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교원양성프로그램에서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연구 -초등수학교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방정숙;김민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5
    • /
    • 2005
  • 본 연구는 초등교원양성프로그램에 있는 예비교사들이 수학과에서의 전반적인 ICT활용 교육을 이해하고 수업설계 부분을 강화한 ICT활용 교수 학습과정안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경험을 통하여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ICT활용 교육에 관한 전문성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충북 H 대학과 서울 E 대학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필수과목인 초등수학교육방법에 관한 강좌에서 수학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의 ICT활용사례를 분석하고, 기존의 과정안에 관한 비평 능력을 키우며 체계적으로 초등수학 5학년과 6학년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나타난 ICT활용 교육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며 연구 개발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에서의 ICT활용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 PDF

초등학생의 사칙계산 문장제 해결 보정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Survey for the Remedial Instruction on Arithmetic Word Problems Solv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봉주;문승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2호
    • /
    • pp.141-149
    • /
    • 2007
  • It is undeniably important to bring up a solution capability of arithmetic word problem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al educ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implication for remedial instruction on arithmetic word problems solving through survey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the solving of arithmetic word problems. In order to do i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y generally felt more difficulties in which field among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word problems. Second, with the result of the first analysis, it was examined that they solved it by imagining as which sphere of the other word problems. Also, the cause of their error on the word problem solving was analyzed by the interview. From the foregoing analys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remedial instruction on arithmetic word problems solving are acquired. First, the accumulation of learning deficiency must be diminished through the remedial instruction. Second, it must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given problem and to make of what the goal of problem is. Third, it must help students to form a good habit for reading the problem an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problem. forth, the teacher must help students to review and reflect their problem-solving processes.

  • PDF

초등수학에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수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in a Constructive View)

  • 최창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29-24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wo different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mathematics in the traditional method and in the constructive view. To do so, the actual class in the constructive view has been made for about four months using a class of 45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fter the class was finished, we collected diverse data from the class, such as the responses from the children(self-evaluation, mathematics diary, observation by the investigator, daily report), class evaluation report by other teacher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class reaches at the goal of learning in a unit time because the class is guided by the teacher but the class in the constructive view is a little flexible because it is contextual. Second, in the constructive process of mathematical knowledge we knew that small group activities or discussion without intervention of teacher was often ended in exhaustive argument without arriving at valid social consensus. Third, the attitude in mathematics was changed from the passive one to the self-regulated ones. Fourth, the class in the constructive view could extend not only the ability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but also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of children. Fifth, it was a considerable change the role of teacher, that is, guide of instruction instead of unique specialist in the classroom. Sixth, finally, the evaluation was made after finishing a unit class i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but it was integrated in a class in a constructive view.

  • PDF

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개선 의지의 예측과 이해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elementary teachers' intention to chan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67-28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 방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신념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들 신념과 관련된 요인들이 수업 개선 의지에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예측함으로써 교사들의 수업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데 있다. Fishbein과 Ajzen이 개발한 Theory of Planned Behavior 이론은 본 연구에서 교사들의 수업개선 의지, 신념, 태도, 주관적 규범 및 통제요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데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281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기술적 통계 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 관행의 변화는 우선적으로 수학을 학습자 중심으로 가르칠 때 예상되는 결과들의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판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 중심 수학 학습에 대한 교사 주변인들의 요구 또한 교사들의 수업 개선 의지에 약간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에 대한 통제요인 등은 수업 개선 의지를 예측하는데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through CGI and DMI

  • Lee, Kwang-H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127-141
    • /
    • 2007
  •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after experiences with the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CGI) 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Ideas (DMI) teaching strategies. This report sheds light on current issues confronted by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particular, the declining rate of mathematical literacy among adolescents is discussed. Moreover, examples of CGI and DMI teaching strategies are presented to focus on the impact of these teaching styles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eachers' belief, and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word problem solving skills. Hence, with a gradual enhancement of reformed ways of teaching mathematics in schools and the reported increase in student achievement as a resul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new teaching strategie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at emphasiz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is needed rather than the currently dominant traditional pedagogy of direct instruction with a focus on teach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 PDF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수준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Examine the Features of Evidence 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book For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 Only about Number and Operations)

  • 김병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3-37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수와 연산' 영역이 학습장애 학생과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을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제작된 분석기준을 활용하여 초등교사 3명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수준은 전반적으로 중간정도였고, 학년별로 분석해본 결과 1~4학년 수학교사용지도서의 포함수준은 중간정도 5, 6학년 수학교사용지도서의 포함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거기반 교수의 특징별로 분석해본 결과, '명확한 목표의 제시, 단일한 핵심개념 및 기술의 지도, 구체적 조작물과 반구체물의 사용, 명시적 교수, 관련된 예들의 제공, 충분한 독립적 연습기회의 제공 그리고 학생 진보의 확인'과 같은 요인들의 포함수준은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선수 수학 개념들 및 기술들의 복습, 오류 수정 및 교정적 피드백의 제공, 핵심어휘의 지도 그리고 전략들의 지도'와 같은 요인들의 포함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과 증거기반 교수특징의 포함수준 사이에 부적상관관계 (r= -.343)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 (Effect of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students' questions using question card)

  • 성창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249-26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질문 생성을 강화하기 위해 구안된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업은 학생들의 교실 문화 인식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가? 실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수학 교실 문화 인식과 수학 학습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은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학 교실 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학 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수업 전략이다.

Preservice Teachers' Changing Perceptions of Technology Infusion - The Impact of Web-bas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Lin, Cheng-Ya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9-258
    • /
    • 2006
  •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their intent to use computers and Internet resources in mathematics classrooms. Also, web-based instruction on topic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as used to foster teachers'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using instructional technology, thereby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resourc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eb-based instructions exhibited a significantly (p < 0.05) better attitude toward using computers and web-based resources in teaching mathematics than did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 PDF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놀이수학' 수업의 실행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rrying Out Mathematics Classes Using Play-Action Programs)

  • 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75-595
    • /
    • 2006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교육현장에서 '놀이수학' 강의를 실행하고, 이를 통해 예비초등교사와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놀이수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초등학교 수학수업을 준비함에 있어 새로운 동기와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교육대학교 3학년 43명의 학생들은 강의시간을 통해 조작교구와 구체물을 활용한 놀이수학활동을 직접 경험해보고, 이러한 놀이수학의 주제들이 초등학교 수학의 어떤 영역과 학년에서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놀이수학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등 예비초등교사로서 이후 수학수업에서 놀이수학을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다루고자 하였다.

  • PDF

수학수업을 위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학적 변환 고찰 (A Study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Mathematics instruction)

  • 권성룡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15-438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수학수업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과정에서 어떤 점에 주목하여 교과서 활동을 분석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수학수업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에서 예비교사가 어떤 점에 주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초등수학교과서의 활동을 분석한 후 수학수업을 위해 활동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이 필요한 한 차시를 선택하여 활동을 구안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후 협의회를 통해 다시 수정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수학수업을 위해 교과서 활동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교과서의 활동이 구체물 활동을 제공하는지의 여부, 학생의 동기를 유발하는지의 여부, 차시별 활동이 중복되는지의 여부 등에 주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수업을 위한 교과서 활동의 교수학적 변환을 위해서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목표 및 성취기준, 교사용지도서의 단원 및 차시목표 등과 같이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