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communication

검색결과 900건 처리시간 0.03초

The Role of Visual Communication for Emotional Marketing Strategy

  • HAN, Jung-Im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11호
    • /
    • pp.39-46
    • /
    • 2022
  • Purpose: Visual communication is the act of using elements and components that can be seen. Some of the elements include images, illustrations, drawings, and video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eck if there is the meaningful role of visual communication for emotional marketing pla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resent author firstly tried to obtain prior knowledge based on numerous previous literature through qualitative content method, investigating and searching related topic in 'Scopus' and 'Google Scholar' which is one of the most famous database. This methodology has already been proved the credibility and conformability by prior researchers. Results: The current study looks at four basic aspects that will assist in analyzing the findings and results from different peer-review articles. The section will cover social media, videos, podcasts, and ads. Conclusions: Several studies also affirmed that increased use of the internet and internet for marketing causes psychological issues among adolescents. Only adults should view some of the marketing ads, but if they pop into an adolescent browser, it may cause some harmful effects. Therefore, the study concluded that moderation of online visual adverts should be done to ensure only the targeted customers view the advert.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특성 탐색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between Fan and Celebrities on Twitter)

  • 황유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72-8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상에서의 유명인과 트위터 이용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의 특성 및 감정 반응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유형을 '의사 교호작용', '정보 허브', 그리고 '팬덤' 등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유명인의 유형은 '연예인', '정치인', '전문인', 그리고 '블로거' 등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및 유명인의 유형 범주에 따라 트위터 이용자들이 수행하는 트윗 행위의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또한 트위터 이용자들의 감정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로 상정한 '이모티콘 이용'과 '감정 표현 제시' 빈도가 트위터 매개의 상호작용 유형 및 유명인 유형 범주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 트위터 공식 사이트를 통해 수집되었다. 공식 사이트를 활용하여 각 유형별 유명인에 대해 이루어진 트윗을 검색해 총 960개의 트윗을 수집하였고 각각의 트윗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의 의사 교호작용 트윗 형태는 정치인과 전문가 유형에 대해서 가장 빈번했고, 팬덤 성격의 트윗은 연예인 유형에 대해서 가장 현저했으며, 정보 허브를 표방하는 트윗은 블로거 유형에 대해서 제일 빈번하게 수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감정 반응과 관련해서는 팬덤 유형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에 있어서 이모티콘 이용과 감정 표현의 제시 빈도가 가장 현저했다. 또 유명인 유형 중에서는 연예인에 대한 트윗에서 감정 반응이 가장 현저하게 드러났으며 이모티콘 이용 빈도는 전문인의 경우가 그 뒤를 이었고, 감정 표현 사용은 전문인과 정치인 유형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학생의 감성지능, 대인관계 유능성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on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 우미영;배현지;홍성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01-40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재학 중인 187명의 간호학과 학생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11월 20일부터 2019년 12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서 평균 5.09점이었으며, 대인관계 유능성 점수는 5점 만점에 3.53점, 의사소통능력은 5점 만점에서 3.56점이었다.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성지능(β=.354,p <.001), 대인관계 유능성(β=.47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감성지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서비스직 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with Emotional Labor among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 이복임;정혜선;이경용;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6-576
    • /
    • 2004
  • Purpose: The study was to determine variables related to the depressive impact of emotional labor among workers. Method: 443 respondents were surveyed through the NIOSH generic job stress questionnaire from December 1st through December 30th, 1999. Results: 1. Employment type and job insecurit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veloping depression, load and role ambiguity. 5. Intervention program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networks are needed to help workers cope with their job stress in a positive manner. Conclusions: First, giv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avoiding tactics and depression levels, an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to help workers cope with their job stress in a positive manner, Lastly, because role ambiguity was one of the main causes of depression among workers who perform emotional labor, establishing an effective communication network is important to make communication flow within the workplace clear and open.

