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ic adsorptio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4초

특허 및 논문 분석을 통한 축전식 탈염(CDI) 기술 연구 (The Study of Capacitive Deionization Technology by the Analysis of Patents and Papers)

  • 손원근;김태일;한혜정;강경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6호
    • /
    • pp.697-703
    • /
    • 2011
  • 축전식 탈염(CDI)은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전극에 전기화학적 원리로 이온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기술이다. CDI 기술은 낮은 전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작고, 전극을 재생할 때 산, 염기 혹은 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CDI 기술의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특허와 논문을 조사했다. 데이터베이스는 WIPS와 Scopus를 사용하여 얻었으며 전극기술, 모듈기술 및 응용기술에 따라 조사되었다. CDI의 기술 동향은 연도별, 국가별, 출원인별, 기술별로 조사되었다.

지방산 LB초박막의 수평방향에 대한 유기가스 반응특성 (Organic Gas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Horizontal Direction of Fatty Acid LB Ultra-thin Films)

  • 이준호;최용성;김도균;권영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8권5호
    • /
    • pp.379-384
    • /
    • 1999
  • Langmuir-Blodgett(LB) films which have high ordered orientation and ordering structure are fabricated by LB method which deposit the ultra-thin films of organic materials at a molecular level.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tearic acid LB ultra-thin films for the horizontal direction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the gas sensor using LB ultra-thin films. The optimal deposition condition to deposit the LB ultra-thin films was obtained from $\pi-A$ isotherms and the deposition status of stearic acid LB ultra-thin films was verified by the measurement of deposition ratio, UV-absorbance, and electrical properties for LB ultra-thin films. The conductivity of stearic acid LB ultra-thin films for horizontal direction was about $10_{-8}[S/cm]$. The activation energy for LB ultra-thin films with respect to variation of temperature was about 1.0[eV], which was correspond to semiconductor material.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organic gas were confirmed by measuring the response time, recovery time, and reproducibility of the LB ultra-thin to each organic gas. Also, the penetration and adsorption behavior of gas molecule were confirmed through the organic gas response characteristics of LB ultra-thin films with respect to temperature.

  • PDF

불포화토의 동전기 정화 특성 I : 실험적 연구 (Characteristics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Unsaturated Soil I : Experimental Study)

  • 김병일;한상재;김수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C호
    • /
    • pp.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불포화토에 대한 동전기 정화 기법 적용시 발생되는 동전기 현상과 정화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격장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포화도에 따른 일련의 동전기 정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불포화토에서의 납은 주로 확산이중층 내부에서의 직접적인 전기이온이동에 의해 제거되었고, 만약 1V/cm의 전압경사에서 초기 오염농도가 양이온교환능 이하이고 단위토립자당 흡착량이 동일하다면 포화도 증가에 따른 납의 이동효율의 감소로 인하여 제거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파에 의한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물질, ZIF-8의 합성 (Microwave-Syntheses 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Material, ZIF-8)

  • 박정화;박선혜;정성화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53-559
    • /
    • 2009
  • Metal organic frameworks (MOF)과 유사하게 금속과 유기물로 이루어진 골격 물질 중 제올라이 트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ZIF)를 처음으로 마이크로파(MW)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ZIF 중 잘 알려진 ZIF-8을 전통적인 전기 가열(CE)과 마이크로파 조사로 합성하였으며 ZIF-8은 $140{\sim}180^{\circ}C}$의 범위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었다. MW 합성에 의해 ZIF-8을 신속 하게 합성할 수 있었으며 결정 크기는 전통적인 합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140{^{\circ}C}$에서의 합성 결과 전통 적인 합성에 비해 MW에 의해 약 5배의 반응 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4시간 이내에 합성 반응이 종료됨을 알 수 있었다. MW로 얻어진 ZIF-8은 CE에 의한 ZIF-8에 비해 증가된 표면적과 세공부피를 가 졌다. 얻어진 모든 ZIF-8은 질소 흡착 실험 결과 type-I 흡착 등온선을 보였고 미세 세공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FTIR 및 TGA 결과 두 방법으로 얻어진 ZIF-8은 서로 유사한 결합 및 열적 특성을 보였다.

