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patient

검색결과 674건 처리시간 0.024초

계획에 없던 중환자실 재입실 실태 및 원인 (Unplanned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same Hospitalization at a Teaching Hospital)

  • 송동현;이순교;김철규;최동주;이상일;박수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8-41
    • /
    • 2003
  • Background : Because unplanned readmissions to intensive care unit(ICU)might be related with undesirable patient outcomes, we investigated the pattern of and reason for unplanned ICU readmission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reducing unplanned returns to ICU. Methods : The subjects included all patients who readmitted to ICU during the same hospitalization at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between January 1st and June 30th 2002. Quality improvement(QI) nurse collected the data through medical records and a medical director reviewed the data collected. Results : 1) The average unplanned ICU readmission rate was 5.6%(gastroenterology 14.6%, pediatrics 12.7%, pulmonology 11.9%, neurosurgery 6.3%, general surgery 5.3%, chest surgery 3.9%, and cardiology 3.3%). 2) Among the unplanned readmissions, more than 50% of cases were from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and the main categories of diagnose at hospital admission were neurologic disease(29.9%) and cardiovascular disease(27.6%). 3) Of unplanned ICU readmissions, 41.8% had recurrence of the initial problems, 44.8% had occurrence of new problems. And 9.7% required post-operative care after unplanned operations. 4) The most common cause responsible for unplanned ICU readmission were respiratory problem(38.3%) and cardiovascular problem(14.3%). 5) About 40% of unplanned ICU readmission occurred within 3 days after ICU discharge. 6) Average length of stay of the readmitted patients to ICUs were much longer than that of non-readmitted patients. 7) Hospital mortality rate was much higher for unplanned ICU readmitted patients(23.6%) than for non-readmitted patients(1.5%) (P<0.001).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the unplanned ICU readmitted patients had poor outcomes(high morality and increased length of stay). In addition study results suggest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atients in ICU with poor respiratory function or elderly patients, and careful clinical decisions are required at discharged from ICU to general ward.

  • PDF

뇌졸중 환자의 운전재활 시기 결정을 위한 K-MBI의 임상적 유용성: 예비 연구 (Clinical Usefulness on K-MBI for Decision of Driving Rehabilitation Period in Patients with Stroke: A pilot study)

  • 박명옥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1-98
    • /
    • 2017
  • 연구배경 및 목적: 수정된 바델지수(MBI)는 지역사회 재활세팅 및 재활 병원에서 흔히 사용되어지는 기본적인 일상생활 평가 도구이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노인 혹은 뇌졸중 환자들의 운전 능력과 일상생활활동의 수준은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음을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운전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상생활 활동 기본 평가인 수정된 바델지수의 유용성을 밝힌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수정된 바델 지수(K-MBI)룰 활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운전 가능성을 알아봄으로서 운전 수행 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한국형 수정된 바델 지수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 소재 재활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4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에게 K-MBI 검사를 통해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 수준을 측정하였고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전 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운전 시뮬레이터상의 운전 수행 검사의 합격/불합격에 따른 K-MBI 점수의 예측 타당도를 ROC curve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뇌졸중 이후 운전재활을 권고할 만한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 수준은 K-MBI 점수가 최소 86.5점인 경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 재활을 권고하는 시기를 예측함에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산욕부와 신생아의 가정간호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Home Health Care for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wborns)

  • 전은미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1
    • /
    • 1994
  • Present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home health care services du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as a result of an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socio-economic improvements, and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as well as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with degenerative diseases. In addition to these reasons, rising medical costs and there a shortage of patient beds space in the hospital, particularly since introduction of national medical insuranc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health care health care services.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basic data for home health care management. It focused on developing client selection criteria, assessment tools, and recording methods. This was accomplished by the researchers visiting the patients in their homes. The research process included preparation investigation, tool development, training of the project researcher, and visiting the clients in their homes. The research tools are as follows : 1. Record development : a) The selection criteria tool for home health care of postpartum women was a structured tool and consisted of four parts. b) The structured assessment tool consisted of a general items, obstetric history, past medical history, methods of feeding, medications taken before admission, laboratory test results, discharge instructions, discharge medications, family tree, economic status, environmental status, a map, health assessment of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wborns. c) The visit note I consisted of the frequency of visits. Visit note II consisted of the date ; nursing problems ; nursing process including the initial assessment ; nursing goal ; visit plan ;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onate health status, diagnosis, go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mmary, next plan, for visit revision. d) Problem note consisted of the date, problem numbers, nursing diagnosis, problem appearance date problem resolution da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1. Nursing problems : The nursing problems of the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onates were evaluated by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and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nursing diagnosis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s. a) Nursing diagnosis The nursing diagnosi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physical function, psychosocial function, family system maintained function. b) The changes of nursing diagnosis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s. As the type of nursing diagnosis changed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s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decreased. 2. Contents of home health care : The content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assessment, direct care, counseling, education, family care, reporting to with the attending doctor.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1. Tool development Replication of this study is need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s used. 2. Home visit a) Home health care nurses should be licensed and qualified. A referral form from the attending doctor is needed for legal protection of nurses. b) The first home visit need to be within 24 hours of discharge from the hospital to decrease the anxiety of frightened postpartum women. c) When the changes occur in the newborn's status, home health care nurses should consult a pediatrician. Communication within the home healthcare team is essential and needs to consistent and done smoothly. 3. Home health care A Study is required to develop protocols for education of staff and for operation of all aspects of this program.

