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19초

교사가 수업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초등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What Teachers Consider Important in Lesson Desig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Lesson Plan of Elementary Mathematics)

  • 선우진;방정숙;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5-36
    • /
    • 2021
  • 수학 수업을 잘 설계하는 능력은 좋은 수학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사들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자유기술식으로 응답하게 했고, 현직교사들에게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제공한 후 그 수업지도안의 장점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게 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들은 자신이 평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업지도안의 장점을 분석하거나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제안할 때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수업 전략 및 자료의 측면을 자세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직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학 수업 비평의 실제 (A Practice of Mathematics Lesson-Critique)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369-387
    • /
    • 2013
  •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전문가에 의한 수학 수업 비평의 실제를 제공하여 초등학교 수학수업을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지역교육청에서 우수수업으로 선정된 하나의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대상으로 하여 수업 비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수학 수업 비평의 주요 주제는 현장 교사에 의한 수학 수업 모형의 재구성, 관계적 이해의 추구, 수학적 의사소통의 활성화, 교수학적 변환 등이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수업비평을 통해 (몇십 몇)${\div}$(몇)의 계산과 관련된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이 수학교육적으로 심층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Reporting the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o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373-3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연구자 1인과 한 초등학교의 교사 4인으로 구성된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의 활동 내용과 과정을 상세하게 보고하였다. 학습공동체의 주요 활동은 학습공동체의 목표 및 내용 설정하기, 수학 수업 함께 논평하기, 학습공동체 활동 되돌아보기 등이다. 본 연구에서 학습공동체의 목표 및 내용 설정은 대학 연구자와 교사들의 합의에 의해 설정되었다. 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수학 수업을 함께 보고 논평하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수학 수업 실시에서의 난점을 논의하고 수업 아이디어를 공유하였으며, 수학 수업을 보는 안목을 넓히고 수학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의 의미로서 수학 수업의 여러 측면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 점, 수학 수업 논평을 통해 교사들 사이에 다양한 관점을 확인한 점, 수학 수업에 대해 잘 알아야 수학 수업에 대해 잘 논평할 수 있음을 알게 된 점, 의미있는 상호작용 시간을 가짐으로써 동학년 교사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된 점 등을 지적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비교 및 교사 선호도 조사 (A Comparative Study on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Research on Teachers' Preference)

  • 김판수;임미인;장혜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3-289
    • /
    • 2017
  •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초등학교 수업 장면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구성 체제가 수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사의 수업 계획은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를 토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는 수학수업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에 대한 종적, 횡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 그로부터 추출한 주요 특징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교육과정기별 수학 교과서 및 한국, 일본, 미국, 핀란드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에는 몇 가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며, 그에 기초하여 구성한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교과서 개발 시 구성 체제 측면에 있어서의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관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Viewpoints in Mathematics Lesson Critique)

  • 김남균;유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1호
    • /
    • pp.1-1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and implication for forming desirable viewpoint of mathematics lesson critique and for improvement of expertise in lesson by compare and analyze the viewpoint of mathematics lesson critiqu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For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The lesson critique materials of each 25 pre-servic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rranged, and compare and analyze the viewpoint of mathematics lesson critiqu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by using the standard for analyzing viewpoint of lesson critique composed of two categories, five main codes and 18 sub co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have tendency for criticising lesson focusing on the practice rather than plan of lesson and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howed evaluative reaction in most of critical statements and used positive ones rather than negative ones. The only pre-service teachers, though minor of them, showed non-evaluative reaction in criticising class and most of the statements were just description and explanation without any their own judgement for the scenes and activities of lessons and most of pre-service teachers have tendency to include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for their own class in lesson critique.

