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amectin benzoat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9초

생산단계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Emamectin benzoate during Cultivation of Amaranth)

  • 김경진;김다솜;허성진;함헌주;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7-83
    • /
    • 2013
  • 본 연구는 소면적 재배 작물인 비름에 대한 emamectin benzoate의 수확 전 최종 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일까지 농약 잔류량 감소추이를 파악하여, 생산단계 농산물의 농약 잔류 특성과 수확 예정일의 잔류량 예측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름 재배 중 emamectin benzoate를 안전사용기준의 희석배수에 준하여 1회 및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후, 0, 1, 2, 3, 5, 7, 10, 14일 총 8회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의 잔류양상을 분석한 뒤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는 acetonitrile로 추출하고 dichloromethane을 사용하여 분배하였으며, SPE kit (PSA, GCB, $MgSO_4$)로 정제한 후 LC-ESI/MS/MS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정량한계(LOQ)는 0.01 mg/kg이었고, 정량한계의 10배와 50배 수준으로 농약을 처리하여 수행한 결과 emamectin benzoate의 평균 회수율은 $B_{1a}$에 대해서 각각 $93.3{\pm}0.7%$$93.2{\pm}7.7%$였고, Blb에 대해서 각각 $106.6{\pm}1.9%$$80.5{\pm}6.6%$의 회수율을 보였다.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1회 및 2회 처리구에서 각각 2.0일, 1.7일이었으며, 시험농약의 잔류량을 바탕으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을 추천한 결과 수확 10일 전에 0.84 mg/kg 이하이면, 수확 시에는 잔류농도가 MRL (0.05 mg/kg, 시금치(유사농산물 기준)) 수준 이하로 잔류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의 잔효성에 따른 담배가루이의 섭식행동 변화 (Changes of Feeding Behavior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Correlated with the Residual Effect of Emamectin benzoate and Pyridaben)

  • 권윤희;양정오;오정훈;노두진;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7-402
    • /
    • 2008
  •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잔효성과 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EPG의 파형은 non-probe time과 phloem phase time과 같은 파형을 신호개시 후 3시간 동안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EPG 파형 중 non-probe time과 phloem phase time의 두 파형과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의 두 약제 간 잔효성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효성은 두 약제 모두 2일까지는 50%로 비슷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pyridaben보다 emamectin benzoate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EPG를 이용한 두 약제의 잔효성에 따른 구침을 찌른 시간과 체관부 섭식행동은 9일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mamectin benzoate가 pyridaben보다 증가하는 속도가 빨랐다.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에 대한 살충활성과 방제효과 (Activity and control effects of insecticides to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Diptera: Agromyzidae))

