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career counseling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부모의 성취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 최보윤;공윤정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67-78
    • /
    • 2009
  • 본 연구는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 5학년 5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성취 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 과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진로발달에 어떠한 설명력을 갖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발달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발달의 하위 영역인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역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의 진로지도 하위 영역 중 정서적 지지를 제외한 영역들은 진로발 달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직업선택의 합리성, 직업적 성 편견, 자긍심에는 의미 있는 설명력을 보이지 못했지만, 진로발달 총점, 진로지향성,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부모의 진로지도는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에 부모의 성취압력과 더불어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였다. 하지만 진로지도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는 진로발달에 부적 상관을 보였다.

  • PDF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235-250
    • /
    • 201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이들 두 집단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성별,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고,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발달의 하위영역 중 학업 직업탐색 영역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를 비교해 보면 두 집단 모두 진로발달과 자아개념은 매우 높은 상관이 있는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경우 상관 정도가 약간 높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본 결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일반가정 초등학생 모두 학업적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공통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이 갖는 영향력이 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for the Decre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 우현주
    •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137-16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hat is developed by researcher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ogram can decrease the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firstly a framework for academic stress decrease programs is established and a program i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Second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applied to 6th grade students through a academic stress tes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s composed of 18 students, each. During a two month-experimental period,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sessions but not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included nicknaming, recreation activities to promote friendliness among participants and other various activities to decrease the academic stres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is effective to decre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Second, sub factor(such as perceptions of academic stress cause, symptoms of academic stress)of academic stress i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control group. Third, for some sub factor(career, friend-relationship, house-environment, behavior-symptom), an independent-sample test and a paired-sample test showed different results: the paired-sample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independent-sample tes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academic stres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student commentaries on the program is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port that the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was effective to decrease of academic stress. Second, experimental group students' commentaries shows that students could remember the WDEP, 'act' factor and acquire the solution of academic stress. Third, for a group counseling, students reported the interest about positive feedback, searching on themselves, growth of human-relationship. This means that the program developed on this study is suitable for group counseling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is effective to decre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by increasing individual internal-contr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develop and apply similar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to decrease students' academic stress. school students in other to decrease students' academic stress.

  • PDF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on Career Matu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 소연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203-220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생 443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및 진로성숙도들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변인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의 하위변인들 중 학습지도와 자녀교육지원이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 중 자기이해와 미래직업태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연구모형 적합도 검증결과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응을 완전히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 간접적인 효과 분석결과 총 효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직접적인 효과는 학교생활적응이 가장 높았으며, 간접적인 효과는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들에게 맞는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정보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발달 및 직업관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Conceptions Toward Career Development and Occupational View between Giftedness in Computer Science and Norm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이재호;최승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613-628
    • /
    • 2014
  • 초등정보과학영재학급의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진로발달과 직업관을 비교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진로교육의 방향 설정 및 지도에 있어 기초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초등정보과학영재 82명과 일반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진로발달과 직업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에 대한 의식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과학기술자를, 일반학생은 예술인을 희망하는 선택을 가장 많이 하였다. 두 집단 모두 진로에 관한 정보를 부모에게서 얻으며 교사와 상담하는 학생은 매우 드물었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이 학생들의 꿈을 변화시키는 데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으며, 일반학생은 정보과학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 둘째, 진로발달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모든 영역에서 진로발달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직업관 분석 결과 초등정보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직업관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진로발달과 직업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진로발달과 직업관은 모든 영역에서 양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발달이 높을수록 확실한 직업관을 가지며, 반대로 확실한 직업관을 가졌다면 진로발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였다. 첫째,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들을 위하여 진로 관련 학부모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에게 정보과학분야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정보과학에 대하여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정보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하여 피상적인 진로교육이 아닌 영재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미래의 직업인으로서 어떻게 공부하고 어떤 직업을 선택할지 안내할 수 있는 진로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를 위해 교사들이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관련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진로와 직업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야할 것이다.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BL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 이혜숙;김유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33-50
    • /
    • 2009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된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적성, 흥미, 성격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 다양한 직업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PBL(문제중심학습)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BL 기반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은 먼저 아동들의 발달 특성 및 요구분석을 거쳐 과제 분석을 실시하고 수행목표를 진술한 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요소인 PBL 문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각 영역별 문제해결과정 및 결과발표에 대한 평가계획 및 평가도구를 제작하고 온라인 학습공간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매 회기 40분 단위의 총 21개 회기로 구성되어 초등학교 5학년에 8주 동안 실시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진로태도와 진로태도의 하위요인(계획성, 성향, 타협성), 진로능력과 진로능력의 하위요인(직업의 이해능력, 자신의 이해능력, 의사결정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각 영역별로 제시되는 PBL 문제를 팀을 이루어 해결하고 발표하는 과정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일과 직업세계에 관한 다양하고 질이 있는 지식을 쌓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의사결정능력의 향상,모둠원간의 활발한 상고작용과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진로능력 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초등학생의 진로교육에 있어 자율적인 학습태도와 주체의식이 자신의 미래를 탐색하고 개발하고 개척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양호교사(養護敎師)의 초등학생(初等學生)에 대한 비만관리(肥滿管理) (School Nurses Obesity Manage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현옥;박재용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7-23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in obesity management through survey and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from the view of a elementary schools school-nurses and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efficient obesity manage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13 numbers of elementary school-nurses in Kyung-Sang-Pook-Do.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ail questionaries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1997. The major findings in this survey were as follows: 49.8% of the school-nurses who responded in the survey were in their 30s. The average career was 7.3years. The average service duration in their present school was 2.3 years, 55.6% of them were serving at schools which have less than ten classes total 77.2% of them were serving rural areas, 79.6% of them were serving at schools with fewer than 100 obese students. The total obesity prevalence rate was 11.4%, 13.3% were girls, 9.3% were boys. The measurement of height and weight is performed once a year for all surveyed students (91.7%), but obese students were measured as much five times (51.1%). The rate of obesity management planning was 74.1%, however the rates of evaluation and role assignment were 41. 2%, and 24.3%. 79.6% of the surveyed schools have health education classes for obesity, the rate compared (8.0 periods per year) to the whole of health education (79.1 periods per year) is 10.1%. 99.9% of the schools had counseling rooms for obesity (combined with nursing rooms) but they were used. The roote of individual counseling was 84.3%. The frequency counseling was six times a year for about 15 minutes. Obesity counseling records were kept 93.6% of the time and individual information cards were kept 98.7% of the time. The frequency of parents counseling was 42.8% and the survey shows that the main problem here was insufficient counseling facilities. The frequency of dietary guidance and exercise therapy was 84.3% and the dietary instructor was usually the school nurse at 51.7%. The frequency of obesity student exercise was 1-2 times a week and more-than-10-minutes at a time. They skip rope during the morning self-study class. The number on problem of exercise guidance at 56.2% was students' non-cooperativeness. School-nurses, 87.9%, answered that obesity management at school is necessary and 86.9% mentioned the shortage of obesity related information in present physical exercise books. From the plural responses of executing the obesity management, there are many similar problems: lack of knowledge and non-cooperation in parents at 41.9%, is predominant followed by of knowledge and non-cooperation in the children. The third problem is the lack of funds and facilities.