TiO2/UV 산화기술을 이용한 염색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Dyeing Wastewater Using TiO2/UV)

  • 김종규;정호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2-400
    • /
    • 2004
  • This research uses the $TiO_2$/UV process to verify the most suitable condition and possibility to dispose dyeing wastewater that contains pigment and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For this, this research has enforced experiments that compare photo adsorption, photolysis, and photo catalyst oxidation reaction, and also evaluated and analyzed the change of pH and $TiO_2$ dosage, irradiation rates of ultraviolet rays and the dosage change and injection method of $H_2O_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yeing wastewater experiment of storehouse catalyst that uses the new form of $TiO_2$, the photo catalyst oxidation reaction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photo adsorption and photolysis; 35%, 21% in the case of $TCOD_{cr}$ and 39%, 28% in the case of chromaticit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action time, amount of photo catalyst reaction and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 ray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pH change proved to be most effective at pH 4. On the whole, the acidity area proved to be effective in dyeing water exclusion than neutral and alkalinity areas. Having evaluated the influence of $TiO_2$ dosage, not only doe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continuously improve as the $TiO_2$ dosage increases but the shielding effect does not occur also when the $TiO_2$ is at a fixed state. The influence of ultraviolet irradiation amount concluded in the result that as the ultraviolet irradiation amount increase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continually increased, but in the case of chromaticity when the irradiation amount was higher than 37.8mW/cm2 the removal efficiency is slowed remarkably. The influence of $H_2O_2$ dosage evaluation reached the results that although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H_2O_2$ dosage, when above 150mg (total dosage: 1200mg) $H_2O_2$ consumes OH radical itself and reduce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Also in the case of the $H_2O_2$ injection method rather than injecting in the whole amount of $H_2O_2$ (1200mg) needed at the beginning all at once, injecting divided quantities of $H_2O_2$ whenever the electric current density falls below 10mgfl reduces the wases of OH radical due to an excess of $H_2O_2$ and in tum heighten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다른 pH의 전해질에서 polyvinylidene chloride-resin와 polyvinylidene fluoride로부터 합성된 다공성 탄소의 전하 저장 거동 (Charge Storage Behavior of the Carbons Derived from Polyvinylidene Chloride-resin and Polyvinylidene Fluoride in Different pH Electrolytes)

  • 전상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6호
    • /
    • pp.394-401
    • /
    • 2022
  • Polyvinylidene chloride-resin(PVDC-resin)와 polyvinylidene fluoride(PVDF)의 두 폴리머 전구체는 열분해 과정을 통해 마이크로 다공성 탄소로 변환되어 되므로 이온 흡/탈착으로 전하를 저장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재료로 유리하다. 더욱이, 두 전구체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이종원소들은 탄화 후 작용기를 형성하여 추가적인 전하저장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탄화 시 생성되는 작용기에 대한 분석은 에너지 저장용 탄소소재를 개발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 폴리머 전구체를 탄화시킨 후 생성된 작용기를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과 다양한 pH의 전해질에서 탄소 전극의 전기화학 거동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산성(1 M H2SO4) 전해질에서 측정된 두 탄소 전극의 비전기용량은 생성된 quinone 작용기의 패러데익 충/방전 반응 덕분에 중성 전해질(0.5 M Na2SO4)에서보다 증가하였다. 특히, PVDC-resin으로부터 합성된 탄소는 매우 작은 마이크로 기공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 전해질 이온의 흡착을 어렵게 하므로, PVDF로부터 합성된 탄소 전극에 비해 낮은 용량을 보인다. 염기성 전해질(6 M KOH)에서 두 탄소 전극 모두 3가지 전해질 중 가장 높은 비전기용량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구성하는 전해질 이온들(K+, OH-)이 두 탄소에 형성된 마이크로 기공으로 흡/탈착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동시에 패러데익 충/방전 반응으로 추가적인 전하가 저장되었기 때문이다.

