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knowledge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8초

정서의 심리적 모델: 개별 정서 모델, 평가 모델, 차원 모델을 중심으로 (Review on Discrete, Appraisal, and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

  • 손진훈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9-186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is to review three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s that explain scientific construct of emotion, that are the discrete emotion model, appraisal model, and dimensional model. Background: To develop emotion sensitive interface is the fusion area of emotion and scientific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have a balanced mixture of both the scientific theory of emotion and practical engineering technology. Extensional theories of the emotional structure can provide engineers with relevant knowledge in functional application of the systems.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literature review on the basic emotion model and the circuit model of discrete emotion model as well as representative theories was done. Secondly, review on the classical and modern theories of the appraisal model emphasizing cognitive appraisal in emotion provoking events was conducted. Lastly, a review on dimensional theories describing emotion by dimensions and representative theories was conducted. Results: The paper compared the three models based on the prime points of the each model. In addition, this paper also made a comment on a need for a comprehensive model an alternative to each model, which is componential model by Scherer(2001) describing numerous emotional aspects. Conclusion: However, this review suggests a need for an evolved comprehensive model taking consideration of social context effect and discrete neural circuit while pinpointing the limitation of componential model. Application: Insight obtained by extensive scientific research in human emotion can be valuable in development of emotion sensitive interface and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감정표현의 직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색상을 이용한 감정모델의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dapting an Emotion Model Using Colors for an Emotion Expression)

  • 여지혜;정명범;함준석;박준형;고일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52-157
    • /
    • 2008
  • 인간은 감정을 인지하는데 있어 시각을 많이 사용한다. 인간은 감정을 인지하는데 있어 시각을 많이 사용한다. 빛에 의해 물체를 지가하며 색채의 한가운데 살아간다. 그만큼 색채는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어 많은 시각정보 중에서도 색채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인다. 그래서 감정을 색채로 표현한다면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색상과 감정 간의 관계연구를 통한 색상을 이용한 감정표현을 목적으로 한다. 정서를 동그라미 모형으로 표현한 Plutchik의 정서동그라미와 색상을 동그라미 모형으로 표현한 모세스 해리스의 해리스1은 기준 축을 중심으로 결합하여 다른 감정을 찾아내거나 색채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색상과 감정 간의 관계연구를 하는데 사용하였다. 두 모델의 유사특징을 이용해 Plutchik의 정서동그라미에서 기본이 되는 감정을 선택해 비슷한 느낌과 특정을 가지는 색상을 모세스 해리스의 해리스1에서 찾아 감정을 매칭 시키는 방법으로 색상환을 이용해 감정을 표현한다. 색상과 감정 간의 매칭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감정의 자극이 계속적으로 들어와 많은 감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비행슈팅 게임은 여러 가지 감정의 자극이 계속적으로 들어오고, 실시간으로 감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비행슈팅게임의 캐릭터 색상으로 적용해보았다.

  • PDF

감성정보검색을 위한 지식베이스 구축방법 (The Method to Build Knowledge-Base for User's Preference Retrieval)

  • 김돈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8
    • /
    • 2008
  • This study proposed the Knowledge Base Building method reflecting the user's preferences based on the fuzzy set theory to develop information contents which support pedestrian's navigation. This research evaluated subject's preferences on the commercial spaces set to the hypothetical destination. Also it survey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o propose the methods of Navigation Knowledge Base (NKB). The NKB was composed by three elements; 1.the correlation model between emotional characteristics, 2.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3.the transformation model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 PDF

칠정상(七情傷)의 기전에 대한 고찰 - 감정적 요인을 중심으로 - (Emotional factors in the mechanism of Chiljeongsang(七情傷))