  • 김길하;이영수;박선영;박용석;김정화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3종의 살충제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하고, 약제를 선발하여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알에 대해서는 spinosad가 70%의 살충률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약제들은 살충활성이 낮았다. 갓 부화한 유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 chlorpyrifos, milbemectin이 90%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유충 ($2{\sim}3$령)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chlorpyrifos가 95%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번데기에 대해서는 cartap + buprofezin이 98.6%의 놀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고, 성충에 대해서는 모든 약제가 70% 이하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알에 대해서 emamectin benzoate와 milbemectin은 각각 53.3, 47.9%로 중간정도의 엽면침투이행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들은 낮았다. 유충과 성충에 대한 침투이행효과는 시험한 6약제 모두 30% 이하이었다.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의 잔효성은 약제처리 후 10일째까지 각각 91.4, 90.4, 91.9%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4일째에도 85%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방제효과 시험에서 abamectin,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약제처리후 14일째까지 각각 96.0, 97.4, 94.5, 95.4%의 놀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Cartap과 cartap + buprofezin이 강남콩잎에 약해를 나타내었으나 그 외 약제들은 약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한 나무주사용 약제선발 (Selection of Trunk Injection Pesticides for Preventive of Pine Wilt Disease, Bursaphelenchus xylophilus o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 이상명;김동수;이상길;박남창;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7-274
    • /
    • 2009
  • 나무주사를 통한 소나무재선충병 예방 효과가 우수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 현탁액에서 소나무재선충은 1일 후에 7.3%와 8.3%의 낮은 치사율을 보였다. 그러나 잿빛곰팡이균 배지상에서 소나무재선충 증식억제 효과는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 fosthiazate 30% 액제, fenitrothion 30% 액제에서 99.7% 이상을 나타내었다. 곰솔에 대한 나무주사 실험 결과 소나무재선충인공 접종지에서는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의 경우 흉고직경 10 cm당 $10\;m{\ell}$ 주입 시 당년도 고사주율이 0%와 3.3%였으나 fosthiazate 30% 액제를 흉고직경 10 cm당 $5\;m{\ell}$ 주입 시 63.3%의 고사주율을 보였다. 2년째에도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는 90%이상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무처리구의 발병율이 낮은 소나무재선충병 자연 발생지에서 나무주사 효과는 소나무재선충을 인공접종 시킨 곳에 비하여 방제가가 낮게 나타났으나 흉고직경 10 cm당 $20\;m{\ell}$ 주입 시 나무주사 당 년도에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의 방제가는 91.5%와 82.9%로 나타났고, 2년차에도 89.5%와 82.6%의 방제가를 보였다.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를 원액으로 처리한 것과 10배 희석하여 원액처리보다 10배 많은 양을 나무주사한 경우 물량이 많은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소나무재선충 인공접종 처리지에서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는 흉고직경 10 cm당 $5\;m{\ell}$ 주입 시에도 소나무재선충병 예방효과가 100%있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에 대한 항생제 살충제의 생존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biotics Insecticides on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the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 이정은;서동규;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29-334
    • /
    • 2006
  •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4종의 항생제계통 살충제(abamectin, emamectin benzoate, spinosad=등록약제, milbemectin=미등록약제)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4약제 모두 알과 유충에 대해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번데기와 성충에 대해서는 낮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컷성충의 산란억제 효과는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spinosad에서 100%를 나타내었으며, milbemectin은 85%의 산란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섭식흔적수는 milbemectin을 제외하고는 크게 감소되었으며, 성충수명 역시 milbemectin을 제외하고 무처리의 평균 5.5일에 비하여 0.8-1.4일로 크게 단축되었다. 산란효과는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그리고 spinosad는 처리 후 7일까지 높았으나, milbemectin은 낮았다.

난총채벌레의 살충제 감수성 (Toxicity of several insecticides to Dichromothrips smithi Zimmermann(Thysanoptera : Thripidae))

  • 안기수;이기열;강효중;박성규;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4-249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22종 살충제의 난총채벌레(Dichromothrips smithi) 알, 유충, 성충에 대한 살충활성과 선발된 11약제로 침투이행성과 잔효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알에 대하여 100%의 부화억제율을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phenthoate+ethofenprox이며, 유충에 대하여 100%의 살충활성을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ethofenprox, thiamethoxam, abamectin, chlorfenapyr, emamectin benzoate, fipronil, spinosad, phenthoate+ethofenprox이고, 성충에 대하여 100%의 살충활성을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ethofenprox,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fipronil, spinosad, phenthoate+ethofenprox등이다. 약제별 침투이행성은 Phenthoate가 뿌리침투이행성이 43.3%로 가장 높았고, 다른 모든 약제들은 20%미만의 낮은 침투이행효과를 보였다. 잔효성은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ethofenprox, emamectin benzoate, fiponil, spinosad, phenthoate등이 약제처리 7일 후까지 8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Abamectin과 Emamectin benzoate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과 솔잎흑파리 밑 솔껍질깍지벌레의 동시방제 가능성 (Possibility of simultaneous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and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or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black pine (Pinus thunbergii) by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 이상명;김동수;김철수;추호렬;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3-367
    • /
    • 2008
  •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으로 등록되어 있는 아바멕틴 1.8%유제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를 이용하여 소나무에 피해를 주고 있는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와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에 대한 동시방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아바멕틴 1.8%유제는 솔잎혹파리와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하여 매우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는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해서만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시험 약제를 소나무 흉고직경 1 cm 당 $1\;m{\ell}$수준으로 수간주사하여 대상해충별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솔잎혹파리에 대해서는 아바멕틴 1.8%유제 처리구에서의 당해년도 충영형성율이 0%였다가 2년차에서는 85%의 충영형성율을 보였고,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 처리구에서는 90%이상의 충영형성율을 보여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아바멕틴 1.8%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를 솔껍질깍지벌레에 처리하였을 때는 방제가가 각 각 89.1%와 91.4%로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Insecticidal Activit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and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Using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 Lee, Dong-Hyeon;Suh, Dong Yeon;Seo, Sang-Tae;Lee, Sang-Hy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255-258
    • /
    • 2020
  • Pine wilt disease (PWD) caused by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which is transmitted by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is a serious threat to coniferous forest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ncluding Korea. The efficacy of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for preventing the PWD in the field and its effect on the vectors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were evaluated. An experimental plot was delimited, of which consist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 Korea, and trunk injection trials were made with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Branches of each tree were collected, and are subsequently subjected to the analysis of residues for both nematicides.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showed over 90% mortality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after 6 days and 8 days, respectively.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both insecticides have a higher effect on the susceptibility and persistence of two vectors of PWD, M. alternatus and M. saltuarius feeding on branches of the trees, and its application by trunk injection is confirmed as an option for pine wilt disease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지역별 장미재배지에서 채집된 꽃노랑총채벌레의 살충제 감수성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of rose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 Korea)

