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ty space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초

이중 도약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도약법 (An efficient space-leaping method using double leaping)

  • 이정진;신병석;신영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3_4호
    • /
    • pp.109-116
    • /
    • 2003
  • 공간 도약법(space leaping)은 가속화된 영상순서 볼륨 렌더링(image-order volume rendering) 방법의 하나로서 광선 추적 시 빈 공간을 식별하여 도약하도록 함으로써 렌더링 속도를 향상시킨다. 이 방법은 렌더링 속도는 빠르지만 공간 도약을 위한 자료구조를 만들기 위한 전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도약법에서 도약 거리를 기존의 방법보다 두 배로 하는 미리 보기 샘플링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렌더링 속도의 큰 변화없이 전처리 과정인 거리 맵 생성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방법보다 렌더링 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도 있다.

공 컨테이너 반출 시 발생하는 재취급 횟수 비교 (Comparing Expected Numbers of Re-Handles for Empty Containers During Gate-Out Operation)

  • 이훈;김갑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7-216
    • /
    • 2018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한정된 공간에서 공 컨테이너를 선사별, 컨테이너 종류별로 구분하지 않고 혼적하여 보관하면 장치공간은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재취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보관 전략에 따른 장치장에 공 컨테이너가 섞여 있는 상태와 반출 작업에 사용하는 야드 장비에 따라 재취급의 기대 횟수를 추정하는 수식을 유도하고 수치실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인출비율과 수리비율 변화에 따른 기대 재취급 횟수 변화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장치 규모 변화에 따른 기대 재취급 횟수를 비교하고, 복수 선박의 컨테이너가 혼재된 상태에서 장치비율 및 인출비율 변화에 따른 기대 재취급 횟수를 분석하였다. 공 컨테이너 대상 기대 재취급 횟수를 고려한 효율적인 운영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완충지역을 활용한 타부두 환적 컨테이너 운송 모형의 복화율 개선 효과 분석 (An Improvement of Backhaul Transport with the Mathematical Model of Inter-Terminal Transportation Using Buffer Space)

  • 박형준;신재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6-242
    • /
    • 2022
  • 부산항은 다수 터미널 운영사에 의해 분리 운영되고 있어 ITT(Inter-Terminal Transportation) 물량이 다수 발생한다. ITT 물량발생은 추가 운송비용, 공차운송, 차량 대기 및 터미널 혼잡 등 다양한 문제를 초래해 부산항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그 중 공차운송 문제는 부산항 ITT 운영에 있어서 비용 문제를 악화시키는 대표적인 요인이지만 부산항의 ITT 복화율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부산항 환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ITT 복화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ITT의 복화율 개선을 위해 완충지역을 활용한 복화운송 최대화 수리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운영 데이터에 기반한 실험을 통해 완충지역 활용에 따른 복화율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한옥 안마당의 계절별 건구온도 분포 및 상관도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of the Dry Bulb Temperature in Anmadang of Korean Traditional House)

  • 이주동;박현장;공성훈;이중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489-494
    • /
    • 2003
  • "Anmadang" of traditional Korean house is an empty space, surrounded by buildings shaped like the letter, ‘ㅁ’.‘ㅁ’shaped traditional Korean house provides much more comfortable outdoor space for various activities than ‘ㅡ’shaped traditional Korean house. In this paper it has been tried to analyse the dry bulb temperature condition of indoor and outdoor space through measurement of dry bulb temperature in Anmadang, Maru and outdoor space. This paper also analyses the correlation of dry bulb temperature between Anmadang and outdoor space with seasonal variations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FERMATEAN FUZZY TOPOLOGICAL SPACES

  • IBRAHIM, HARIWAN Z.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0권1_2호
    • /
    • pp.85-9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notion of Fermatean fuzzy topological space by motivating from the notion of intuitionistic fuzzy topological space, and define Fermatean fuzzy continuity of a function defined between Fermatean fuzzy topological spaces. For this purpose, we define the notions of image and the pre-image of a Fermatean fuzzy subset with respect to a function and we investigate some basic properties of these notions. We also construct the coarsest Fermatean fuzzy topology on a non-empty set X which makes a given function f from X into Y a Fermatean fuzzy continuous where Y is a Fermatean fuzzy topological space. Finally, we introduce the concept of Fermatean fuzzy points and study some types of separation axioms in Fermatean fuzzy topological space.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 김화환;최형관;이민석;장문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8-135
    • /
    • 2017
  • 도시 생애 주기에 따른 도시 노후화와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도시 쇠퇴의 가시적인 지표로 대표적인 사례인 공폐가의 발생과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 역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 광주광역시 공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폐가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지역에 따른 공폐가 발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공폐가 발생의 유형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제작한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의 10가지 도시 쇠퇴 진단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공폐가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이 시군구별 집계 자료에 제한되었던 것을 극복하여, 공폐가의 실제 위치를 행정동 단위로 분석하여 자세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폐가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및 공폐가 발생 유형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은 행정동 단위에서 정적인 공간적 자기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국지적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 공폐가 발생이 집중되어 있었다. 공폐가 발생과 도시 쇠퇴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삼각도표를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공폐가 발생 지역을 원인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 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지역별 공폐가 발생의 원인을 유형화하여 도시 노후화 현황과 지역별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가구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구조체적 접근 및 역할이 배제된 것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Furniture Appearing in Contemporary Indoor Space - Focusing on the exclusion of a structural approach and role -)

