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3초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국제 학술지 연구 동향 고찰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2002~2017)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in Education Development focused on Text Network Analysis(2002~2017))

  • 김상미;김영환;조원겸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1-24
    • /
    • 2018
  • 본 연구는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글로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 관련 연구에서의 향후 방향과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개발협력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를 선정하고,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약 15년간 게재된 연구 논문 966편을 대상으로 연구 초록에 제시된 (저자) 키워드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하여 시기별, 교육영역별로 연구 주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이에 나타나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전체 논문에 나타난 연구 주제어의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교육프로그램관리, 학교수업, 지역공공행정, 교육지원서비스, 초등교육 순으로 높았으며, 빈도 순 상위 20개의 핵심주제어에 대한 네트워크 중앙성 분석 결과는 빈도수 결과와 유사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등교육, 학습, 교육연구, 교육변화, 교육의질 등의 주제어는 출현 빈도에 비해 높은 중앙성 지수를 나타내고 있어 다른 키워드들과 높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시기별 핵심 주제어 분석 결과 MDGs 전기 대비 후기와 SDGs 초기에는 새로운 키워드(초등교육, 초중등학교, 학교수업, 교육의 질, 중등교육, 교육계획)가 다양하게 나타났고, 중앙성 지수에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새로운 핵심 연구 주제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일반, 기초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으로 분류한 교육영역별 분석 결과에서는 빈도수와 중앙성이 높은 핵심 주제어가 각각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어 영역에 따른 연구 키워드가 구분되고 있다는 특징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 아젠다로서의 교육개발협력 특성을 고려하여 국제적 수준에서 약 15년간 누적된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객관적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해 연구 주제의 변화 동향을 조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실천적 노력과 더불어 교육개발협력에의 학문적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시점임을 고려할 때, 향후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개발에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초중등학교의 암석원을 둘러보고 (Researching the Rock Garde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소현숙;성종규;김민석;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5-108
    • /
    • 2018
  • 부산시교육청 동래교육지원청 관내 초등학교 60개, 중학교 34개, 고등학교 28개 등 모두 122개 학교를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16개월 동안 학교 교재원으로서의 암석원을 현장 방문으로 조사하였다. 암석원이 조성된 학교는 122개 학교 중 29.51%인 36개였으며 초등학교는 40.0%, 중등학교(중학교, 고등학교)는 18.18%가 설치되어 있었다. 조사항목은 암석원 암석표본이 교육과정과 관련되는가? 표본 이름이 맞는가? 설명판 내용이 적합한가?로 초등학교의 경우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 평균 36.7%, 표본 이름이 맞는지는 평균 55.1%, 설명판 내용이 알맞은지는 평균 55.5%로 나타났다. 중등학교는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 평균 83.9%, 표본 이름이 맞는지는 평균 82.8%, 설명판의 내용이 알맞은지는 평균 84.1%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일 도시 초·중등 학생의 보건실 이용률과 건강문제 및 보건교사의 간호수행도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and 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Nursing Performance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a City)

  • 김진희;소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80-19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등학교 학생들의 성별 및 소재지별 보건실 이용률 및 건강문제의 연도별 변화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교사가 제공하였던 간호중재수행 빈도 및 난이도를 분석함에 있다. 자료분석은 경력 3년 이상의 보건교사 59명이 응답한 조사지였다. 분석결과, 연도별 재적 총학생수는 매년 감소한 반면에 보건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보건실 이용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00% 정도 상위를 보였다. 초등학교 도심지역 여학생들의 보건실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중등학교 도심지역 남학생들이 가장 낮았다. 남학생은 피부 피하계, 근골격계, 소화기계 건강문제 순으로, 여학생은 피부 피하계, 소화기계, 근골격계 건강문제 순으로 이용률을 보였다. 도심지역이 변두리 농촌형보다특정 건강문제에서 보건실 이용률이 높았다. 간호중재수행은 자기건강관리교육과 상담 영역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해, 발작, 순환기계 건강문제에서 난이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보건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여 보건교사의 업무는 가중되었으며, 특별하고 위급한 건강문제를 보건실에서 전문적이고 효과적으로 응급처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질 있는 보건교사의 인력확충과 표준화된 업무지침이 요청되며 나아가 전문가적 역량을 강화하는 보수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초.중등학교 과학교과서(생물영역)의 식물 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Plant Classification System as Described in the Science Textbook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여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35-641
    • /
    • 1998
  • 초 중등학교의 과학(생물 영역)교과서의 분류 체계를 조사 검토하여 학교 급간별 인지 발달 수준에 맞는 식물 분류 개념 및 체계의 위계성 및 계열성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의 슬기로운 생활과 자연 교과서의 교과 내용은 생물을 식물계와 동물계로 구분하고, 식물을 크기와 사는 장소로 구분하여 학습 내용을 전개하였다. 학생들의 식물 개념은 꽃 위주로 형성되어 있어 꽃이 피는 식물과 꽃이 안 피는 식물로 분류하여 학습 내용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2. 중학교 과정은 생물계를 식물계와 동물계의 2계로, 고등학교에서는 식물계, 동물계와 원생생물계의 3계로 구분하나 원핵생물계, 균계, 원생생물계, 식물계, 동물계의 5계로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중등학교의 분류의 개념은 종의 특징을 기술한 각론 위주로 구성되나 전반적인 특징, 분류 기준, 분류방법등 총론 위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에서는 조류(algae)에 편중되어 있으나 고등식물인 종자식물 위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ing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Kim, Choungb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69-75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당면하며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이 일상생활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나,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정보보안에 관련된 내용은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며, 급변하는 보안위협에 대한 내용과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비중이 낮으며, 변화에 많이 뒤쳐져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초등학교 실과 및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정보보안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 수록하고, 사물인터넷 시대, 비대면 수업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급변하는 보안위협을 대응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PC보안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를 수록하며, 사례 중심형 정보 윤리교육을 구성하여 해킹에 대한 호기심을 근절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본 논문을 통해 정보화 시대에서 기본적인 보안 대책을 스스로 세우고 보안 인식을 강화하여 정보보안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초·중등 SW 교육 현황 및 추이 분석 : 교육정보화 실태조사(2014-2016)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tatus and Trend in Software Education : Focused on Educational Technology Survey(2014 - 2016))