  • PDF

의무기록 정보를 활용한 순사망환자 주호소 증상과 진단명과의 연관성에 관한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ef complaint of pure death patients using medical record information)

  • 김용하;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407-414
    • /
    • 2015
  • 이 연구는 순사망환자의 주진단에 관한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병원 의료의 질 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전광역시 소재 K 대학병원에서 2011년, 2012년, 2013년 3년 동안 사망한 환자 1992명 중 순사망한 428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카이제곱검정 및 fisher의 정확한 검정과 정준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과 주진단 상위 4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주진단 중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J18)과 살충제의 독작용(T60)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J18)에서는 자동차보험, 15-29세 사이, 건강보험, 의료급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p<0.001), 살충제의 독작용(T60)에서는 건강보험, 의료급여, 자동차보험, 45-59세, 세종충남 등의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노인인구의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응급의료전달의 체계적인 구축시켜 순사망환자를 감소시켜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균형 훈련과 체성감각을 이용한 균형훈련이 균형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improvement on balance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and somatosensory)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677-684
    • /
    • 2020
  • 본 연구는 대구 Y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대학생 15명을 무작위로 선발하였다. 실험 군은 총 3군으로 실험 전 각 실험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을 측정한 후,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균형운동으로 닌텐도 Wii(Nintendo -RVL-001(KOR)를 사용한 집단, 시각과 토구를 이용한 균형운동 집단, 시각을 차단하고 토구를 이용한 균형운동 집단 등 각 집단 5명을 훈련시킨 후 MFT와 EMG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FT측정 결과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균형 훈련과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 훈련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훈련과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 훈련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EMG 측정 결과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훈련과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훈련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p<.05),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훈련과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훈련, 그리고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훈련과 시각되먹임을 병행한 체성감각훈련 사이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시각되먹임만을 이용한 균형훈련보다 체성감각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균형능력이 감소된 환자들의 균형감각능력증진에 체성감각훈련이 좌우차이와 좌우빈도를 맞추는데 효과적이고 시각되먹임은 동적 균형 증진에 효과적이므로 이 두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치매 및 우울증 고위험군 116례의 한의 치료에 대한 관찰 연구 (Observational Study of the Treatment of 116 Cases of High Risk Group for Dementia and Depression in Multiple Korean Medicine Clinic)

  • 안영성;장건;김면수;박준영;김용기;하현이;최중길;이재열;이동석;황지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04-116
    • /
    • 2021
  •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and economic costs due to the increase in dementia patients, which is a representative senile disease in an aging society, it will be important to prevent dementia and to detect and treat early in high-risk groups. This study reported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the elderly with high risk of dementia and depression who received Korean medicine (KM) treatment in 9 KM clinics. Medical charts were surveyed on 116 patients with high risk of dementia and depression who received KM treatment at 9 KM clinics in Gangseo-gu from September 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were female(76.72%), the average age was 71.66±7.18 years old, and the average education level was 8.96±3.91 years. The average treatment period was 61.47±10.30 days, the average number of treatments was 15.38±1.06 times, and bo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were administered. After receiving KM treatment, cognitive assessment scores such as MMSE-DS and MoCA-K, depression-related GDSSF-K scor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blood debilitation scale, and GQOL-D score were improved compared to before. There was no specific adverse reaction except that one patient with elevated AST and ALT levels was observed.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dementia-related scale, and quality of life in high-risk groups for dementia and depression over 60 years old who received KM treatment. More systematic and large-scale planned clinical studies will be needed.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요양병원에서의 삶의 변화 (Change of Life of the Older due to Social Admission in Long-Term Care Hospital)