  • PDF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K-BFQC-SF)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Korean short version of the Big F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

  • 김복환;김지현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371-390
    • /
    • 2012
  • 본 연구는 아동의 5요인 성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Big F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BFQ-C; Barbaranelli, Caprara. Rabasca, & Pastoreli, 2003)에 기초하여 학교장면에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K-BFQC-SF)를 구성하고, 이 질문지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영문 BFQ-C 65문항을 번안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27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일부 문항의 제거 과정을 거쳐 성격 5요인의 구성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15문항의 간편형 5요인 성격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축약된 15문항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의 준거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우울, 학업성적, 진로성숙도와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5문항의 간편형 척도와 준거변인들간의 관계는 기존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보고와 성인관찰자인 교사의 평정자료가 서로 일치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는 학교장면에서 학생들의 성격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평생교육 담당자의 평생학습상담 직무 탐색 및 요구도 분석 (Exploration of Duty System and Needs Assessment in Lifelong Learning Counseling Practice)

  • 조은산;윤명희;구경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6호
    • /
    • pp.65-8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담당자의 직무 중 평생학습상담 직무에 대한 탐색을 통해 이를 체계화하고, 중요도 인식 및 실천 현황에 따른 요구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평생학습상담이 실천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평생학습상담 직무 및 과업을 탐색 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생학습상담 직무에 대한 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지의 내용타당도 및 검사도구의 양호도를 검증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 공식을 적용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평생학습상담 직무의 체계는 관계형성, 학습자 분석, 학습촉진, 사후관리의 4개 하위 직무와 학습자면담, 학습정보 제공, 학습자 특성 및 요구분석, 학습수준 진단, 학습저해요인 진단, 학습동기 촉진, 학습과정 및 학습방법 조언, 학습동아리 활동 지원, 생애커리어 설계 상담, 추수 상담, 상담 평가의 11개 과업으로 구성된다.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4개의 하위 직무 중 학습자 분석 직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11개 과업 중에서는 추수 상담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출된 평생학습상담 직무 체계와 실증적인 분석은 평생교육 담당자가 효율적인 학습상담 직무를 실천하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춘 생애설계 및 평생학습 참여를 지원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영재상담 관련 연구동향 분석 (Investigating Trends of Gifted Counseling in Domestic through Sementic Network Analysis)

  • 이상균;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5-157
    • /
    • 2018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8년 6월까지 영재상담과 관련된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국내 KCI등재지에 게재된 83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논문들을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 및 키워드 네트워크, 연결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네트워크 분석결과 영재상담과 관련된 연구는 완벽주의, 진로, 상담, 과학영재의 4가지 키워드가 연구 주제로 주요하게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2001년부터 2018년 6월까지 연도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상위 키워드는 미성취영재, 완벽주의, 과학영재, 영재부모 등으로 나타났다. 상승 키워드는 완벽주의, 이중특수아, 영재부모 등으로 나타났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키워드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재상담 연구가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