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medical equipmen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소방활동방해죄의 의미와 구성요건 개선에 관한 검토 -119구급활동 방해를 중심으로- (A Review on the Improvement of the Meaning and Composition Requirements of Interference with Fire Protection Activities - Focusing on Interference with 119 EMS Activities -)

  • 홍영표
    • 의료법학
    • /
    • 제24권3호
    • /
    • pp.105-124
    • /
    • 2023
  • 현대 사회는 뜻밖의 사고와 위험 상황으로 불안정한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분당 다리 붕괴사고와 이태원 압사사고 등이 그 예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급성심정지나 뇌졸중과 같은 중대한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조치와 전문 의료 기관으로의 원활한 이송이 필요한 경우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요소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119구급대는 응급 의료 시스템 중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중대한 외상 환자나 중증 질환 환자의 응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손상을 최소화하고, 응급의료 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이와 관련된 핵심 활동이 구급활동인 것이다. 특히, 119구급시스템은 응급 환자의 병원 이송을 책임지는 핵심 기관이나, 구급대원들은 업무수행 중 구급활동 방해 사례에 여전히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방해 사례는 경찰의 협조 노력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고 있고, 구급활동은 공무집행 방해죄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며, 응급의료 시스템 내에서 근무하는 응급의료 종사자에 대한 폭행 및 장비 파손과 같은 사례와도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119구급시스템을 포함한 응급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해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소방기본법"과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구급활동 방해죄의 조건을 정립하고 개선하는 것이다.

119 구급자동차의 내부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Design of Fire-fighting Ambulance Interior)

  • 신동민;박민정;한용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21-129
    • /
    • 2016
  • 구급차는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의 중요한 요소이며, 119 구급대원의 업무능률 향상을 위한 중요한 공간이다. 구급대원들이 직무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구급차 내부의 환경을 최적의 공간으로 하여 구급대원들의 책임과 기능적 역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급차의 내부 공간에서 환자실에 탑재되어야 하는 응급의료 장비와 약제의 탑재 공간 확보 및 구급차 내에서의 응급처치에 따른 원활한 공간의 배치를 재구성하였으며, 환자의 위치와 응급처치 요원의 배치에 따른 공간 배정에 대한 분석 및 효율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구급차 주행 중 처치공간에서 수행하는 119 구급대원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급대원의 직무수행에 적합한 구급차 내부 수납공간의 디자인 설계 및 사용 환경에 대한 파악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안전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환자실 공간 크기 및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건의료기기 박람회 참관객의 추구편익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ursuit Sought on Satisfaction Level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Visitors in a Health Care and Medical Equipment Fair)

  • 문태영;노상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926-293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의료기기 박람회 참관객들의 추구편익을 바탕으로 방문자 만족도와 행동의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문자의 만족도와 추구편익에 대한 만족도 및 행동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보건의료기기 박람회를 주최자 및 관련자에게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주 보건의료기기 박람회 이벤트에 참가하는 참관자들을 대상으로 250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과 AMOS 1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추구편익에 따른 방문객 만족도, 추구편익에 대한 행동의도, 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 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따라서 보건의료기기 박람회를 주최자 및 담당 관련자들은 박람회 참여자들의 특성과 욕구가 일치하는 박람회 또는 이벤트 상품, 서비스 등이 차후 행사시 만족도 및 행동의도로 이어 질수 있도록 전시주체들은 전시기획을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증시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슴압박소생술 교육효과 (The effects of hands-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 정화윤;최은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3-17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hands-only CPR education according to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5) guideline for undergraduate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subject of hands-only CPR education among the visually impaired. Methods: Twenty-one students attending four universities in C Province, aged 19 years or old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se students had severe visual impairment and no other disabilities and have never received hands-only CPR educatio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2017 to January 11, 2018. The accuracy of the participants' technique was measured using Brayden Pro CPR maniki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4.0. Results: Hands-only CPR educ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nfidence and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 among undergraduate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should be given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dditionally, subsequent studies should develop equipment that helps increase accuracy by using video aids with commentary or other auditory compone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주도 소방조직 발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Fighting Equipment Organization of Cheju-Do)