  • PDF

A Color Study of the Sky Area Focused on the Van Gogh's Paintings

  • Xiaodi, Cui;Xinyi, Shan;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113-119
    • /
    • 2023
  • This research analyzed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color expression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of visual perception in the creation of art works. This research takes the element of the sky in the works of Vincent William Van Gogh, a Dutch post-Impressionist representative painter, as the basic research objective to prove the influence of color expression of the same thing on the inner emotional communication of the creator. After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previous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Van Gogh, this research will summarize the works containing sky elements in Van Gogh's works according to his four creative stages, and select representative works for color analysis and comparison. In this paper, by comparing the colors of the same elements of the sky, we can find Van Gogh's guidance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through the expression of colors in his works, which will play a certain inspiring role in the creation of painting art.

The art of diabetes care: guidelines for a holistic approach to human and social factors

  • Muhammad Jawad Hashim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2호
    • /
    • pp.218-222
    • /
    • 2023
  • A holistic approach to diabetes considers patient preferences, emotional health, living conditions, and other contextual factors, in addition to medication selection. Human and social factors influence treatment adherence and clinical outcomes. Social issues, cost of care, out-of-pocket expenses, pill burden (number and frequency), and injectable drugs such as insulin, can affect adherence. Clinicians can ask about these contextual factors when discussing treatment options with patients. Patients' emotional health can also affect diabetes self-care. Social stressors such as family issues may impair self-care behaviors. Diabetes can also lead to emotional stress. Diabetes distress correlates with worse glycemic control and lower overall well-being.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an build the foundation of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the clinician. Respect for patient preferences and fears can build trust. Relevant communication skills include asking open-ended questions, expressing empathy, active listening, and explo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Glycemic goals must be personalized based on frailty, the risk of hypoglycemia, and healthy life expectancy. Lifestyle counseling requires a nonjudgmental approach and tactfulness. The art of diabetes care rests on clinicians perceiving a patient's emotional state. Tailoring the level of advice and diabetes targets based on a patient's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requires mindfulness by clinicians.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father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gender identity on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female students)

  • 강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00-309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간호학과 여학생으로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23일부터 5월 27일까지 였고, 최종 270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3.21{\pm}0.38$점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경제상태(F=5.13, p=.006), 부와의 관계(F=4.74, p=.001), 성적(F=5.22, p=.006), 성만족(F=4.00,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개방적 의사소통(r=.30, p<.001), 긍정적 정서표현(r=.37, p<.001), 성정체성(r=.26,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 폐쇄적 의사소통(r=-22, p<.001), 부정적 정서표현(r=-.26, p<.001)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의 긍정적 정서표현, 부정적 정서표현과 성정체성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8.2%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여대생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고, 자기효능감의 영향 요인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for nursing students)

  • 이외선;김미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19-328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18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는 5점 만점에 2.84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내성이 가장 높고 가상세계지향이 가장 낮았다.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일반 사용자군이 88.7%로 가장 많았고, 잠재적 위험사용자군 9.6%, 고위험사용자군 1.7%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과 감성지능 및 비판적 사고성향은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은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의사소통능력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Impact of Coping and Communication Skills Program on Physician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 Penberthy, Jennifer K.;Chhabra, Dinesh;Ducar, Dallas M.;Avitabile, Nina;Lynch, Morgan;Khanna, Surbhi;Xu, Yiqin;Ait-Daoud, Nassima;Schorling, Joh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4호
    • /
    • pp.381-387
    • /
    • 2018
  • Background: Physician behaviors that undermine a culture of safety have gained increasing attention as health-care organizations strive to create a culture of safety and reduce medical errors. We developed, implemented, and assessed a course to teach physicians skills regarding effective coping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nt our results regarding outcomes. Methods: We examin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to address unprofessional or distressed behaviors of physicians, and we evaluated the impact on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scores of the physicians. Assessments of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were assessed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over time in physicians' emotional flooding and emotional exhaustion (EE). Specifically, using a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revealed that flooding scores at follow-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at baseline, V = 590, p < 0.05, and EE and personal accomplishment distribution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deviate from normal as indicated by Shapiroe-Wilks tests (p < 0.05). A Wilcoxon signed-rank test indicated that E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baseline compared to follow-up 1, V = 285, p < 0.05.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physician participants who enrolled in the educational skills training program improved scores on emotional flooding and EE and that this may be indicative of improved skills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nd learning in the program. These improved skills in physicians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culture of safety in the health system setting.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bility,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of the College Classroom)

  • 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0-1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감성지능, 학습과정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집단지성,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여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학교 3,4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집단지성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집단지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 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협력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