  • 윤일규;김한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1-8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매년 우리나라의 전체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조사되고 있는 '교육정보화 실태조사'의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국내 SW 교육 준비 현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정보화 실태조사 지표인 인적, 물적, 활용 지표 중 SW 교육과 관련된 지표를 추출하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개년 간의 국내 교육정보화 수준의 추이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교과를 담당하는 전체적인 교사 수는 3개년 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중학교의 정보 교과 담당교사 중 정보 컴퓨터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 비율은 2014년(71%)부터 2016년(54%)까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타교과로 이동하는 정보 컴퓨터 전공 교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예산 및 인프라와 관련한 추이 분석 결과, 2014년부터 초 중등 학교운영비 대비 교육정보화 예산의 총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의 정보(컴퓨터) 관련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비율은 2015년 87.7%, 2016년 84.6%로 낮아졌으며, 중학교의 정보(컴퓨터) 교과 교육 운영 학교 비율 또한 2014년 34.8%, 2015년 30.8%, 2016년 28.2%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 중등 공교육 현장에 SW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초.중등학교 교육관리자의 교육 보건교육에 관한 조사연구 - 태도와 실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chool administrators' Attitudes toward Schoo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박영수;서용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40
    • /
    • 1992
  • The study is designed to grasp school adminstrators' attitudes toward school health education and practices of school health education and to analys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school administators and their attitudes to school health education and between their attitudes and practices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o that it may offer th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school health education.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740 school administrators all over the country, who have attended Certification Training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incipal opened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July, 1, 1991 to August 9, 1991.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chool administrators' attitudes toward school health education 1) As for view of health education, those who believed that health is the means of education was 36.2%. 2) In methods of school health, those who want regular health education was 75% ; irregular health education 25%. 3) As for attitudes of those chose irregular health education as teaching methods : (1) In teaching hours, the morning and afternoon class meetings was highest 50.8% of whole. (2) In teaching staffs, home room teacher was 51.9% ; school nurse 34.8%. (3) In frequency of irregular health education, 1-2 times a week was 38%, 1-2 times a month 32.6%, 1-2 times a semester 11.8%. (4) As for teaching methods of irregular health education, practice through the health function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other methods 4) As for attitudes of those chose regular health education as teaching methods : (1) Most of respondents had opinion that regular health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both elemetary and secondary schools. (2) Opinion that school nurse should be in charge of regular health education was a little higher than other ones. (3) More than a half of the whole thought that 1-2 hours a month was suitable for carrying out regular health education. (4) Therr-fourth of those who wanted regular health education chose the using of audiovisual material as a teching method. (5) Curriculum recommended first by respondents for the school health education were personal habits and health, prevention and control of disease, mental and emotional health etc. (6) As for impediment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education, it was shown as following order : the lack of professional health education instructors, the lack of budget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e lack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instruments etc.

  • PDF

초.중등 과학 교과서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 글의 언어 구조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Texts used in the unit of Volcano and Earthquake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신명환;맹승호;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5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글의 구조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과학 교과서 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로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의 글을 선정하였으며, '텍스트 구성적 의미', '상호 관계적 의미', '내용과 논리 관계 의미'의 측면에서 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과서의 글은 학교급에 따라 글의 구조를 비롯한 언어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며,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이러한 글의 구조적 특징 차이에 의해서도 과학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생소하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또한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과학의 언어가 지니는 구조적 특징에 대한 과학 교사의 중재자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 설계를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Class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윤혜진;조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2-184
    • /
    • 2022
  •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인공지능(AI)이 강조됨에 따라, 교과 활동에 AI를 접목한 수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학교에서의 AI 수업은 관련 교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교수자는 융합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먼저 융합교육의 의미와 효과적인 수업 활동을 위해 검토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초·중등학교에서의 AI 수업 설계를 위해 고려할 사항에 대해 학교에서의 AI 교육의 특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학교급별 교육목표, 수업 내용 구성을 위해 참고할 자료, AI가 적용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점, 예상 수업 절차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제언으로서 첫째, 초·중등학교 교육의 특징에 기반하여 AI 교육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역량 도출의 필요성과 둘째, 학교에서의 AI 교육의 기존 사례 탐구를 바탕으로 교과 특성을 반영한 AI 수업의 교수·학습 설계 요소 및 절차 규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 급식시설의 이용특성 분석연구 - 2009년 이후 개교한 경인지역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Space Usage Characteristics - Focus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2009 -)

  • 서붕교;김수연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18
    • /
    • 2017
  • Mos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provide school meals to studen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ual in the development of foodservice facilities within schoo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had been instituted towards the improvement on the design of the school.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use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putting the designer's design to the users into effec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have been observed in the study to conclude the following research: Spatial Configuration and Usage Characteristics with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