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person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3초

Using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o extract daily activity routin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Lee, Bogyeong;Lee, Hyun-Soo;Park, Moonseo;Ahn, Changbum Ryan;Choi, Nakjung;Kim, Toseung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4권2호
    • /
    • pp.73-90
    • /
    • 2019
  • The growth in the number of single-member households is a critical issue worldwide, especially among the elderly. For those living alone, who may be unaware of their health status or routines that could improve their health, a continu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could provide valuable feedback. Assessing the performance adequac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can serve as a measure of an individual's health status;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determining a person's daily activities and extracting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behavioral patterns using camera recordings or wearable sensing techniques. However, existing methods used to extract common patterns of an occupant's activities in the home fail to address the spatio-temporal dimensions of human activities simultaneously. Though multiple sequence alignment (MSA) offers some advantages - such as inherent containment of the spatio-temporal data in sequence format, and rapid identification of hidden patterns - MSA has rarely been used to extract in-home ADL routines.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to extract a household occupant's ADL routines from a cumulative spatio-temporal data log of occupancy collected using a non-intrusive method (i.e., a tomographic motion detection system). The findings from an occupant's 28-day spatio-temporal activity log demonstrate the capacity of the proposed approach to identify routine patterns of an occupant's daily activities and to reveal the order, duration, and frequency of routine activities. Routine ADL patterns identified from the proposed approach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detecting/evaluating abrupt or gradual changes of an occupant's ADL patterns that result from a physical or mental disorder, and can offer valuable information for home automation applications by enabling the prediction of ADL patterns.

실시간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Care System Using Real-time Object Tracking Technology)

  • 김혜정;강민구;이혜규;고동범;김정준;박정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43-250
    • /
    • 2018
  • 본 논문은 독거노인을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최근 의학, 생활수준, 환경의 급속한 개선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증가하는 독거노인 비율은 노인 케어 시스템, 응급 상황 알림과 같은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기존의 응급상황알림을 위한 기술들은 고정된 CCTV 영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CCTV 사각지대에서의 모니터링에 대한 어려움과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로 이동하는 등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활동을 할 경우 실시간으로 케어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로봇과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응급상황시 빠르게 도움을 요청해 보호자 및 도우미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노인의 낙상두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r of Fall and Fall Efficacy in the Elderly)

  • 현일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을 조사하여, 낙상두려움 요인을 규명하고, 낙상두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140명이었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동거인, 주관적 건강상태, 통증, 불안전한 걸음걸이에서 낙상두려움의 차이가 있었다. 낙상두려움과 낙상태도(r=-.396, p<.001), 낙상두려움과 낙상효능감(r=-.184, p=.030)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낙상태도와 낙상효능감(r=.411, <,001)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낙상두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낙상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Development of A Uniform And Casual Clothing Recognition System For Patient Care In Nursing Hospitals

  • Yun, Ye-Chan;Kwak, Young-T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45-5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인안전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즉, 위험지역으로 접근하는 인물이 노인(환자복) 그룹인지 실무자(평상복) 그룹인지를 CCTV에 나타나는 의복을 기준으로 구별하는 것이다. Web Crawling기법과 요양병원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Image Generator와 Labeling으로 모델 학습 데이터를 만들었다. CCTV의 제한된 성능 때문에 높은 정확도와 속도를 모두 갖춘 모델을 만드는 것은 어려웠다. 그러므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ResNet 모델, 속도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YOLO3 모델을 각각 구현했다. 그리고 요양병원이 자신의 실정에 맞는 모델을 고를 수 있게 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환자복과 평상복을 적절한 정확도로 구별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실제 사용처에서 노인들이 위험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요양병원 안전사고 감소에 이바지 할 것으로 평가된다.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이용한 무료노인요양시설 수용노인의 돌봄필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Caring Demand for Extended Care Facilities by Activities of Daily Living)

  • 김철웅;문옥륜;이상이;유재원;이상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564-578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 배치현황을 검토하고, 노인요양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노인들의 건강상태와 돌봄 필요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건강상태와 돌봄필요도에 따라 필요한 돌봄인력의 추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2개 요양시설과 서울 2개 요양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187명의 노인에 대하여 직접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159 명에 대하여 면접이 이루어져 85%의 조사율을 보였다. 각 시설의 시설장 및 총무를 대상으로 시설인력현황을 조사표를 통하여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강원도와 서울 일부 요양원에 입소하고 있는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본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 6명이 노인들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돌봄 소요시간의 경우, 입소노인의 돌봄을 담당하는 간호(조무)사 및 생활보조원을 대상으로 조사표를 통하여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 4개 요양시설 모두 노인복지시설의 인력기준에 미달하고 있다. 2. 노인의 건강평가도구 중 ADL이 노인의 총 돌봄 필요시간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고, 다중 회귀분석의 결과, 돌봄 소요시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는 단지 일상생활 수행능력 하나였고, 일상생활 수행능력 점수가 클수록, 즉 노인의 의존도가 클수록 돌봄 소요시간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3. 개별 입소노인의 ADL 총 점수를 네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그룹별 평균 돌봄 소요시간은 I군에서 IV군이 각각 하루에 15.3분, 21.1분, 36.7분, 88.8분의 돌봄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4. 노인요양시설별로 ADL 그룹별 환자의 분포를 보면, 전체적으로 II군에 속하는 노인은 40.0%로 가장 많았으며, I군, III군, IV군의 순을 보여주고 있다. 시설별로 ADL 그룹별 환자의 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5. 모든 요양시설의 간호사와 보조원 수는 입소노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추정한 적정인력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법정기준에 의한 간호사와 보조원수는 노인의 돌봄필요도를 반영하여 추정한 수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본 연구의 조사대상 요양시설과 비슷한 건강분포를 보이는 노인요양시설의 경우에는 법정기준에 부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인복지사업지침에 근거한 예산지원기준을 적용시킬 때는 모든 요양시설에서 적정인력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무료노인요양시설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복지 시설 종사자에 대한 처우 개선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으로, 급여수준을 상향조정하여야 할 것이다. 7. 노인들의 요양필요도를 실제적으로 파악함에 있어 ADL을 이용한 건강지표가 장기적으로는 노인요양 시설의 단순 입소판정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허혈성 심장질환과 심정지 알람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1인 가구원의 질적 연구: 30대 미혼 직장인을 중심으로 (Qualitative research of single-person household for a wearable healthcare system providing ischemic heart disease information and a cardiac arrest alarm: Focusing on unmarried workers in their 30s)

