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rser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인쇄 광고에서 광고모델 적합도의 효과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dorser Fit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Print Advertising)

  • 황인석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5-90
    • /
    • 2011
  • Suggesting that endorser fit in print advertising can be subdivided into observable endorser-product fit, unobservable endorser-product fit, and observable endorser-background fi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ir effect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evaluated three real advertisements on the items of the fits,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so on. The advertisements were for a watch, perfume, and women's clothing. Results showed that each of fits had an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respectively and the observable endorser-product fit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such an effectiveness than the unobservable endorser-product fit and the observable endorser-background fit in the majority of cases. It was also found that each of the fits had a tendency to exert relatively greater effects o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especially on the purchase intention, compared to the endorser preference.

Celebrity Endorser and Purchase Intention: The Mediating Role of Resonance-Based Self-Attitude and Brand Credibility

  • GUNAWAN, Stephanie Angelina;HERMAWAN, Asep;WIDJAJA, Anton Wachidin;BERNARTO, Innocentius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603-611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influences of resonance-based self-attitude and brand credibility in a relationship between celebrity endorser credibility and celebrity endorser congruity toward br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current dynamic business environment. It employ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reports on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opulation of consumers of various instant coffee brands in several cities in Indonesia. The number of respondents in this study was 432 people.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martPLS software. The analysis consisted of descriptive statistics, evaluation of the measurement model,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and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partially support the model develop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stant coffee product advertising in Indonesia needs to create brand messages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resonance-based self-attitude from consumers to increase the influence of celebrity endorser credibility and celebrity endorser congruity, as well as the brand credibility towards the br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marketing literature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lebrity endorser credibility, celebrity endorser congruity, resonance-based self-attitude, brand credibility,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광고 모델의 위치와 시선 방향이소비자의 시각적 주의, 태도 및재인에 미치는 효과: 안구운동추적기법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Endorser's Gaze Direction on Consumer's Visual Attention, Attitude and Recognition: Focused on the Eye Movement)

  • 정혜녕;이지연;남윤주
    • 광고학연구
    • /
    • 제29권7호
    • /
    • pp.29-5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광고효과 및 소비자 반응 측정 연구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안구운동추적기법(Eye-movement tracking)을 이용하여, 광고 모델의 위치 및 시선 방향(정면/측면_그림정보/측면_언어정보)이 광고 태도 및 제품 구매 욕구, 브랜드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면 광고들 중 모델의 비중이 비교적 높으며, 간접적 설득 경로의 중요성이 비교적 크게 평가되는 화장품 지면 광고를 이용하여 20대 성인 남녀 36명에게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의 연구들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모델의 시선이 향하고 있는 광고 내 특정 요소(제품사진, 브랜드 등)에 대한 응시 시간(Fixation duration)이 길어지고 해당 영역에의 진입 시간(Entry time)이 빨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모델의 시선에 의한 주의 유도 효과가 광고태도 및 제품 구매 욕구에 바로 반영되지는 않았다. 모델이 좌측에 있는 경우에는 시선의 방향이정면일 때 제품 구매 욕구가 가장 높았으며, 모델이 우측에 있을 때는 측면_그림정보(제품사진) 에 시선이 향할 때 광고 태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안구운동 추적실험 이후 추가적으로 진행한 브랜드 재인 실험 결과에서는 모델의 시선이 제품 사진을 향하고 있을 때 브랜드재인도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모델이 왼쪽에 있을 때 유효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모델의 시선이고객의 주의를 특정한 영역으로 이끄는 주의 유도자(attentional guidance)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모델의 위치 및 시선이 머무는 대상에 따라서 그 효과의 방향성과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고객의 광고 태도 및 제품 구매 욕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델의 시선 방향 이외에도 모델의 위치 및 추가 구성 요인들에 대한 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제품관여도, 광고모델에 따른 소비자 태도차이 연구 (Differences in Attitude -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 이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58-167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A total of 100 respondents in high involvement and 100 respondents in low involvement categories wer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s of a cosmetic brand using 4 different model types: celebrity endorser, expertise endorser, ordinary person as an endorser, and no endorser. The experiment was planned as $2{\times}4$ types including high/low involvement and 4 different model types (25 respondents each). After looking at an advertisement for 1 minute,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a survey measuring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6 hypotheses were suppor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and low involvement group depending on the advertising models used as well as the advertisement that influence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but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 celebrity endorser.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brand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whereas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brand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 celebrity endorser.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whereas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no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advertisement models. This study shows that marketers should differentiate advertising strategies based on consumer involvement.

ARDL 시계열 모형을 활용한 패션 브랜드의 매출 예측 분석 -패션 브랜드와 광고모델의 웹 검색량, 정보량, 가격할인 프로모션을 중심으로- (Fashion Brand Sales Forecasting Analysis Using ARDL Time Series Model -Focusing on Brand and Advertising Endorser's Web Search Volume, Information Amount, and Brand Promotion-)

  • 서주연;김효정;박민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68-889
    • /
    • 2022
  • Fashion companies are using a big data approach as a key strategic analysis to predict and forecast sa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ast sales, web search volume, information amount, brand promotion, and the advertising endorser on the sales forecasting model. The study conducted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time series model u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ocial big data of a national fashion br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 brand's past sales, search volume, promotion, and amount of advertising endorser information amou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sales forecast, whereas the brand's advertising endorser search volume and information amoun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ales forecast. Moreover, the brand's promotion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ales forecasting. This study adds to information-searching behavior theory by measuring consumers' brand involvement. Last, this study provides digital marketers with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fitable market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consumers' interest in the brand and advertising endorser.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스토리유형에 따른 광고모델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Advertising Endorsers and Story Types in Storytelling Advertising)