이온교환막을 결합한 축전식 탈염 시스템을 이용한 염수의 탈염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by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Combined with Ion-exchange Membrane)

  • 김유진;최재환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87-92
    • /
    • 2010
  • 탄소전극으로만 구성된 단위 셀(CDI)과 음극 표면에 양이온교환막을 결합한 단위 셀(MCDI)을 제작하여 탈염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탈염속도와 탈염량은 셀 전위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탄소전극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MCDI 셀이 CDI 셀보다 높은 탈염효율을 보였다. 셀 전위를 0.8~1.2 V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흡착량은 셀 전위에 따라 MCDI 셀이 CDI 셀보다 33.1~135%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류효율에서도 MCDI 셀은 80% 정도를 나타낸 반면 CDI 셀은 40% 이하의 전류효율을 나타내었다. MCDI 셀에서 탈염효율이 높은 원인은 흡착 및 탈착전위가 인가되었을 때 전극 표면의 전기이중층과 bulk 용액 사이에서 이온들이 선택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중간세공을 갖는 껍질로 구성된 속이 빈 마이크로 탄소입자의 합성 및 이들의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of Hollow Carbon Microspheres with Mesoporous Shell and Vacant Core Structure and Their Electrochemical Properties)

  • 이예원;양희천;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27권4호
    • /
    • pp.449-4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구형의 폴리스티렌 구슬을 틀로 사용하여, 크기분포가 좁으면서 속은 비어있고 벽이 다공성인 구조의 탄소 마이크로 캡슐을 합성하였다. 폴리스티렌의 표면은 무기물인 실리카졸이 쉽게 입혀질 수 있도록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코팅하여 변조하였다. PVP가 코팅된 PS 마이크로 입자표면에 SBA-16 졸을 부착시킨 다음, 실리카층에 존재하는 중간 크기의 세공 내에 탄소원을 채워 넣는 음각식 형뜨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속이 빈 구조의 탄소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탄화과정을 거치고 틀로 사용한 다공성 실리카입자를 HF로 용해하면, 좁은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중간세공이 함유된 계란껍질형의 탄소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계란껍질형 탄소 마이크로캡슐 입자의 다공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은 XRD, SEM, TEM, 질소분자 흡/탈착분석법 및 cyclic voltammetry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탄소입자는 슈퍼캐패시터와 같은 전자재료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만한 높은 전기전도도와 용량을 나타내었다.

실차 실험을 통한 승용 디젤엔진의 Urea-SCR을 위한 암모니아 흡장률 피드백 제어 분사전략 검증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Adsorption Rate Feedback Control Strategy for Automotive Urea-SCR DeNOX System)

  • 신병욱;박주영;이성욱;강연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6호
    • /
    • pp.397-40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연비손실 없이 높은 $NO_X$ 저감성능을 보이는 승용 디젤 엔진의 SCR 시스템을 위한 요소수의 분사전략을 제시하였다. 배출되는 $NO_X$량 대비 요소수가 화학량론적 1:1인 피드포워드 분사 전략과 함께 모델기반의 촉매 내 $NH_3$ 흡장률 추정 기법을 통하여 피드백 분사 제어전략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과도상태에서 $NO_X$ 저감성능과 $NH_3$ 슬립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고자 하였다. 제안된 분사전략을 적용하여 디젤산화촉매기와, 미립자필터가 장착된 2.2L 디젤 엔진을 갖춘 실제 차량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제어기의 높은 $NO_X$ 저감률과 낮은 $NH_3$ 슬립 성능을 검증하였다.

3가크롬 이온의 전착 반응에 용액 산도 및 유기물 첨가제가 미치는 영향 연구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olution Acidity and Organic Additives on the Electrodeposi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 이주열;;강대근;김만;권식철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297-303
    • /
    • 2010
  • The effect of solution acidity and organic additives, polyethylene glycol (PEG), on the trivalent chromium electroplating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the view point of electroreduc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and solution stability. It was found that solution acidity controlled at pH 2.5 showed the widest current range for bright electrodeposits in the presence of PEG additives, which reduced the local current intensification at high current densities. Through complex interaction between PEG additives and hydrogen ion, that is, solution acidity, electrode potential was moved in the negative direction in the bulk solution, while it shifted in the positive when electric potential was scanned. In conjunction with electrochemical quartz crystal microbalance (EQCM), it was found that PEG additives had a role in promoting the electron transfer to trivalent chromium ion complexes in bulk solution and their adsorption at the electrode surface as well as interfering with hydrogen ion reduction process below pH 2.5. The PEG additives developed the nodular morphology during electroreduc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with the increase of solution acidity and enhanced its current efficiency by maintaining the consumption of complexant, formic acid, at low sp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