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xhaustio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6초

보건의료 대학생들의 사상체질 분류에 따른 학업소진 경향의 차이 (Differences in the Tendency of Academic Burn-Out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among the Healthcare College Students)

  • 김윤영;장은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1-157
    • /
    • 2019
  • Academic burn-out is a state of emotional, and physical exhaustion caused by prolonged stress over the course of the semester and academic year. It is composed of exhaustion, inefficacy, and cyn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at the academic burn-out would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rly and the end stage of semester, and the sub patter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among the healthcare college students.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in early March 2018 and the second one was done in the end of June 2018. Total 386 questionnaires concerning KS-15 of Sasang Constitution, MBI-SS of academic burn-ou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drinking, smoking and so on were collected and 9 of them were excluded, because of insufficient answers. The academic burn-out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6 in early stage of semester to 63 in the end stage of semester (p<.001). In sub-pattern analysis, the exhaustion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1.3 to 26.7 (p<.001), and cynicism score increased from 15.4 to 17 (p<.001). The cynicism score of drinking alcohol group ($16.21{\pm}5.572$) was higher than the non-drinking alcohol group ($14.62{\pm}5.859$), and the exhaustion score of smoking group ($23.75{\pm}6.94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smoking group ($21.05{\pm}6.697$) in early stage of semester. The exhaustion score of female ($27.47{\pm}5.762$)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26.02{\pm}6.536$) (p=.024), and the inefficacy score of Taeeumin ($20.13{\pm}5.24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oyangin ($18.15{\pm}5.588$) in the end stage of semester. The healthcare college student experiences academic burn-out, and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SC in sub-pattern. Further study is needed to manage the academic burn-out according gender and Sasang constitution.

기업의 표현규정이 비대면 감정노동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splay rule for none face-to-face emotional worker's job satisfaction)

  • 여현진;박지영;문재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49-66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mpirical studie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defining representation, negative defining representation, surface acting, deep acting, dissatisfaction of job, and intention of job transfer. Method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by customer satisfaction team of "A" company call center.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emotion and behavior norm influence on deep act of expressing both positive impacts of the employees. Conclusion: Feelings of corporate representation norm is psychologically of employees that because it affects even also must facilitate the surface acts and internal acts of employees and job dis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due to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are hidden on the back emotion norms in the contact department, it should be aware of the need to address the emotional problems. Companies need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with attention to addressing the emoti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workers.

재난 자원봉사인력의 소진 양상에 따른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세상에 대한 신념의 차이 (Understanding Voluntary Disaster Workers with Their Burnout Pattern and the Group Differences i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World Assumptions)

  • 민지원;주혜선;안현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3호
    • /
    • pp.363-385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지원인력으로서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그 중요성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을 살펴보기 위해, 소진 양상에 따른 하위집단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자원봉사인력의 소진 양상에 따른 군집을 확인하고, 이차외상 스트레스 증상과 세상에 대한 신념과 같은 재난 관련 반응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사고 당시 재난지원 봉사활동에 참여한 성인 7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비인간화)을 사용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낮은 소진-높은 성취'를 나타낸 집단 1(n=17), '높은 소진-높은 성취'를 보인 집단 2(n=28), '낮은 소진-낮은 성취'를 보인 집단 3(n=25)과 같이 총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재난지원활동 특성의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재난지원활동 내용과 기간이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차외상스트레스 증상과 세상에 대한 신념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단 2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이차외상스트레스 증상의 수준이 높았으며, 집단 1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긍정적 자기에 대한 가치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집단에서 요구하는 개인·기관 차원에서의 예방과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 PDF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파악 및 개선방안: 초점집단인터뷰 적용 (The Emotional Labor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Nurses Working in the Integrated Nursing Service Ward: Applying Focus Group Interviews)

  • 김찬희;이선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2호
    • /
    • pp.104-11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motional labor of nursing personnel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and to suggest the way service improvement can be achieved. Methods: A total of 28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fter the interview to perform data analysis in the order of data classification, topic categorization, and keyword derivation. Results: The five categories of subjects and relating keywords drawn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are as follows: 1) Emotional labor experience: suppressing emotions, expressing emotions or ac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reality, 2) Situations of emotional labor: verbal abuse and assault, sexual harassment, personal needs and errands, 3) Responses to emotional labor: responding directly, responding directly, receiving senior's help, using the organizational system, persevering, 4) Problems caused by emotional labor: work exhaustion, job change intention, job stress, 5) Protection plan against emotional labor: manual or education for nurses, education for patients and carers, compensation, tough sanctions though system strengthening.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although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generally experience high levels of emotional labor, the problem solving of them relies mainly on personal respon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measures to protect nurses in an organizational level response, thus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system.