  • 고재문;김태민;김효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57
    • /
    • 1998
  • Today, Korean Disaster Control System has better change the existed it for substantial prevention and the emergency control system. And it requires the new National Wide Disaster Control System through building up the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posts which are scattered over the National Administration and one-way management for disaster affairs by them. Therefore 119 that might have a lot of technical knowhow should be a center of disaster affairs which will be able to take all rescue, relief(first aid), fire fighting, and preventive affairs. Then it could be a service organization of citizen. Consequently, it will strengthen National Disaster Control ability and it could be a National Wide Disaster Organization which is ready for prevention, preparation, confrontation of all kinds of disasters with absolute reliance by the citizen.

  • PDF

교정시설 내 응급의료체계 발전방안 (The Developmental Program of Emergency Medical System in Correctional Facilities)

  • 김수일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0-73
    • /
    • 2008
  • 응급의료체계(Emergency Medical System)의 목적은 응급환자에게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환자의 상태를 최단 시간 내에 정상상태로 회복시켜서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이며 교정행정(矯正行政)의 목적은 범죄자를 사회로부터 격리하여 이들 수형자에게 형기동안 교육, 교화활동 및 직업훈련 등을 실시함으로써, 이들이 출소 후 사회에 복귀하여 다시는 범죄를 저지르지 않고 성공적으로 사회에 정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듯 교정행정과 응급의료체계의 목적이 국민을 안전하게 사회에 복귀시키는 것으로 상호 부합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정시설 내 하위문화의 특수성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과 질병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수용자와 그 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의 안전을 위해 교정시설 내 다양한 응급상황 발생요인과 제도, 인력, 시설, 장비, 예산현황 및 문제점 등을 통해 효율적인 교정시설 내 응급의료체계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각 교정시설 보안근무체계에 맞게 적정인원의 응 급구조사의 채용을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수용자의 중증도분류에 따른 이송체계를 완비하고 응급의료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셋째, 교정공무원과 수용자에 대해 실습 위주의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응급처치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1339응급의료정보센터와 같은 사회 내 응급의료체계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다섯째, 보건복지부는 응급의 료기금의 지원을 교정시설로 확대하여야 한다.

  • PDF

공단밀집지역에 위치한 일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급성산업중독환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atients with Acute Industrial Toxic Exposure at an Emergency Department in an Industrial Complex)

  • 신준현;문성우;백승원;임성익;윤영훈;이성우;홍윤식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08
  • Purpose: Surveys on poisoning usually involves intoxication rather than inhalation, skin contact, etc. Therefore,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in an industrial complex after acute industrial exposure to toxic material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exposed to toxic materials in the work places from April, 2006, to March, 2008,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Inhalation patients due to fire were excluded. Results: Subjects included 66 patients, with a mean age of $35.4{\pm}10.9$ years, mostly men (91%). Toxicity occurred in 51 patients (77%) by contact, 15 patients (23%) by inhalation, and none by oral ingestion. For toxic materials, 10 patients were exposed to hydrofluoric acid, 8 to hydrochloric acid, 7 to sodium hydroxide, 7 to metals, and others. The face and hands were the most frequent exposure site by contact. Most exposures were caused by accidents, with 29 cases (42%) exposed because of carelessness or not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Most complaints were pain on exposure site, but 7 of the inhalation patients complained of dyspnea.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contact exposure were discharged after wound care or observation. After inhalation exposure, 1 patient died and 5 patients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Conclusion: Major causes of workplace exposure were not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or carelessness. Although contact exposures are usually benign, cautious observation and management are required in patients with inhalation exposure.