  • 김효진;채하은;이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5-25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허혈성 심장질환 및 심정지 알람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1인 가구원의 생각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30대 미혼 직장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은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이 하이테크놀로지로 구현된다 할지라도 상품기획 단계에서 심미성, 편안함, 세탁 용이성 등 의복에 요구되는 사항과 가격과 같은 민감한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복합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양적연구로는 규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는 것에 연구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에 노인 새대를 대상으로 한 헬스케어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30대와 같은 젊은 세대도 헬스케어 서비스 수용자로서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 김수현;이은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5-20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evel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its influence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Daegu, Kyungpook and Susan province. A total of 103 older adults aged 65 yr or older were interviewed in person between July 1 to August 30, 2007. Results: A high proportion of older adults were unable to read and understand written basic medical instructions. Only 40-50% were able to comprehend directions for taking medication four times a day or on an empty stomach. Only 11-38% were able to understand information regarding treatment procedure, informed consent, or educational material for elderly fall prevention. Individuals who were older, single, and had less education and income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functional health literacy.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dividuals with lower health literacy had poorly perceived health status. Conclusion: Many Korean older adults have a very low level of fuctional literacy. Low health literacy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oorly perceived health status.

Impacts of Social Media (Facebook) on Huma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A View on Behavioral Change and Social Unity

  • Joo, Tang-Mui;Teng, Chan-E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7-50
    • /
    • 2017
  • The impact of social networking is varied from good to bad. Online activities have also been categorized into pros and cons of social networking, either as reported as hiding Internet activities among teenagers or killing loneliness among elderly. In terms of relationships, there have been argument over its closeness and quality of an online relationship in Internet settings. Looking at the contradiction in an innovative interaction between classic community communication and social media, there is an unknown scent of the future struggling and challenging both huma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in the presence of digital culture. This research uses Diffusion of Innovation to study the wide and continuous spread of digital culture in human communication; and, Media Dependency in learning and structur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effects of social media on each person uses the media in different ways. This research will be using online survey to gain opinions from a social network site as an update of views and reflection of self-awareness to all levels of people. Social media like Facebook (FB) is perceived as a good tool of communication that it is able to bring closeness among the family member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media like FB brings positive impact towards family members; it would help to build a better and harmonic society; and,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and communication shall be improved and enhanced to the level of a united society.

DEVS 기반의 GPS 위치추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S Based Development that GPS Location Tracking System)

  • 서희석;주승환;이은정;이승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8
    • /
    • 2010
  • Recently, the missing due to the heinous crimes occurred in succession has been the focus of attention, so measures for these are urgently needed. So, it is necessary that we need to check and take care the weak like children, women,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insane person to prevent these social problems. This study is location-based service that suggests the tracking system and way to guard a family and property from the various risk factors which are possible in our life. To acquire the location of the user who is in motion, a communications network technologies were integrated and the system will be able to be monitoring in real time through the website. So, it is convenient and safe because it is possible to use anywhere. Concretely, it was described around location-based service, GPS system, tracking system, process of the service solution and composition for the system. Also, the way to activate the system will be suggested. The final suggested system was verified the possibility through the placement. With this, i will offer effective measures which is more convenient to use and reliable.

노화된 안검에서 상안검 교정술 시 안와 격막 접근법 (Septal Approach on Upper Blepharoplasty in Elderly Person)

  • 오의선;윤인식;박병윤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659-666
    • /
    • 2010
  • Purpose: Blepharoplasty plays a vital role in facial rejuvenation. Aging eyelids are the result of relaxation of lid structures as the skin, the orbicularis muscle, and mainly the septum, with subsequent protrusion or pseudoherniation of intraorbital fat contents. Traditional blepharoplasty has often involved the excision of excessive lax skin and muscle and removal of fat, leaving the eyelid unnatural and even causing the brow ptosis. The authors propose the septal approach through which the amount of skin excision can be decreased and solid fixation can be achieved in the upper blepharoplasty. Methods: From November 2007 to February 2010, total of 15 patients underwent upper blepharoplasty with septal approach. In 9 patients, orbital septum anchored into the orbital periosteum only. But in 6 patients, the attenuated septum was strengthened through shortening and fixing into orbital periosteum with non-absorbable suture. Results: Pleas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most of the patients. But one patient who had septum anchoring procedure complained of slight undercorrection, therefore secondary operation with septum shortening procedure was followed.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method using orbital septum fixation into orbital periosteum has several advantages: less amount of skin excision, less recurrence rate, and more natural appearance. And the results were reliable and satis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