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oral hygiene car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7초

커뮤니티케어 기반 방문구강관리 중재에 의한 노인의 구취 농도 변화 (Changes in concentration of VSCs after home oral care interventions based on community care in older adults)

  • Myeong-Hwa Park;Min-Sook Jeong;Jong-Hwa Jang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1-103
    • /
    • 2023
  • 연구목적: 초고령 사회 도래로 2019년부터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커뮤니티케어)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케어 사업 기반의 방문 구강건강 관리 중재를 통한 노인의 구취 감소 및 구강 건강 상태가 향상된 증례보고이다. 연구방법: 재가방문에 의해 치과의사가 구강검사를 한 후 치과위생사가 2인 1조로 주 1회 총 12회 맞춤형 노인 구강관리 중재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돌봄 노인 73명 중 3명을 선정하여 구강건강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고 구취 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돌봄 노인 모두 주관적 구강건강 및 구강위생 상태가 호전되었다. 구취농도는 증례 1의 경우 중재 전 44.5 ROV로 나타났으나, 9주 후 15.5 ROV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준와상상태인 증례 2는 중재 전 14.5 ROV에서 중재 후 12 ROV로 구취가 감소하였다. 증례 3의 구취농도는 중재 전 6.5 ROV에서 9주 후 6 ROV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결론: 방문 구강건강관리 중재활동은 전반적으로 구취 예방 및 구강건강 상태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구취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신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방문 구강건강관리의 활성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시된다.

노인요양시설에서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일상적 구강청결관리 기록지의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daily tooth cleaning service records by caregiv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 백지현;이혜주;최호준;최지혜;김나경;곽정민;한동헌;김남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03-913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alysis of daily tooth cleaning service records by caregiv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content analysis of the daily records of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daily tooth cleaning service. Twenty caregivers provided tooth, gum and denture cleaning service after breakfast, lunch, and dinner to 48 elderly residents. The study lasted about two weeks(from August 4 to August 20, 2014).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the language by repeatedly reviewing the caregivers statements in the records. The content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records through a reiterative manual comparative analysis.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constructed meanings were incorporated into various meanings and reanalyzed by final categories called as analytic coding. In order to validate the reliability, 6 times of discussion made the common meanings through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a dental hygiene professor. Results: The caregivers identified lack of understanding and ability to recognize the functional physical and mental changes in the elderly. The elderly had difficulty in recognizing silent communication and daily tooth cleaning. The caregivers were so strenuous in taking care of the daily tooth cleaning service for the elderly. At last, they gave up the daily tooth cleaning service and took on it to the guardians. They found that there was no social supporting network for oral health of the elderly residents. Conclusions: Caregivers ha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physical and mental changes in the elderly residents, and they had difficulty providing daily tooth cleaning service to the elderly due to poor skill and abilities.

한국노인의 미충족치과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독거여부에 따른 비교연구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unmet dental care in the elderly: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atus of living alone)

  • 김영실;서혜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09-817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unmet dental care needs of the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family elderly group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their influence. Methods: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Study of 2016 were used to analyze a total of 4,987 individuals: 4,008 in living with family group and 979 in living alone group.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2 (p<0.05). Results: We observed that 16.5% and 28.3% of the participants from the living with family and living alone groups had unmet dental care need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living alone group had more unmet dental care needs. Income level, residential area, and healthcare security we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living with family group. In contrast, medical aid for healthcare security was a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the living alone group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confirmed that socioeconomic factors that affect unmet dental care vary according to the living situation.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identify the number of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which is increasing annually. These individuals are vulnerable in almost all aspects, an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d implement appropriate oral healthcare policies to support them.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구강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on Oral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주온주;김인자;손주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09-315
    • /
    • 2020
  •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구강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향후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대상으로 계통추출법으로 진행 하였다. EQ-5D와 씹기 문제는 운동능력이 없는 그룹 통증불편이 있는 그룹, 불안우울이 있는 그룹에서 씹기 문제 오즈비(OR)가 증가하였다 (p<0.05). EQ-5D와 말하기 문제는 운동능력이 없는 그룹, 통증불편이 있는 그룹, 불안우울이 있는 그룹에서 말하기 문제 오즈비(OR)이 증가하였다 (p<0.05). 본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 (EQ-5D)는 노인의 구강건강과 직결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EQ-5D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구강보건교육 및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가 요구되어진다.

