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particle size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9초

중공 입자의 제조: 반응 인자가 평균 입자 크기와 고형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Preparation of Void Latex Particles: Effects of Reaction Parameters on the Mean Particle Diameter and the Solid Content)

  • 이기정;서경원;목영일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758-762
    • /
    • 1998
  • 유화중합을 이용하여 중량 평균입자크기가 $0.3{\mu}m{\sim}1.5{\mu}m$인 중공 라텍스 입자를 제조함에 있어 평균입자크기와 고형분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반응 인자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유화제 (SDS)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친수성 코어 폴리머의 크기가 작아졌으며, 친유성 스티렌 단량체 (styrene monomer)와 개시제 (SPS)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공입자의 크기가 커졌다. 한편, 친수성 아크릴산의 첨가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중공입자의 크기가 작아졌다. 또한, 스틸렌 단량체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에멀젼 폴리머의 고형분 함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Poly(Styrene/Acrylate) Core-Shell 라텍스 입자의 제조와 물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Styrene/Acrylate) Core-Shell Latex Particles)

  • 이경구;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2
    • /
    • 2003
  • The core-shell latex particles were prepared by sequential emulsion polymerization of alkyl methacrylate and styrene(ST) by using an water-soluble initiator(APS) after preparing monomer pre-emulsion in the presence of an anionic surfactant(SDBS). In organic/organic core-shell polymerization, the pre-emulsion method, which minimized required quantity of sulfactant, has been used to increase the conversion rate and the stability of core-shell latex particles as well as to reduce the formation of secondary particle that cause problems of soap-free emulsion during shell polymerization. We used several methods to observe the core-shell structure. The core-shell structure was studied by measuring pH change during hydrolysis by NaO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_g$)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morphology of latex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and change of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by a particle analyzer.

에멀전증발법으로 제조된 미세 산화텅스텐 분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ne WO3 Powders Prepared by Emulsion Evaporation)

  • 안종관;신창훈;이만승;이충효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9-95
    • /
    • 2002
  • Spherical fine powders of tungsten oxide powders were prepared by the emulsion evaporation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s prepared were examined by means of TGA, X-ray diffraction, SEM and image analysis. The emulsions were prepared by fast mixing of aqueous phase containing tugsten and the organic phase which composed of kerosene, surfactant, and paraffin oil. Precursors were made by evaporating the emulsionin the kerosene bath at $160^{\circ}C$, and then calcined at $650^{\circ}C$ in order to produce tungsten oxide powder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tungsten oxide powders was $0.5\mutextrm{m}$ and their shapes were spherical at the both case of w/o and o/w type emulsions. As the HLB value of the surfactant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tungsten ions decreased the mean particle siqe of tungsten oxide powders decreased whereas agglomerationsize increased.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Span 80 was 8 percent by volume, and the optimum stirring speed in the emulsion formation was 5000 rpm in order to obtain fine and well dispersed $WO_3$ powders.

Poly(vinyl alcohol)를 이용한 Poly(vinyl acetate-co-ethylene) 에멀젼 중합에서 그라프트 연구 (Study on the Graft Effect in Emulsion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cetate-co-ethylene) Using Poly(vinyl alcohol) as Emulsifier)

  • 최용해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1호
    • /
    • pp.1-10
    • /
    • 2011
  • 자동화된 반응 열량계를 이용하여 중합비율을 관찰하면서 blockiness가 다른 PVOH를 이용하여 VAE 에멀젼을 합성하였다. 입자 분포도를 관찰 결과 단량체와 물과 비율에 따른 일정한 그라프트율은 없었다. 초기 단량체-물의 비율이 낮은 곳에서 겔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입자 분포는 넓고 이중 피크가 관찰되었다. 지속적으로 제한적으로 응징집되면서 입자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제한적인 응집현상과 사슬이 PVOH로 그라프팅되어 발생한 결과로 판단된다.

반연속식 노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1) : 폴리머 라텍스의 수율과 입자크기에 관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Type on the Particle Size and Yield in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 고기영;김성일;김철웅;형기우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연구는 모노머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와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에서 반연속식 유화중합을 실시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폴리머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평균 입자크기 및 농도에 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관한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LE-50, NP-50 > CE-50, Tween 20 > TX-405 > Brij 35 순으로 최종 폴리머 응석에 기인하여 낮아졌으며, 평균 입자크기도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LE형과 NP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체인의 길이(n)가 증가할 수 록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n = 30이상의 체인에서 평균입자크기는 250 - 320 nm, 폴리머 농도는 수용액 기준으로 40 %를 얻을 수 있었다. 반응초기에 반응기에 투입 (Initial reactor charge)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량에 무관하게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AB와 반응형 계면활성제인 HN-100의 경우에는 폴리머 에멀젼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는 SDS < CTAB < HN-100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다.

