;최한솔;노상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96
    • /
    • 2014
  • Endosulfan은 높은 잔류성과 소수성을 가진 유기염소계 잔류성 농약이다. 이 연구는 십자화과 식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고 심혈관계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인돌을 이용하여 소장에서 endosufan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를 이용해서 37 kBq의 $^{14}C$-endosulfan이 함유된 지질유화액을 시간당 3 mL씩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받은 동물군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인돌이 함유된 지질유화액을 같은 조건에서 공급받은 동물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8시간 동안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림프순환계로 흡수된 대조군의 $^{14}C$-endosulfan 양에 비해 인돌을 공급받은 실험군의 $^{14}C$-endosulfan의 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콜레스테롤의 흡수도 인돌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8시간 동안 흡수되지 않고 장벽에 잔류하는 $^{14}C$-endosulfan 양이 인돌을 공급받은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림프순환계로의 endosulfan 흡수 감소현상은 인돌공급에 의해 소장의 점막에 잔류하는 endosulfan의 양이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십자화과 식물에 존재하는 인돌 성분의 섭취가 대표적인 잔류성 농약인 endosulfan의 소장에서의 흡수를 감소시켜 체내 잔류 저감화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이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수질 및 토양 중 Endosulfan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effect of Endosulfan in soil and aquatic system)

  • 안중혁;이석종;이완;김준범;이광춘;권영두;전충;박광하
    • 분석과학
    • /
    • 제19권2호
    • /
    • pp.155-16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잔류농약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토양 및 수용액상에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물질은 유기염소계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각각 채취한 시료를 전처리하여 Ultra II[$(30m{\times}0.25mm(ID){\times}0.25{\mu}m$] 컬럼을 장착한 GC-${\mu}$-electron capture detector(${\mu}$-ECD)로 분석하였다. 토양 중 잔류농약의 회수율은 96-100%로 나타났다. 토양에 농약분해제를 살포하여 시간별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73, 61% 감소하였다. 토양시료에 농약분해제를 첨가하고, 수분의 양을 10 mL에서 100 mL로 증가 시키면서, 잔류농약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lpha}$-endosulfan은 45%에서 85 %로, ${\beta}$-endosulfan은 44%에서 88%로 제거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용액상에서도 시간별 endosulfan의 제거율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30분 내에서 ${\alpha}$-endosulfan은 99%, ${\beta}$-endosulfan은 98%가 분해 제거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농약분해제에 많은 유기산염과 강알칼리 성분들이 알칼리 가수분해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Lumbricus rubellus를 이용한 endosulfan의 간편, 신속 독성 평가 및 endosulfan 분해 미생물의 선별 (Simple and Rapid Evaluation System for Endosulfan Toxicity and Selection of Endosulfan Detoxifying Microorganism Based on Lumbricus rubellus)

  • 손호용;김홍주;금은주;이중복;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8-113
    • /
    • 2006
  • 독성물질의 무독화 연구의 화학적 분석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난분해성 독성물질의 분해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지렁이와 microplate를 이용한 빠르고 간편한 독성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방법은 지렁이의 사육이나 특수시설이 필요하지 않으며, 치사 및 무게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는 저농도, 단기간 처리시에도 신속하게 독성의 정량평가가 가능하다 실제 endosulfan 및 다양한 endosulfan 유도체, 구조적 유사체 등을 대상으로 독성 평가한 결과, endosulfan, endosulfan sulfate, aldrin 및 dieldrin 에서만 독성이 나타나 기존의 연구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endosulfan분해 및 무독화 균주 선별을 시도한 결과, 기존 endosulfan분해 및 무독화 균주로 선별된 KE-1, KE-8, KS-2P균주 처리의 경우에는 지렁이의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E. coli, B. subtilis, 및 YSU 균주들을 처리한 경우에는, 지렁이 사멸과 함께 심각한 독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독성물질의 독성평가뿐 아니라, 독성물질의 분해 및 무독화 미생물 선별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제초제 Alachlor과 살충제 Endosulfan이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배아의 생존 및 기형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achlor and Endosulfan on the Survival and Malformation of Bombina orientalis Embryos)