  • PDF

Current Status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s for Emergency Medical Personnel in the Republic of Korea

  • Oh, Hyang Soon;Uhm, Dong Cho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6호
    • /
    • pp.330-341
    • /
    • 2015
  • Objectives: Emergency medical personnel (EMPs) are pre-hospital emergency responders who are at risk of exposure to infections and may also serve as a source for the transmission of infections. However, few studies of infection control have specifically addressed EMPs in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Korea).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s (IPCPs) for EMPs in Korea.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resources and activities of IPCPs. A total of 907 EMPs in five metropolitan citie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2014 to January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ulti-response analysis, and the chi-square test.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4.8{\pm}15.1years$. IPCPs were found to have weaknesses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resources: the assignment of infection control personnel (ICP) (79.5%), hand hygiene resources such as waterless antiseptics (79.3%), the use of paper towels (38.9%),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face shields (46.9%), and safety containers for sharps and a separated space for the disposal of infectious waste (10.1%). Likewise, the following activities were found to be inadequately incorporated into the workflow of EMPs: education about infection control (77.5%), post-exposure management (35.9%), and the decontamination of items and spaces after use (88.4%). ICP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ources and activities of IPCPs (p<0.001). The resources and activities of IPCP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ive cities (p<0.001). Conclusions: IPCPs for EMPs showed some limitations in their resources and activities. IPCPs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and specific IPCP activities for EMPs should be developed.

원격응급시스템의 방사선 영상장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Radiologic Imaging Device of Remote Emergency Medical System)

  • 조동헌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0-65
    • /
    • 2007
  • 구급차에 장착하거나 사고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사선 영상장치를 구현하였다. DC 12[V] 입력 전원에서 X-ray 튜브를 통해서 X-ray를 발생하는 장치를 구성한 후 오실로스코프를 활용하여 특성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발생된 X-ray에 대해 디지털 디텍터를 이용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실험을 하였다. X-ray를 발생시킨 후 디지털 디텍터로 검출한 결과, 파일 크기가 1.67[MB]이고, jpg 형태로 이루어진 방사선정보를 저장할 수 있었다. 구현된 방사선 영상장치는 환자가 의사로부터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시간적으로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구현된 방사선 영상장치는 긴박한 상황이 발생한 사고 현장이나 이동 중인 구급차 내에서 X-ray 촬영을 함으로써, 환자의 X-선 정보를 응급의료 센터의 의사에게 전달하고 의사의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의료 선진화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수재난 대응 환자 격리 이송 장비의 효율성 및 편의성 평가: 마네킹시뮬레이션 연구 (Efficacy and Usability of Patient Isolation Transport Module for CBRN Disaster : A Manikin Simulation Study)

  • 김기홍;홍기정;함승희;최진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16-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 중인 화학, 생물학, 방사능 및 원자력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의 효율성과 사용 용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상기 개발 장비는 자체 개발한 격리, 이송, 환자 감시 모듈을 통합하여 제작하였다.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한 마네킹을 이용한 무작위 교차 실험(또는 시뮬레이션)연구이며, 모든 연구대상자는 기존 장비와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의 시제품을 교대로 사용하였다. 생체신호 변화 검출 소요 시간과 치료 적용 소요 시간으로 효율성을 평가하였고 각 감시장치, 이송카트, 격리 장치 편의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 편의성으로 평가하였다. 총 12명의 응급구조사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 군의 저산소증 검출 시간이 3.5초(2.5-3.9)로 기존 장비군의 4.9초(3.8-3.9)보다 유의하게 짧았다(p < 0.05). 심전도 변화 감지 소요 시간 및 안면 마스크 산소 공급 소요 시간의 감소 경향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 군의 환자 감시 장치의 전반적 만족도도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 군이 4점(3.5-5)으로 기존 장비군의 3점(3-3)에 비해 높았다(p < 0.05). 특수재난 대응 격리 이송 장비 사용군이 저산소증 검출 시간이 짧았으며 기존장비에 비해 환자 감시 장치의 전반적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