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development

검색결과 1,637건 처리시간 0.029초

Predictor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among 'Looked after Children' in England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61-74
    • /
    • 2009
  • This study identified the health, academic attainment, violence and abuse factors on predicting the conduct development and emotional symptoms in 'looked after children' placement. A sample of 1,543 children was interviewed regarding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and risk factor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ssess whether selected variables predicted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in 'looked after children'. All placement, health, academic, violence, and abuse factors differentiated behavioral and emotional symptom differences according to selected variabl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dictors of conduct behavior symptom among 'looked after children', included gender, age, placement, health, violence, and abuse. Placement, health, reading ability, violence, and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further predicted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se findings highlight multidimensional approaches to address various vulnerability indicators that have a direct application to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to designed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children in public care.

감성기술 적용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감성콘텐츠 개발 방향 연구 (Development direction of emotional contents through analysis of successful cases from applying emotional technology)

  • 정상훈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121-132
    • /
    • 2012
  • 최근 들어 감성기술은 제조업(제품), 서비스업(문화, 관광, 의료, 교육, 광고)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차세대 유망기술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문화는 게임, 전시, 공연, 스포츠, 관광, 디자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유통 등 다양한 콘텐츠산업분야에 접목되어 기존산업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고 있다. 감성 기술을 이용한 문화의 콘텐츠산업 접목은 콘텐츠 기획-제작-유통-마케팅 등 프로세스 전반의 혁신을 유도함으로써 미래 국가 성장동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기술의 콘텐츠 적용 사례 조사와 비즈니스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콘텐츠산업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감성콘텐츠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감성, 감성공학, 감성과학, 감성기술, 감성콘텐츠 등에 대한 정의와 분류를 정교화하였다. 또한 CT R&D 6개 분야 중에서 감성기술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심층 분석하였다.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인간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인간의 정서조절이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한류문화를 세계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감성기술의 콘텐츠산업 접목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초등학교 영양사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ietitians in Elementary Schools)

  • 안선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7-320
    • /
    • 2013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영양사의 감성지능이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감성지능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양사들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성지능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정서지각과 감성지능이 상관계수가 0.774로 가장 높았으며, 정서관리와 조직몰입이 상관계수가 0.254로 가장 낮았다. 영양사들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로 영양사들은 정서적 사고촉진과 정서관리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았으며 영양사들은 정서적 사고촉진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향후 영양사의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해 영양사의 감성적 지능관련 요소들의 효과적 조절을 위한 감성지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Skills Towards Emotional Intelligence: A Case Study of FPT University in Vietnam

  • NGUYEN, Trong Luan;NGUYEN, Ha Ai My;LUU, Pham Thao Nguyen;LE, Minh Anh;NGUYEN, Thi Anh Thu;NGUYEN, Ngoc Tra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53-61
    • /
    • 2022
  • As society evolves, people are making more of an effort to learn more about human aspects, one of which is emotional intelligence, a topic on which education experts have traditionally concentrat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ow people think and manage their emotions. On the other side, i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expressive ability and aids people in better adapting to lif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leadership skills, stress management, adapt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FPT University student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o survey 500 FPT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used a sample size of 500. Previous studies used a 5-point Likert scale to assess the four skill el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showed adequate communication skills, leadership qualities, stress management, adapt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is influenced by communication skills, leadership abilities, stress management, and flexibility. This suggests that students who master these four skills have higher level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outcomes of this study reveal that students have been conscious of Emotional Intelligence since a young age. The affirmations in this research paper will benefit students and young people interested in enhancing complimentary soft skills that boost Emotional Intelligence.

디지털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에서의 아날로그감성 커뮤니케이션 (Research on the Analog Emotional Communication Appeared in Digital Media Design)

  • 손현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6-153
    • /
    • 2010
  •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디지털 시대 테크놀로지의 풍요로움 속에 우리의 삶의 변화를 가져왔다. 기술은 발전하면 할수록 우리의 생활은 더욱 새롭고 편리하고 미래지향적인 디지털 시대를 기대하는 반면에, 사람들은 따뜻한 인간의 감수성에 대한 그리움을 갖게 되었다. 모더니즘에 대한 반성으로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미디어의 확산을 통해 다양화되는 복잡한 문화 속에서 방황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 심리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안정을 되찾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디지털시대의 역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인간에 대한 감성에 부응하는 사용자의 감성 반응을 고려하는 아날로그 감성디자인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디지털 미디어에 있어서 아날로그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향에서의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 디지털환경에서 아날로그감성은 디지털기술과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사람들의 기호와 정서적인 측면을 조화시켜나가면서 새롭게 확장, 변화하고 있으며, 진화하는 아날로그 감성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발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감성지능교육의 콘텐츠 방향성 탐색 (Exploring the Content Direction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황백민;정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8-91
    • /
    • 2022
  • 어린이 증강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에서 감성지능교육의 중요성은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 감성지능의 발달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제안은 2~7세 어린이용 증강현실 유형은 마킹 인식 기술을 갖춘 실내 활동에 적합하다. 정서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대형 스크린을 선택하고, 학습내용은 이모티콘 인형 또는 이모티콘 도서를 권장한다. 7~11세 어린이는 비 마커 인식 기술 실내 활동에 적합하며 적극적인 조작으로 정서조절과 정서 인식을 유도할 수 있다. 학습 내용은 '입체미술 교수 콘텐츠' '온라인 클래식 뮤지컬'을 권장한다. 11세 이후 아동은 비마커 인식 기술 야외 활동에 적합하고 자연과 사회에 대한 상호작용을 통해 감성지능의 각 요소를 향상시킨다. 학습 내용은 '미술을 통한 숲 놀이 활동' 'EQ 연극놀이'를 권장한다. 본 논문을 통해 어린이 증강현실 감성지능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병원 간호사의 업무환경,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by Hospital Nurses)

  • 남문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6-267
    • /
    • 2015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index of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by hospital nurs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90 nurses who were working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dow 18.0 program. Result. Findings revealed that; 1) The mean scores were 2.81 [range : 1-5] for work environment, 3.24 [range : 1-5] for emotional labor, 3.43 [range : 1-5] for turnover intention. 2) Pearson's correlation revealed work environ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but emotional labor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urnover intention. 3) H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work environment, ages, assign ward, period in current hospital, emotional labor significant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Conclusio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managing the emotional labor for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so that can be long time.

아동의 정서적, 인지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motional and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 김정진;최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tendencies and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4-year-old (N=60), 6-year-old (N=60) and 8-year-old (N=60) children. In each group, there were an equal number of boys and girls. Feshbach & Roe's child perspective-taking ability test was modified for this study. The test included four facial expression cards and six different stories inducing three types of emotion: happy, sad and angry.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a 3 (age) by 3 (emotional stories: happy, sad and angry) factorial design. The dependent measures were two response types: emotional and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increased with age. Happy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developed earlier than sad and angry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increased with age.

  • PDF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아동의 정서지능의 매개적 역할 (The Pathways from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차성혜;도현심;최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25-137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pathways from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36 elementary school 4th-6th graders (of which 233 were boys, and 203 were girls) in Seoul.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vels of school adjustment.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but not 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rough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d the effects of maternal warmth/acceptance and rejection/restriction on levels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emotional intelligence plays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levels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