교원양성프로그램에서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연구 -초등수학교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방정숙;김민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5
    • /
    • 2005
  • 본 연구는 초등교원양성프로그램에 있는 예비교사들이 수학과에서의 전반적인 ICT활용 교육을 이해하고 수업설계 부분을 강화한 ICT활용 교수 학습과정안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경험을 통하여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ICT활용 교육에 관한 전문성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충북 H 대학과 서울 E 대학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필수과목인 초등수학교육방법에 관한 강좌에서 수학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의 ICT활용사례를 분석하고, 기존의 과정안에 관한 비평 능력을 키우며 체계적으로 초등수학 5학년과 6학년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나타난 ICT활용 교육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며 연구 개발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에서의 ICT활용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 PDF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Changes in Describing and Commenting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Prospective Teachers)

  • 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9-424
    • /
    • 2014
  • 예비 교사 교육은 수업 전문성의 기초를 쌓는 시기라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문은 예비 교사가 초등수학교육방법론 강의를 수강하면서 초등 수학 수업을 기술하고 비평하는 능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수업 기술 측면에서는 강의 초반보다 후반에 수업의 핵심적인 단계에 더 주목하게 되었고 학습 내용에 적합한 수업 전략의 활용 여부에 주목하게 되었다. 수업 비평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수업 전략과 수학적 담화에 대한 내용에 대해 교사를 중심으로 평가적 수준에서 대안 없이 비평하는 비중이 높았다. 다만 강의 후반에는 교사와 학생을 함께 고려하고, 수학 개념이나 이론을 적용하여 비평의 근거를 마련하며, 해석적 수준에서 비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예비 교사 교육에서 초등수학교육방법론 지도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소수 나눗셈 수업의 계획, 실행, 비평 과정에서 초등교사의 성찰과 실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flection and Practic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Process of Planning, Executing and Criticizing a Lesson on Division with Decimals)

  • 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3호
    • /
    • pp.309-327
    • /
    • 2018
  • 이 연구는 소수 나눗셈 수업을 중심으로 초등교사의 수업 성찰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초등교사가 수학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동료교사들과 자신의 수업을 비평하는 과정에서 어떤 고민을 하고 있으며 그 초점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수업을 계획하는 교사,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 동료교사와 자신의 수업을 비평하는 교사로 구분하고, 수학 목표, 과제의 실행, 수학적 표현, 수학적 담론, 질문의 설정, 개념적 이해와 절차적 능숙함, 생산적인 어려움, 학생 사고의 증거 활용 등의 8가지 측면을 따라 각 시기의 초등교사의 성찰과 실천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체제 비교 -요소, 영역, 목표, 시수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rmat: centered on elements, areas, objectives, and lesson time numbers)

  • 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23-13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08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를 요소, 영역, 목표, 시수를 중심으로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교육의 실제와 부합하지 않는 학년군제의 설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역의 이름인 '수와 연산'을 '수와 계산'으로 환원할 필요가 있다. '연산'은 초등학교 수학과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셋째, 영역의 이름으로 '규칙성'을 사용하는 것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규칙성' 영역의 대부분의 내용은 '수량관계'에 해당한다. 넷째, 영역 이름으로 '확률'을 사용하는 것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비율로 보면, 그것은 앞에서 설정한 '수량관계'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섯째, 수학과의 목표에 수학과의 성격을 포함시키는 것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수학과의 목표가 수학과의 성격을 포괄한다고 보기 어렵다. 여섯째, 초등교육에서 수학의 위상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 PDF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The Story of a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Mathematics Curriculum)

  • 김리나;신항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173-188
    • /
    • 2014
  •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교사의 수학교육과정 지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지도안, 수업 관찰, 인터뷰 등의 다양한 데이터 자료의 분석을 통해 한국 초등교사의 수학교육과정 지식이 어떻게 그들의 수학 교수 활동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 결과 한국 초등교사의 수학교육과정 지식은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하고, 학습자의 과업을 평가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육과정 지식이 수직적 수학교육과정 지식, 수평적 교육과정 지식의 두 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 국제 사례연구의 결과는 초등 수학 수업과 연관된 교사의 교육과정 지식을 이해하는데 더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한국과 미국 양국의 연구자들, 정책입안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