노년기 음주자의 치아발거 필요와 관련된 요인 (The Factors Accociated with Needs of Tooth Extraction in Elderly Drinkers)

  • 이지연;강은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27-235
    • /
    • 2019
  • 본 연구는 2013-2015년도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발거가 필요한 치아를 보유한 음주노인 1,865명을 대상으로 했다. 치아발거필요 관련요인을 결과변수로 한 분석결과, 음주노인의 남성에서, 소득이 더 낮을수록, 흡연자에서, 본인인지구강건강상태 나쁨에서, 구강위생용품 사용안함에서 치아를 발거해야 할 위험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주노인의 치아발거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여 치아상실을 조기에 예방하고 잔존치아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기 위해서는 음주문화를 개선하고 현재가 아닌 이전 생애주기에서 음주자의 구강건강관리 전략을 모색하고, 국가차원의 통합적 구강보건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구강보건진료·관리 항목이 노인의 자가인식구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A Study in Terms of the Impact of Oral Health Care·Management item on the Self-Perceived Oral Condition of the Elderly)

  • 김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9-115
    • /
    • 2013
  •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각각 3곳의 노인복지관 및 노인대학의 65세 이상 노인 501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진료 관리 항목이 자가인식구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구강보건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령에 따른 구강보건진료 관리 항목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65~69세는 불소도포, 65~74세는 치석제거, 칫솔질 교습, 70~74세는 틀니 세정 및 관리, 75세 이상은 틀니 제작을 선호하였다. 구강보건진료 관리 항목이 노인의 자가인식구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은 현 구강상태가 좋지 않고, 저작지장이 많으며, 구강건조가 있을수록 틀니 제작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아수가 적고, 틀니를 가지고 있을수록 틀니 세정 및 관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흔들리는 치아가 있고, 치통이 자주 있을수록 발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구강상태에 따라 구강보건진료 관리 항목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개인에게 맞는 구강보건관리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서울 일부 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o Subjective Oral Symptoms for the Elderly in Some Seoul Area)

  • 원영순;김지현;김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75-380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증상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노인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노인구강보건사업개발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08년 6월부터 9월까지 서울 소재 경로당을 방문하여 편의표본추출법으로 노인 200명을 선정하였으며, 개별 면접조사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관적인 구강증상에서 저작시 어려움, 구강건조, 구취는 가끔 느낀다는 응답이 각 32.0%, 38.5%, 40.5%로 나타났으며, 구강내 통증, 악관절 이상의 경험, 잇몸질환의 경험 은 겅의 없다라는 응답이 각 44.5%, 69.0%, 46.0%로 높게 나타났다. 2. 구강내 잔존 치아수는 평균 13.71개로 나타났다. 3. 성별에 따른 주관적 구강증상에서 성별과 악관절 이상(p=0.000), 구강건조(p=0.001), 구취 (p=0.006)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았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구강증상을 경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저작능력(p=0.000), 구강내 통증(p=0.010), 악관절 이상(p=0.010), 구강건조(p=0.001)와 주관 적 구강 건강상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구강이 건강하지 않은 노인이 구강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존 치아 수는 건강하지 않은 노인이 적 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5. 치아수가 많을수록 저작능력(p=0.000)과 구강건조의 경험(p=0.000)을 적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치아수가 많을수록 잇몸질환의 경험(p=0.007)이 많은 결과를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저작능력(p=0.000), 구강내 통증(p=0.004), 구강건조(p=0.000), 구취의 경험(p=0.008)이 적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이 인지하는 구강건강상태와 구강증상과의 관련이 있으며, 잔존하는 치아의 수와 주관적 구강증상도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자연치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구강병의 예방적 활동과 구강건강상태 인지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와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 PDF

