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motive to select dental hygiene as major and their work valu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신선행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53-86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n motive to select dental hygiene as their major, and their work valu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44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uth Korea from November 1 to 30, 2016. To analyze the data, the study used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mong others. Results: There wer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2.9), major selection motive (3.1), and their work value (3.8) in subject. The higher student's grade is, the better prepared he or she for employment (p<0.001). Inner work value (p<0.01) and outer work value (p<0.05) were higher among females than male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sonal, social motive to select dental hygiene as their major, and their inner work value. Conclusions: Positive motivation to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leads to major motive to select major, and their work valu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udy of diversified manners that can be fulfilled fo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특성화고 고졸청년층의 진로준비 및 진로성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f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maturity on employment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 이만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61-4971
    • /
    • 2014
  • 특성화고 졸업자들이 취업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특히 특성화고의 각종 취업지원정책과 더불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시설 및 교과지원, 직업능력지원, 진로지도, 취업지원 등의 프로그램과 개인이 하는 진로준비행동,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증가는 취업에 과연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등의 학교지원만족도, 가정에서 실시한 진로준비행동, 취업 전의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 등을 주요변수로 하여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진로성숙도,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여주고 있고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거나 간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음으로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주며 예비적 직업탐색행동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예비적 직업탐색행동을 통해 취업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본 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취업을 직접적으로 높이고 여성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나, 양질의 학교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하되 특히 여성에 맞는 취업지원프로그램도 개발,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지원만족도가 높으면 여성은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이 가정에서 갖는 진로에 대한 대화 등 진로준비활동은 남성과 달리 취업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어 여성의 경우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프로그램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Work Value, Career Attitude Maturity Influence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김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96-10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218명의 학생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6월 4일부터 8월 2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25.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취업준비행동을 종속변수로 하고, 관련 요인으로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직업가치관 및 진로태도성숙도와 취업준비행동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였고, 취업 준비행동의 영향요인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 영향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취업준비행동을 종속변수로 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들을 보정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천주교와 개신교를 종교로 갖고 있는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도와 취업준비행동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직업안정 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낮고, 애국 및 실내활동 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독립성, 준비성, 확신성, 결정성이 높은 경우에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최종적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 결과,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은 반면에 진로태도성숙도는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 Jung, Sook-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33-140
    • /
    • 2021
  •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지역의 전문대학에 다니고 있는 헤어전공 학생 15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전공선택동기척도, 전공 만족도 척도와 취업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중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헤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개인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한편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접효과만 있었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융합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A Convergence Study on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Senior Nursing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 김은아;하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45-45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 및 G시에 소재한 3개 대학교 4학년 간호대학생 190명이다. 수집된 자료로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관리역량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관리역량과 취업준비행동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고, 자기관리역량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지며, 취업준비행동을 설명하는 설명력(R2)은 34%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기관리역량 함양 및 이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유도할 수 있는 통합적인 전략 마련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전공 선택동기, COVID-19 불안,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COVID-19 Anxiety, and Work Value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cused on Health College Students)

  • 김은정;박사라;임성범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9-56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COVID-19 anxiety, and work values on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health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developing programs fo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the future. Methods : Employing a random sampling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2 to June 3, 2022, using an electronically-disseminated questionnaire with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technician, health administration, and nursing from D and K colleges located in Daegu. A total of 402 students who fully understood and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te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hich were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major selection motivation, COVID-19 anxiety, and work values. Seco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motivation behind choosing a major, work values, and COVID-19 anxiety, in that order. The higher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work values, and COVID-19 anxiety were, the better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as. Conclusion :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it would be meaningful to provide health college students who were highly motivated to select their major and who possess sound work values with well-prepared job training programs. Various activities organized by the school for improving the students' self-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hich can strengthen their long-term work values, could also be provided. In addition, due to the continuing COVID-19 pandemic, college students may feel anxious about new infectious diseases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Therefore,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situation, a helpful educational program will be invaluable to fit the pupils for life's battle after they finish their education.

4년제 대학생의 취업목표설정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Employment Goal Setting to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김윤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293-7299
    • /
    • 2015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 취업목표설정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어떠한 취업준비행동이 취업목표달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중 '2011GOMS1'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취업목표를 설정한 경우가 취업목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보다 취업준비행동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목표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행동으로는 경력개발프로그램 중 직장체험프로그램이 정(+)적인 영향을, 진로 및 취업교과목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번 연구를 통해 목표설정유무는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목표설정이 취업준비행동을 유발하지만 이것이 곧 목표달성을 가져 오는 것이 아니므로 대학생들이 합리적인 진로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 및 프로그램 운영과 함께 체계적인 취업교과목 운영, 직장체험의 기회 확대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의 그릿과 취업준비행동에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on College Student's Gri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송민선;정헌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89-96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그릿과 취업준비행동에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프로그램 후 경험, 변화와 취업지원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3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2022년 8월 29일부터 8주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후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를 시행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취업지원 프로그램 시행 후 취업준비행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현실적인 취업 준비와 방향성 설정에 도움이 되었으며,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확대운영과 맞춤형 취업지원이 필요하다.

미용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loyment Stress on Cosmetology Students Occupation Decision and Job Hunting Behavior)

  • 문소희;공차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5-33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to cosmetology studen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areer decision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s. Overall 214 parts were empirically analyzed as final samples. Collected data and statistical processing are based on SPSS v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21.0 program.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stress on career decision showed that employment anxiety (β= .206, p<.05), job anxiety(β=.824, p<.05), and anxiety in career search(β=.118, p<.05)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However, employment concerns(β=-.312, p<.001) in career determination and employment concerns(β=-.223, p<.01) in career sear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employment stres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und that employment anxiety(β=.364, p<.05)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use preparation, It was foun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 affects employment anxiety(β=-.188, p<.01). The study found that the more anxious cosmetology students are about employment, the more they plan and explore career options, and make information-based preparations for employment.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re will be lively discussions among cosmetology students on career adaptability,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anxiety.

코로나19 시대의 대학생 진로장벽이 취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매개효과와 매개된 조절효과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COVID-19: Focusing on Multi-parallel Medi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go-resilience)

  • 윤일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30-13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취업준비행동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병렬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장벽, 진로적응성, 자아탄력성, 취업준비행동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진로장벽과 취업준비행동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조절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