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서 개별화 수업의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Level)

  • 김민정;김재원;손정우;한인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207-218
    • /
    • 2011
  •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서 학생들의 개인차,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수준별 교육, 수학적으로 능동적인 학습자의 특징 등과 같은 개념들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 영재교육에서 영재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학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로, 영재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개별화 수업 모형을 연구하였으며, 이 모형에 따른 수학 영재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별화 수업의 효과를 영재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변화, 학습 만족도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학 영재교육의 다양한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개별화 수업의 활성화에 관련된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및 초등 교사와의 인식 비교 (School Administrators' Perspective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and Comparison to Teachers' Perspectiv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4호
    • /
    • pp.329-347
    • /
    • 2016
  • 본 연구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와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관리자 32명을 대상으로 자유기술식, 등위식, 척도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결과, 자유기술식 설문에서는 구체적 조작물을 활용하는 수업, 학생들이 사고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이 좋은 수학 수업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등위식 설문에서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이, 중영역 중 교육과정 구성이 좋은 수학 수업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선택되었다. 또한 척도식 설문에서는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수학과 기본 개념 사이의 연계성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은 매우 좋은 수학 수업으로, 계산을 능숙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물리적 환경이 잘 조성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은 상대적으로 덜 좋은 수학 수업이라는 인식이 드러났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와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경향은 유사하였다. 하지만 각 요소별로 실시한 t 검정 결과 총 48개 중 20개의 요소에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과 초등 교사와의 인식 차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IMSS 2011 결과에 나타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교사 변인과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effects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ased on TIMSS 2011 results)

  • 김성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2호
    • /
    • pp.195-20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using data from TIMSS 2011.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cluded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lessons, and confidence in their mathematics ability. Teacher factors included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confidence in teaching mathematics,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and enhancing student mathematical thinking. The two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factors and student attitud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confidence about their mathematics 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 systems and mathematics educators need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curriculum, assessment, and research-based practices and knowledge to overcome the obstacles to change their mathematics classroom.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Knowledge of School Mathematics and their Views of Mathematics Learning and Instructional Practice: A Case Study of Taiwan

  • Huang, Hsin-Me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1-28
    • /
    • 2002
  •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n = 219) from northern, central, southern and eastern Taiwan concerning their views about children's learning difficulties, mathematical instruction and school mathematics curricular.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or their instruction method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views of children's learning difficulties. Even though teachers indicated that understanding of abstract mathematical concepts was the most prominent difficulty for children, they tended to employ direct instruction rather than constructive and cooperative problem solving in their teaching. However, teachers' views of children's learning difficulties did influence their instructional practice. Results from in-dept interviews revealed that there were some obstacles that prevented teachers from putting constructiveism perspectives of instruction into teaching practice.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epistemology and teaming psychology as well as to help teachers create constructive learning situations.

  • PDF

수학 교과에서의 문제 만들기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도 조사 연구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Applications about Problem-Posing in the Mathematics Instruction)

  • 허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39-564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강조한 문제 만들기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정도와 현장 적용 실태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문제 만들기 지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 193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와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 만들기에 대한 친숙도는 높으나 문제 만들기 개념에 관한 인식은 명확하지 않았다. 수업 시간과 평가에서는 문제 만들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아 그 활용도는 낮았으며 문제 만들기 지도에 관한 지도 자료와 관련 연수가 부족하여 이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과 수행평가 (The Learn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 김진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8
    • /
    • 2008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변화는 교사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이라고 본다. 이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입되면서 평가에서도 기존의 표준화 검사에서 수행평가를 강조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자 및 교육 정책가들은 현재 지금 이 시점에서 수행평가가 실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표준화 검사로 회귀하자는 주장을 한다. 본 글은 이런 주장에 대한 반박을 하기 위해서 작성 되었다. 수행 평가란 학습자 중심 수업이 진행되었을 때 가능한 평가 방법이다. 따라서, 본고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시하는 중에 실시되는 평가로서의 수행평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실태 조사 (Study on the examination of the first graders' mathematics learning 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443-46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irst graders' mathematics learning 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To do this, I examined the first graders on their mathematics learning abilities, and analyzed the test results. Although all of the evaluation factors are composed the mathematical contents which ar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m were very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s. for develop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Also first grade teachers can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basis when they plan a instruction for the first graders.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사각형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eaching Quadrilateral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김현정;강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141-159
    • /
    • 2008
  • 수학 교육에서 도형은 기하학의 기초 개념을 소개하는 중요한 개념이 된다. 교과서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수학적 지식을 변환시켜 놓은 지식의 전달 매체라고 할 때 도형의 내용 중에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사각형의 지도 내용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교수학적 원리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1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2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교수학적으로 덜 구조화되어 단순한 모양 소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3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새 수학의 영향으로 학문적 체계를 갖추어 포함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4차에서 6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학문적 체계에 따라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고, 도형의 성질 지도에 초점을 맞추었다. 7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실생활과의 연계성을 강조하였고, 학생들이 지식을 구성하는 기회의 제공을 많이 다루고 있다.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을 위해 이러한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교실 현장과 교과서의 제작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 PDF

초등 영재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수업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Gifted)

  • 김민정;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2호
    • /
    • pp.143-160
    • /
    • 2016
  • 최근 영재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많아지는 반면, 정작 각 영재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전문성의 요소나 이를 적용하여 수업을 분석한 사례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 영재 교수 학습의 요소를 탐색하고 초등 영재 교사의 수학 수업을 상세히 분석한 사례를 제공한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교수 학습의 특징 외에도 수학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 환경 조성, 수학 심화학습 위주의 과제 제시 및 확장, 고차원적인 수학적 사고 촉진, 수학적 규칙성 연결성 유용성을 강조하는 특징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초등 수학 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에 대한 실제적 담론의 기초를 형성하고, 영재 교사에게는 초등 수학 영재 수업을 바라보는 안목의 형성과 전문성 향상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Hearing Teachers' Voic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31-2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하위 48개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 교사 223명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수업, 개념에 초점을 두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공학을 사용하는 수업, 좋은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좋은 수학 수업의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