  • PDF

W/O/W 삼층막(三層膜) Microcapsules에 관(關)한 연구(硏究) (Three-ply Walled W/O/W Microcapsules Containing Furosemide and Reserpine)

  • 이치호;신영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4권2호
    • /
    • pp.62-69
    • /
    • 1984
  • Three-ply walled microcapsules containing furosemide and reserpine were prepared from multiple emulsion, and the the appearance of multiple emulsi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the drug contents of microcapsules were studied. The microcapsule consisted of alternating three layer of acacia/ethyl cellulose/acacia, and the surface of microcapsules was not porous but wrinkles and had relatively elaborate structure and the particle size range is $4{\mu}m$ to $64{\mu}m$.

  • PDF

연속적 Seed 유화중합법에 의한 마이크론 크기의 Poly(n-Butyl Acrylate) 라텍스입자 제조 (Preparation of Micron Size Poly(n-Butyl Acrylate) Latex Particle by Sequential Seeded Emulsion Polymerization)

  • 김지훈;서숭혁;남완우;김경찬;강신원;하기룡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89-894
    • /
    • 1999
  • 유화중합법으로 마이크론 크기의 고분자 라텍스 입자 제조시, 라텍스 입자의 응집, 2세대 입자의 생성 등의 문제 때문에 원하는 형태, 크기, 구조를 지니는 입자를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조적, 기능적 고분자 미립자를 합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론 크기의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미립자 성분으로 n-butyl acrylate(BA)를 선정하고, 개시제의 농도, 유화제의 양, 반응 온도, 가교제의 양 및 교반기의 속도 등의 반응 변수 조건에 따른 seed 유화 중합을 실시하여 각 반응 변수들이 입자의 크기 및 분산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반응 변수의 최적 조건들을 규명하여 연속적 seed 유화중합법으로 $0.14{\sim}3.67{\mu}m$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poly(n-butyl acrylate)(PBA) 라텍스 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VOC 절감을 위한 알키드 수지의 O/W 에멀젼 제조 (Synthesis of O/W Emulsion of Alkyd Resin for Reducing of VOC)

  • 이영상;이의수;하진국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1호
    • /
    • pp.9-14
    • /
    • 2010
  • 유화제로 UNIQ-1 (isopropylamine alkyl aryl sulphonate)과 UNIQ-2 (alkoxylated glycol ether)를 혼합사용 하고, 오일 상으로 도료용 수지로 사용되는 유장 45% 알키드 수지를 사용하여 전상유화법으로 o/w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에멀젼 제조과정에서 HLB, 교반속도, 제조 온도가 입자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입자크기는 HLB 값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온도 및 자연광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에멀젼의 평균 입자 크기는 193 nm 이었으며, 기존 유성 수지에 비해 VOC 사용량을 90% 절감하였다.

Preparation of Resveratrol-loaded Poly($\varepsilon$-caprolactone) Nanoparticles by Oil-in-water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Method

  • Kim, Bum-Keun;Lee, Jun-Soo;Oh, Ju-Kyoung;Park, Dong-Jun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57-161
    • /
    • 2009
  • Resveratrol-loaded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oil in water (O/W)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method. The morphology of the nanoparticles was evaluated using atomic force microscope (AFM), in which well-shaped and rigid nanoparticles were prepared. The mean particle size of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only dichloromethane (DCM) ($523.5{\pm}36.7\;nm$) was larger than that prepared with a mixture of DCM and either ethanol (EtOH) ($494.5{\pm}29.2\;nm$) or acetone ($493.5{\pm}6.9\;nm$).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nanoparticles prepared only with DCM as dispersed phase ($78.3{\pm}7.7%$) was the highest of those prepared with solvent mixtures. An increase in the molecular weight of PCL led to an increase in encapsulation efficiency (from $78.3{\pm}7.7$ to $91.4{\pm}3.2%$). Pluronic F-127 produced the smallest mean size ($523.5{\pm}36.7\;nm$) with the narrowest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se results show that dispersed phase, molecular weight of wall materials, emulsion stabilizer could be important factors to affect the properties of nanoparticles.

화장품용 오일 타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융복합 화장품 적용 (Application of Nanoemulsions upon Type of Cosmetic Oils for Convergence Type of Cosmetics)

  • 조완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69-37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Tween 80/Span 80의 유화계에서, PIC(Phase Inversion Composition) 방법으로, 80 oC에서 화장품용 오일의 나노에멀젼 형성 가능성과 오일의 구조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탄화수소 계열의 LP 70, Isopar H 및 Pripure 3759는 모두 입도 분포가 40 nm 내외의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직쇄 구조의 실리콘 오일은 불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였으나 환상 또는 짧은 사슬의 실리콘 오일은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에스테르 오일류에서는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도가 증가하였고 분자량이 약 450 이상에서는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얻을 수 없었다. 오일의 친수성과 친유성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요구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에 대한 나노에멀젼의 입도는 HLB 값이 8-10 정도 범위에서 가장 입도가 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