  • 윤은경;백유상;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7-142
    • /
    • 2011
  • This paper is about the emotional factors in Chiljeongsang(七情傷). To specify the collective term into specific categories, an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emotion of the East and West was primarily undertaken. The importance of emotion lies in the fact that it provides a link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outside world. Emotion was perceived as reflections of the human nature and mental activity by philosophers and psychiatrists throughout history. In the views of psychologists, the focus was on not emotion itself, but rather the emotional experience in human, and it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 In Traditional Medicine, problematic emotion is called Chiljeong(七情). The term Chiljeongsang(七情傷), which is a compound word of 'Chiljeong(七情)' and 'Sang(傷)' meaning 'damage', is used in referring to illness related to unhealthy emotions. It is used to describe illness caused by Chiljeong(七情) and mental disorders that result in emotional symptoms. It also refers to illness where Chiljeong(七情) plays a role in creating a more direct cause of illness in the larger pathogenic process. In the contents of Chiljeongsang(七情傷) in Traditional Medicine, emotion as causation of Gi(氣) disorder could be found the most, while explanation on the psychological process related to the creation of Chiljeong(七情) was insufficient. This tendency is related to the philosophical basis of Traditional Medicine. Out of the two patterns suggested, the mind-based Chiljeongsang(七情傷) pattern includes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damage, in which key focus is on the cause that arouses problematic emotion, its process and the meaning this emotion entails. To explain this, concepts from psychiatry, especially Jung's theory on neurosis was adopted. In treating a Chiljeongsang(七情傷) patient, mere knowledge of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body in terms of Gi(氣) is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mental factors play a large role in Chiljeongsang(七情傷), and the more a condition is 'mental', the more complex it becomes and the more it influences life as whole. Therefore, the doctor must approach the patient with not only medical knowledge, but also overall knowledge on all aspects of human life.

디자인에 있어서 지식경영의 도입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for Design)

  • 서홍석
    • 감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33-43
    • /
    • 2002
  • 세계는 지금 정보화사회를 넘어 지식사회(Knowledge Society)에 돌입하였다. 즉, 지식이 가장 강력한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디자인에 있어서도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으며, 지식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실무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에 지식경영을 도입하여 디자인적 맥락에서 지식경영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재구축하고, 디자인을 통한 지식창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에 지식경영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디자인에 적합한 지식경영의 이론적 프레임웍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로서 지식경영과 지식경영시스템에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디자인에 적합한 지식경영 도입 방안과 이론적 프레임웍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식경영시스템을 크게 디자인 인프라, 지식정보시스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지식역량으로 구성하였으며, 지식경영시스템의 기술적 특성을 정보기술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PDF

감정 온톨로지 기반의 영화 추천 기법 (A Movie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Emotion Ontology)

  • 김옥섭;이석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068-1082
    • /
    • 2015
  •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the mobile technology, smart phon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current society. This lead to an easier way to retrieve video contents using web and mobile services. However, it is not a trivial problem to retrieve particular video contents based on users' specific preferences. The current movie recommendation system is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However, this system does not consider any emotional means or perspectives in each movie, which results in the dissatisfaction of user's emotional requirements. In order to address users' preferences and emotional requirements, this research proposes a movie recommendation technology to represent a movie's emotion and its associations. The proposed approach contains the development of emotion ontology by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and the concepts which cause emotional effects. Based on the current movie metadata ontology, this research also developed movie-emotion ontology based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metadata related to the emotion. The proposed movie recommendation method recommends the movie by using movie-emotion ontology based on the emotion knowledge. Using this proposed approach, the user will be able to get the list of movies based on their preferences and emotional requirements.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on Knowledge Sharing of Public Employees: Based on Officials' Perceptions in Local Government)