  • 강군생;김정선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03-1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사회적 입원으로 인해 요양병원에서 경험하는 삶의 변화 현상을 탐색하여 그 삶의 경험들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질문은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삶의 변화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가 사회적 입원으로 인해 경험하게 되는 삶의 변화 현상과 그 의미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A시와 B시에 있는 요양병원 입원 환자 중 65세 이상으로 연간 재원기간이 6개월 이상이고 인지기능의 장애가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자로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노인 15명을 의도적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해 2016년 4월부터 7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근거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요양병원에서의 삶의 변화의 본질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6개의 주제 모음과 19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주제모음은 걱정거리가 해소됨, 새로운 관계형성, 환자인 듯 환자 같지 않은 병원생활, 심신이 편안해짐, 퇴원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고립이었다. 이를 볼 때 요양병원에 사회적 입원을 한 노인의 삶은 의료적 욕구 해결보다는 그들이 안고 있는 사회적, 심리적 욕구 해소에 더 많은 의도를 가지고 입원 생활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노인들이 주로 입원하고 있는 요양병원의 현실은 의료법에 근거한 요양병원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근거한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이 혼재되어 운영됨에 따라 고령사회를 앞둔 현 시점에서 이와 관련된 제도적 보완이나 정부의 지속적 모니터링과 함께 현실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터학습과 직무만족이 노인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orkplace Learning, Job Satisfaction and Geriatric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윤숙례;정의남;박선욱;정명순;고가연;장지혜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55-667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일터학습, 직무만족 및 노인간호실천 정도와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노인간호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9개 요양병원 간호사 146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고,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터학습, 직무만족, 노인간호실천의 차이는 t-test, ANOVA, 사후검정은 Scheff? test를 이용하였고, 일터학습, 직무만족, 노인간호실천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노인간호실천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터학습은 평균 3.99점(6점), 직무만족은 3.03점(5점), 노인간호실천은 3.38점(4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 중 근무형태에 따라 노인간호실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간호실천은 일터학습의 하위영역인 우연적 학습 및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노인간호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경력, 주간근무, 직무만족이었으며, 설명력은 20%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노인간호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간호실천을 위한 일터학습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중·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 (Factors of Bodily Pain Among Stroke Patient's Female Caregivers in Their Middle to Older Age)

  • 문종훈;박인혜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1호
    • /
    • pp.63-71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중 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구 및 경북 지역에 위치한 병원 5곳에서 뇌졸중 환자 75명과 이들을 간병하는 중 고령층 여성 간병인 75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측정은 뇌졸중환자의 일반적 특성, 인지기능, 상지기능, 일상생활능력을 평가하였고, 간병인은 일반적 특성과 신체통증이 평가되었다. 신체통증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 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영향 요인은 현재 자신이 돌보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능력(${\beta}=-.489$, p<.001)과 간병경력(${\beta}=-.309$, p=.003)으로 나타났다($R^2=.276$). 상관분석결과,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능력, 상지기능, 인지기능은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다(r=.434~.751, p<.001).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중 고령층 여성 간병인의 신체통증 감소를 위해 현재 자신이 돌보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과 간병경력이 중요한 변수임을 증명한다.

통상적 혈액화학 결과에서 전반적 퇴화 척도의 영향성 (Influences of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according to Routine Blood Chemistry Results)

  • 김선규;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51-359
    • /
    • 2019
  • 신경인지검사는 외래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 정도를 평가하는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가 가장 보편적이지만, 최근에는 SNSB II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II)를 통해 심층적으로 진단에 활용된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경기도 남부지역 일개 의료원에 내원한 보건소에서 정밀검사 의뢰된 노인층 120명의 통상적인 신경인지검사 결과와 혈액검사 항목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GDS의 하위 영역의 평가에서는 시공간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혈액 전해질 중 Na이 GDS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GDS 수준에 따른 집중력, 언어 시공간능력, 기억력, 전두엽 실행 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ALT와 크레아티닌이 정상군과 비정상군에서 전두엽 실행 기능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또한 GDS와 ALT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선별 및 진단에 유의한 검사 항목을 개발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통상적인 혈액화학검사가 인지장애 환자의 진단 및 진행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