  • 강한승;계명찬;이재성;윤용달;김문규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300-307
    • /
    • 2004
  • The chloroacetanilide herbicide alachlor (2-chloro-2', 6'-diethyl-N-(methoxymethyl)-acetanilide) and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6, 7, 8, 9, 10, 10-hexachloro-l, 5, 5a, 6, 9, 9a-hexahydro-6, 9-methano-2, 3, 4-benzodioxathiepin-3-oxide)are the highly toxic agricultural chemicals. Bombina orientalis is one of the most common amphibians in the world and comprises a large proportion of their total number. B. orientalis spawns in the farming regions at Spring when the massive applica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occurs. These chemicals in farmland may threaten the reproduction of this frog. Therefore, we examined the embryotoxic and survival effects of alachlor and endosulfan at various concentrations in B. orientalis embryos.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at 312h post fertilization treated with alachlor and endosulfan were decreased with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lso, developmental malformations appeared by alachlor and endosulfan in B. orientalis embryos. The malformations showed in order of frequency with bent trunk, tail dysplasia, bent tail, thick-set body and ventral blister in alachlor treated embryos. The exposure of endosulfan produced 7 types of severe external malformations with tail dysplasia, pectoral blister, bent trunk, bent tail, cephalic dysplasia, ventral blister, and thick-set body. Following exposure to alachlor and endosulfan the types of malformations were diverse, suggesting these chemicals target multiple events in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in this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achlor and endosulfan were detrimental for survival and development of B. orientalis embryos.

Endosulfan Induces CYP1A1 Expression Mediated through Aryl Hydrocarbon Receptor Signal Transduction by Protein Kinase C

  • Han, Eun Hee;Kim, Hyung Gyun;Lee, Eun Ji;Jeong, Hye Gwa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339-345
    • /
    • 2015
  • CYP1A1 is a phase I xenobiotic-metabolizing enzyme whose expression is mainly driven by AhR. Endosulfan is an organochlorine pesticide used agriculturally for a wide range of crop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dosulfan on CYP1A1 expression and regulation. Endosulfan significantly increased CYP1A1 enzyme activity as well as mRNA and protein levels. In addition, endosulfan markedly induced XRE transcriptional activity. CH-223191, an AhR antagonist, blocked the endosulfan-induced increase in CYP1A1 mRNA and protein expression. Moreover, endosulfan did not induce CYP1A1 gene expression in AhR-deficient mutant cells. Furthermore, endosulfan enhanced the phosphorylation of calcium calmodulin (CaM)-dependent protein kinase (CaMK) and protein kinase C (PKC). In conclusion, endosulfan-induced up-regulation of CYP1A1 is associated with AhR activation, which may be mediated by PKC-dependent pathways.

Biodegradation of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by the Fungus Eutypella sp. KEF-1

  • Lee, Jung-Bok;Park, Sang-Yeul;Shin, Kee-Sun;Jeon, Chun-Pyo;Kim, Jang-Eok;Kwon, Gi-Seok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2-208
    • /
    • 2011
  • BACKGROUD: ${\alpha}$- and ${\beta}$- Endosulfan isomers of endosulfan, a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are widely used cyclodiene organochlorine pesticide in worldwide, and it has widespread application in agriculture and can contaminate river-system as runoff from soil or aerial deposition METHOD AND RESULTS: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isolate an endosulfan degrading fungus from endosulfan-polluted agricultural soil. Through repetitive enrichment and successive subculture in media containing endosulfan and its metabolites as the sole carbon source, a fungus designated KEF-1 was isolated.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strain KEF-1 was assigned to the genus Eutypella. Also, the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KEF-1 were submitted to GenBank under accession number EF581006. In potato dextrose broth containing 8 ${\mu}g$/mL endosulfan, strain KEF-1 completely degraded the endosulfanin 12 day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utypella sp. KEF-1 has potential as a biocatalyst for endosulfan bioremed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