  • 소현진;박범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74-83
    • /
    • 2018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스토리유형에 따른 유명인 모델과 일반인 모델의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광고모델유형(유명인, 일반인)과 스토리유형(라이프체험형, 신화상징형)을 조작한 $2{\times}2$ 요인설계 실험이 진행되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라이프체험형 광고의 경우,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등 세 가지 종속변인 모두에 대해 일반인 모델이 유명인 모델보다 높은 광고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화상징형 광고의 경우, 광고태도에 대해서는 유명인 모델이 일반인 모델보다 높은 광고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나,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모델 유형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함의는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광고모델로 이전되는 브랜드특성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nd Trait Transference to Celebrity Endorser)

  • 이계명;김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493-503
    • /
    • 2015
  • 기존의 광고모델연구는 대부분 모델의 특성이 광고하는 브랜드로 전이된다는 전제 하에 모델의 광고 효과를 주로 검증하였으나 본 연구는 역으로 광고하는 브랜드의 특성이 해당 광고모델에게로 전이되는지, 전이된다면 과연 어떤 점이 차이를 발생시키는지, 브랜드특성 전이효과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실제 브랜드와 모델을 선정했으며, 실험자극물의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인쇄광고와 함께 TV광고물을 실험에 맞게 제작하여 동시에 활용하였다. 실험은 광고노출 4유형(브랜드광고 3집단, 광고무노출 통제집단) x 모델 2유형(유명인, 신인)으로 설계되었다. 분석결과 연구가설대로 브랜드 특성이 모델로 전이되었으며, 이러한 브랜드특성 전이효과는 기성 유명인 모델보다 신인 모델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기존에 형성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기성 유명인 모델에게는 이미지 특성 종류에 따라 브랜드특성 전이효과가 선별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w Do Consumers React to Scandals Involving Celebrity Endorsers and Endorsed Brands?

  • CHOI, Jie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8호
    • /
    • pp.77-85
    • /
    • 2019
  • Purpose - The use of celebrity endorsers is a strategy long-since used by companies to improve the persuasive impact of their company's advertising. However, much like anyone else, celebrities are flawed human beings, and therefore often find themselves involved in scandals. Companies must consider the potential of scandals when using a celebrity endorser to represent their brand or produc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cess consumers use to justify scandals involving celebrity endorsers. Specifically, this research divides the justification processes used by consumers to maintain support for celebrities involved in a scandal into moral decoupling and moral rationalization and propos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for these processes. Methodology - To verify the hypotheses suggested by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 - Results showed that consumer empathy for the celebrity endorser and external attribution of the scandal presented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ral decoupling and moral rationalization. In addition, moral rationaliz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onsumers' attitude towards the celebrity endorser, which also enhanced brand attitud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ecoupling an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celebrity endors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This research serves to expand the scope of available research on the persuasiveness of celebrity endorsers and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for marketers.

인공지능(A.I.)의 보증인 광고효과 분석: 수용자의 혁신성과 의인화 영향을 중심으로 (The Advertising Effect on A.I. as an Endorser: Focusing on Innovativeness and Anthropomorphism of Consumer)

  • 심재덕;이상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39-249
    • /
    • 2020
  • 본 논문은 인공지능 보증인이 광고 캠페인에서 사람과 유사한 보증인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인공지능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비자혁신성과 의인화 정도를 융합하여 연구모델을 제시하였다. 일반인 244명 대상의 온라인 설문을 통한 연구 결과 인공지능 보증인의 전문성은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진실성의 경우 브랜드태도에만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혁신성과 의인화정도가 인공지능에 대한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주는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보증인 효과의 연구대상을 무형의 대상인 인공지능까지 확장하여 기존 이론과 연구결과를 융합하여 재검증하고 소비자혁신성과 의인화정도가 미치는 영향을 찾아내어 향후 인공지능 기반 제품과 서비스 활용에 있어 이론적, 실무적인 의의를 제시하였다.

광고 모델의 시선 효과: 모델의 사회적 특성 지각과 광고 효과성 (Effects of ad endorser's gaze directions on social perception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 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18권1호
    • /
    • pp.3-14
    • /
    • 2015
  • 소비자가 광고에 대해서 반응할 때, 광고 모델의 시선(응시 방향)은 가장 중요한 비언어적 단서 중 하나이다. 광고 모델의 시선은 소비자가 모델의 사회적 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매력도, 신뢰성)와 광고나 브랜드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뇌의 정서 반응 비대칭 가설에 따르면, 오른손잡이 소비자는 모델이 좌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 우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보다 모델의 사회적 특성과 광고, 브랜드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서 무명 여성 광고 모델의 세 가지 시선 조건(정면, 좌측 그리고 우측 응시 조건)이 남성 실험 참가자의 광고 반응(모델 매력도 측면, 모델 신뢰도 측면 그리고 광고 효과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보다 모델이 광고 출연료를 받았으며 광고 브랜드 판매를 위해 소비자를 설득하려고 한다고 더 강하게 느끼지만 동시에 모델이 광고에 출연한 이유가 스스로 광고 브랜드를 진심으로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추론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 보다 광고에 대해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광고 모델의 좌측 응시 조건과 나머지 두 조건(정면 응시 조건과 우측 응시조건) 사이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실험 참가자의 모델 특성 평가와 광고 효과성 차이는 발견하지 못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