간병인의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가 노인환자의 구강건강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of Caregivers on Oral Health Management of Elderly Inpatients)

  • 임희정;조한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5-68
    • /
    • 2017
  • Objectives: Republic of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recently. As chronic diseases increase, elderly inpatients has been increasing and they have used caregivers for convenie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of caregivers on oral health management of elderly inpatients, which would affect the gene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caregiver(n=165), at a neurosurgery or orthopedic hospital inpatient ward in Seoul, Gyeonggi-do from April 1 to 14, 2017. We analyzed the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hi-squared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3.0. Results: The response rate to the questionnaire was 92%. Oral health management provided by caregivers to inpatients in the elderly was prevention of oral diseases(92.8%), tooth brushing (89.5%), use of oral care products(68.4%), denture cleaning(90.8%) and oral cleaning(90.8%). Frequency analysis of oral health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givers was all confi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the logistics regression model, oral health knowled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oral cleaning(OR=1.58) and oral health attitu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denture cleaning(OR=1.29) and oral cleaning(OR=1.28) after adjustment for other covariates including gender, age, certification, education level, ward, working year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can change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caregivers on the oral health management of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current oral health education.

  • PDF

일부 치과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구 (A Study on Knowledge of and Attitude to the Elderly among Some Dental Hygienist)

  • 심수현;김진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1-7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봄으로써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고, 노인에 대한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인 특성과 지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고치과의료 제공 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노인인구에 대한 구강보건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시행되었으며,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41명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에 대한 지식은 최소 4점, 최대 22점 범위에서 $12.40{\pm}2.99$로 나타났으며, 노인에 대한 지식도의 문항별 정답률을 살펴보면 신체적 생리적 영역의 문항의 정답률이 높았고, 가족 사회적 영역, 심리적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점수에서 연령은 36세 이상에서, 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자 보다 대학교 졸업자, 근무지는 경상도, 영유아 환자군을 선호하는 치과위생사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노인에 대한 전체 태도는 평균 3.13(${\pm}.28$)로 나타났으며, 영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은퇴 및 경제, 노인복지, 노인의 신체특성에 대한 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노인의 성격특성과 지적특성에 대한 태도점수에서 낮게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태도점수를 살펴보면 연령이 36세 이상이고, 학력은 전문대학에 비해 대학교 졸업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점수가 높았고, 근무지는 전라도, 선호하는 환자군은 아동을 선호하는 치과 위생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학력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앞으로는 고령화시대의 대두와 더불어 임상현장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이 노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며 더불어 치위생과 교과목에도 노인에 대한 교육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Dental Hygienists in Japan

  • Oh, Sang-Hwan;Nishimura, Rumi;Sugiyama, Masaru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0-20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atus of dental hygienists in Japan. The study explicated the history, core curriculum, National Examination for Dental Hygienists, work roles of dental hygienists, and workplaces of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government policy report on dental hygienists and the information published by each public institution. The latest statistics presented by the institutions were collected through official websites. The employment information of graduates from Hiroshima University was analyzed based on actual field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social demand for dental hygienists has steadily increased and policies and education have been revised accordingly. The work roles of dental hygienists have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the treatment and those of public health fields. In line with major policy changes, the educational period has been extended from 1 year to 3 or 4 years, while the mandatory credits for graduation have been established. Licensing examinations were being performed by the local governments since 1948 due to the different situations of dental hygienists in different areas. In 1992, they were converted into a single national examination. The work roles have expanded from assisting dental treatments to health guidance, home care, and perioperative care. Consequently,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has increased, especially in health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Dental hygienists perform various roles. However, the most essential role is to provide the best oral care services to the patient. The expected role of dental hygienists has expanded in alignment with public healthcare needs and support for the elderly.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re expected to bring about improvements such as diversifying the channels of education and establishing policies to respond to growing patient needs by cultivating excellent dental hygiene professio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