Mental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Academicians during Online Distance Learning: An Empirical Study from Malaysia

  • bdul Kadir, OTHMAN;Jaafar, PYEMAN;Azuati, MAHMUD;Siti Nooraini, MOHD TOBI;Zahariah, SAHUDI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2호
    • /
    • pp.1-1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ossible solutions for the problem faced by academicians during online learning by means of employ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selected academicians were interviewed, and their feedback was transcribed and used to develop the survey instrument. The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was later used to determine the most plausible solutions for the problem that could be obtained and implemented by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 to academicians at a public univers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work-life conflict and lack of support are the main contributors to academicians' mental and emotional health issues. The study's major findings help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raft appropriate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by providing the necessary support to the academician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academicians should separate work and family requirements to concentrate on their job. Furthermore, the immediate supervisor must be considerate in determining the number of tasks, the deadlines, and the assistance required to complete the task. Lastly, academicians must equip themselve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to cope with stressors.

독거노년부모에 대한 중년자녀의 정서적 돌봄 경험 : 불안정부모애착 중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Adults Emotionally Caring for Their Elderly Parents Living Alone: Focusing on Middle-aged Adults with Insecure Attachment)

  • 김계연;홍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57-679
    • /
    • 2021
  • 본 연구는 불안정부모애착을 형성한 중년을 대상으로 독거노년부모에 대한 정서적 돌봄의 경험과 그 본질의 탐색을 통해 이들에 대한 이해와 상담학적 자료제공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5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년 12명(남 3명, 여 9명)을 심층면접한 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불안정 부모애착을 경험한 중년이 독거노년부모의 정서적 필요를 돌보는 경험에 대하여 60개의 구성된 의미, 18개의 주제, 4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주제군으로는 '정서적 소진을 불러온 부정적 경험', '정서적 돌봄에서의 정서적 원동력', '부모돌봄에서의 조력자의 역할', '정서적 돌봄에서의 경제적·신체적 내용'이 있었다. 본 연구는 불안정부모애착을 맺은 중년이 독거부모를 정서적으로 돌보는 경험의 현상을 밝혀 불안정애착 중년에 대한 이해를 넓혔고 상담 적용에 기여할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헤어 미용사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of Hairdresser on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 전선복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3-2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헤어 미용사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광주·전남의 미용실에 근무하고 있는 헤어 미용사들을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56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 미용사의 감정 노동은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의 2개 요인으로 이루어 졌으며, 직무소진은 정서적 고갈, 자아 성취감 저하, 비인간화의 3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헤어미용사들의 감정노동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사들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헤어미용사들의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실 경영자는 헤어 미용사들의 감정노동을 낮추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헤어 미용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치과의원에서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과 직무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burnou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turnover in dental clinics)

  • 문재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79-380
    • /
    • 2022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직장내 괴롭힘은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이직요인이 되고 있다. 직장내 괴롭힘을 발생시키는 폭력은 그 폭력의 강도가 다소 약한 상태의 공격적 행동을 피해자 에게 전달하지만 이를 지속적이며 비신처제적인 공격으로 인해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결국 강한 폭력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직장내 괴롭힘을 직무소진이라 하고 직무만족과 직무이직에 어떠한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Empathy In Informal Caregiving: Extension of A Concept from Professional Practice

  • Lee, Haejung;Patricia, F. Brenna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123-1133
    • /
    • 1999
  • The concept of empathy was examined In the professional caregiving relationship and its application was extended to the context of informal caregiving. Using the Lazarus and Folkman model, the influence of empathy on the caregiver's experience in the caregiving relationship was illustrated. The effects of the caregiver's empathy on his/her own caregiving outcome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burnout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Empathy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while increas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personalization, indicating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burnout. This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burnout can be explained by suggesting the distinct roles of two dimensions of empathy emotional and cognitive. The needs for more research to support the critical roles of empathy in informal caregiving context and to examine the definite roles of two dimensions of empathy were suggested.

  • PDF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감정노동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Labor in Korea using text mining)

  • 조경원;한나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19-133
    • /
    • 2021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감정노동 분야에서는 텍스트마이닝을 사용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2004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감정 노동'이라는 주제어가 포함된 1,465건의 검색된 논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감정노동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LDA분석으로 주제들을 추출하고, 토픽의 비중과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IDM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사도가 높은 토픽들의 의미유용성을 고려하여 토픽의 통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토픽은 11개로 구분되며, 감정노동의 스트레스(12.2%),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12.0%), 고객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10.9%), 감정노동과 회복탄력성(10.2%), 감정노동전략(9.2%), 콜센터상담사의 감정노동(9.1%), 감정노동의 결과(9.0%), 감정노동과 직무소진(7.9%), 감성지능(7.1%), 예비돌봄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6.6%), 감정노동과 조직문화(5.9%) 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토픽모델링과 트렌드분석을 통하여 감정노동의 연구동향과 학문적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감정노동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감정노동에 관한 실무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