  • 김현범;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6-231
    • /
    • 2008
  • Indoor space becomes limited by each factor engirdling and defining infinite empty space. Those factors appear as physical ones called wall, floor, and ceiling, and earn existential value as a living space by placing furniture in the space organized in this way.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a clear harmony between the space and furniture. Since long ago, a great deal of effort has been put into creating a relational harmony between the space and furniture. This study is to be unfolded by assuming that spatial furniture comes amid these efforts. Namely, furniture does not exist as a separate entity in a space but interacts with the construction; thus, furniture is immersed into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becomes furniture, which demonstrates that furniture is on the continuum of the composition of the space. This study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furniture in contemporary indoor space through relevant cases, and prepares the ground for a creative interpretation of Indoor space.

  • PDF

비판교육학의 공간적 관심과 지리교육의 재개념화 (Critical Pedagogy of Space and the Reconceptulalization of Geography Education)

  • 조철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775-790
    • /
    • 2012
  • 이 논문은 지리의 핵심개념 중의 하나인 공간에 대한 담론을 고찰한 후, 공간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위한 교육으로서 지리교육을 주장한다. 최근 지리학과 비판교육학에서는 공간을 공간 과학의 관점에서 물리적이고 물질적인 것으로 정의하던 차원에서 벗어나, 공간의 사회성과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공간은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공간은 더 이상 사회적 관계가 단순히 기록되는 단순한 그릇이 아니라, 다양한 의미들이 서로 경합하고 갈등하면서 사회적 관계가 생산되고 재생산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제 지리교육은 공간이 개념화되는 상이한 방식을 검토하고, 다중적이고 경쟁적인 공간의 본질을 독해하는데 초점을 둔 공간에 대한 비판지리교육을 발전시켜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 PDF

직관적 체험내용으로 비추어 본 생활공간의 역동성 (Dynamism of Lived Space in the Light of Intuitive Experiential Contents)

  • 김영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75-8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field dynamics of 'lived space' in the light of our intuitive experiential contents by way of investigating three properties of space. While finding inspirations in the field theory of modern physics, investigation of our intuitive responses to the physical and spatial environment leads us to a coherent view of matter and space. We find then that our lived world is more than a system of inert matter; it is a dynamic environment of life in which feeling and mood, spiritual meaning and value, are perpetually infused with matter. Any concept of space, if it is to be meaningful to lift has to somehow acknowledge this fact. Empty space and matter cannot be conceived as mutually exclusive and independent as in classical physics. Rather they should be seen as two different manifestations of an underlying dynamism which permeates the world. The 'properties' of space can only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impact' of material presence. The object cannot be seen as an isolated entity, but the 'conditioning' of its surrounding space has to be understood as an integral part of its being. Lived space can thus be viewed as an emotionally charged field, or a field of emotional energy, whose properties may be described in terms of concentration, mobility and resonance.

무규정 공간 자세히 보기 (Close Looking at Gilles Deleuze's Any-Space-Whatever)

  • 김정호;김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65-790
    • /
    • 2021
  • 사람의 얼굴을 비롯한 클로즈업은 인접한 숏들과의 실제적, 잠재적 관계를 통해서 정서를 유발한다. 클로즈업이 아닌 공간도 정서를 표출해내는 감화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그러한 공간은 무규정 공간이 된다. 탈 프레임화로 이뤄진 숏들이 파편화되어 제시된 공간은 가로, 세로, 깊이의 3차원상의 좌표를 확인할 수 없는 공간이 되고, 이러한 공간은 4차원 시간과 5차원 정신의 영역을 통해서만 그 공간의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현실에서 나온 공간이지만, 더 이상 현실의 공간이 아닌 셈이다. 무규정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그림자들, 빛과 어둠이 교차하는 서정적 추상, 색채, 비어 있는 공간 등을 들 수 있다. 질 들뢰즈는 칼 드레이어와 로베르 브레송의 클로즈업과 공간의 파편화, 탈 프레임화를 통해서, 어떻게 무규정 공간을 구축하고 초월적 스타일로 나아가는지를 살펴본다. 빛과 어둠이 교차하는 서정적 추상은 영화 속 캐릭터들이 처한 선택의 문제, 선택의 조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