  • 유정수;김주일;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0-86
    • /
    • 2002
  • 시판되고 있는 40종 살충제의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성충에 대한 약제감수성을 검토한 결과 80%이상의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fenapyr, chlorpyrifos-methyl, emamectin benzoate, fenthion, fipronil, phenthoate, spinosad, chlorpyrifos+diflubenzuron, furathiocarb+diflubenzuron이었다. 이들 약제에 대해 전국 5개 지역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지역집단의 약제감수성을 실험한 결과 고양과 김해집단이 임실, 진천, 강진집단보다 전반적으로 $LC_{50}$(ppm)값이 높았다. 그러나 emamectin benzoate, fipronil, spinosad는 모든 집단에서 $LC_{50}$이 1ppm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감자뿔나방에 대한 16종 살충제의 살충활성과 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secticidal Activity and Effect on Biological Characteristic of 16 Insecticides Against Phthorimaea Operculella (Lepidoptera: Gelechiidae))

  • 안정진;박준원;김주일;김현경;구현나;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3-370
    • /
    • 2013
  • 시판중인 1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감자뿔나방(Phthorimaea operculella)의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하고, 효과가 뛰어난 약제를 선발하여 접촉 및 섭식독성과 잔효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성충에 대한 사충률과 수명 및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자뿔나방의 알과 번데기에 대해서는 spinosad만이 추천농도에서 71.1%의 부화억제율과 66.7%의 우화억제율을 나타내었다. 3령 유충에 대한 섭식독성과 접촉독성 평가에서 90% 이상의 섭식독성을 나타낸 약제는 fenitrothion ($LC_{50}$ 336.6 ppm), esfenvalerate ($LC_{50}$ 8.6 ppm), ethofenprox ($LC_{50}$ 35.7 ppm), emamectin benzoate ($LC_{50}$ 0.05 ppm)이고, 90% 이상의 접촉독성을 나타낸 약제는 esfenvalerate ($LC_{50}$ 0.87 ppm), ethofenprox ($LC_{50}$ 16.5 ppm), emamectin benzoate ($LC_{50}$ 0.53 ppm), spinosad ($LC_{50}$ 2.48 ppm)이었다. 성충에 대해서 추천농도로 살충율을 조사한 결과, 약제처리 48시간 후 deltamethrin과 spinosad가 100%, esfenvalerate, ethofenprox, thiamethoxam이 40~60%였으며, 그 외 약제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암컷성충의 산란수는 무처리의 101개에 비하여 esfenvalerate 3.0개, emamectin benzoate 6.7개, dinotefuran 8.3개로 크게 억제되었다. 성충수명은 무처리의 9.3일에 비하여 시험약제는 7.3~8.3일로 약간 짧았다. 잔효성은 emamectin benzoate가 처리 후 14일차까지도 100%의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고, ethofenprox가 7일차까지 90% 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