  • 김구
    • 정보화정책
    • /
    • 제20권4호
    • /
    • pp.23-50
    • /
    • 2013
  • 이 연구는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암묵지식과 명시지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경험적으로 살펴보고 최적모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모형의 구성변수로는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을 조직의 절차적 및 분배적 공정성에 기인한 타산적 신뢰, 조직과 상사 그리고 동료에 대한 인지적 신뢰, 동료에 대한 감성적 신뢰 요인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지식내용을 중심으로 암묵지식 공유와 명시지식 공유로 구분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과 지식공유를 구성하는 개별요인은 물론 이들 개별 요인들의 상위개념을 통합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모형의 적합도는 요구수준에 근사하게 도달되었으며, 가설적 영향관계에서는 통합요인 및 개별요인 모두에서 '동료에 대한 감성적 신뢰'가 지식공유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신뢰 개념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지식공유의 영향모형을 도출함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지식공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과 둘째, 지식공유를 암묵지식과 명시지식으로 구분함으로써 지식공유의 내용에 따른 차별화된 지식공유의 촉진 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 PDF

발화 내 감정의 정밀한 인식을 위한 한국어 문미억양의 활용 (Utilizing Korean Ending Boundary Tones for Accurately Recognizing Emotions in Utterances)

  • 장인창;이태승;박미경;김태수;장동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6C호
    • /
    • pp.505-511
    • /
    • 2005
  • 인간을 상대하는 자율장치는 고객의 자발적인 협조를 얻기 위해 암시적인 신호에 포함된 감정과 태도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에게 음성은 가장 쉽고 자연스럽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이다. 지금까지 감정과 태도를 이해할 수 있는 자동시스템은 발성문장의 피치와 에너지에 기반한 특징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의 감정인식 시스템의 성능은 문장의 특정한 억양구간이 감정과 태도와 관련을 갖는다는 언어학적 지식의 활용으로 보다 높은 향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미억양에 대한 언어학적 지식을 피치기반 특징과 다층신경망을 활용하여 구현한 자동시스템에 적용하여 감정인식률을 향상시킨다. 한국어 감정음성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4\%$의 인식률 향상을 확인하였다.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정서의 기능에 관한 서술적 고찰 (A Descriptive Study on the Function of Emotion in the Context of Eyewitness Testimony)

  • 이승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67-278
    • /
    • 2022
  • 본 연구는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진술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의 기능에 관한 문헌 고찰을 시도하였다.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과 정서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에서 소개된 주요 이론과 개념들, 연구 방법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해당 결과는 정서의 정의, 정서 유도 방식, 정서 측정 방식 순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정 정서, 각성, 스트레스, 기분을 중심으로 정서의 정의를 기술하였고, 정서 유도 방식은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영상, 가상현실, 연구자가 연출한 모의 사건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정서 측정 방식은 자기보고식, 행동 측정, 정신생리학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객관적이고 과학적 정서 연구를 위한 접근 방식, 적절한 실험 설계와 기억 검사, 개인차 통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진술 정확성에 미치는 정서의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선행 연구의 비일관된 결과를 검토하고, 관련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이와 같은 지식은 목격자 증언의 신뢰성 판단에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식모니터링시스템에서 감성기준을 고려한 EFASIT 모델 (An EFASIT model considering the emotion criteria in Knowledge Monitoring System)

  • 류경현;피수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07-117
    • /
    • 2011
  • 웹의 등장은 전통적인 정보검색을 비롯하여 지식관리와 일반 상거래 등 사회 전 분야의 급격한 변혁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검색엔진은 일반적으로 관련된 계산함수에 의해 순서화된 URL의 방대한 목록을 제공하지만, 관련 없는 정보의 필터링이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상의 효율적인 문서검색을 위해서 영역 코퍼스 정보를 바탕으로 확장된 퍼지 계층화 의사결정법(Extended Fuzzy AHP Method : EFAM)과 유사도 기법(SImilarity Technology : SIT)을 결합하고, 감성기준을 고려한 EFASIT(Extended Fuzzy AHP and SImilarity Technology)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감성기준을 고려한 EFASIT 모델은 다양한 의사결정자들의 퍼지지식의 통합으로 좀 더 명확한 규칙을 생성할 수 있고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