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inpatien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9초

요양병원 확충이 급성기병원 노인입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ans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on Elderly Hospitalization in Acute Care Hospitals)

  • 김동환;이태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96
    • /
    • 2009
  • The expans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eeting the long-term care need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in a rapidly aging society. It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efficiency of health resource use and decrease elderly health expenditures by transferring patients from acute care hospitals (ACHs) to LTCHs.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how the expansion of LTCHs had influences o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in ACHs.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as an analytic tool using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02 to 2006. The expansion of LTCHs was measured as location quotient (LQ) of LTCHs, denoting the share of LTCHs in a large city or province relative to the share of LTCHs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per capita 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over 65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LQ of LTCH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in ACHs. Seco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evident among general hospitals with over 100 beds while it was not among hospitals with less than 100 beds. Third, LQ of LTCHs had more influences among the elderly over 85. In conclusion, the expansion of LTCHs seems to contribute to decrease in the inpatient cost of the elderly in ACHs and to increase efficiency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resources.

중.고령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여부의 결정 요인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 adults)

  • 유기봉;조우현;이민지;권정아;박은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36
    • /
    • 2012
  • Objectives : The coverage of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is limited to basic level. Korean government encourages private health insurance for covering medical securities. So, many studies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However, 11% of Korean population is older than 65 in 2011. Considering the elderly is important to establish a health poli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determining the purchas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 adults. Methods : We used the secon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selected 8,688 sample of the aged 47 or older for the analysis. KLoSA collected information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ome, health- related factors. KLoSA data include in the number of outpatient, inpatient, oriental hospital visit, dental clinic visit for two year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the factors which include age, gender, education, residential district, marital status, smoking, drinking, physical exercise, economic activity status, 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incom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inpatient, oriental hospital visit, dental clinic visit for two years. Results : People who were older, did not live in a city, had higher IADL, currently drunk alcohol, did exercise regularly and had chronic diseases more than three were inclined not to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Females, the married, well-educated, past & currently smokers, the employed, high income earners, national health insurers, metropolitan citizens and someone who got high MMSE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The more people experienced outpatients, inpatients, dental clinics and Chinese medicine clinics, the more private health insurance was purchased. The elderly people over 75 had more private health insurance than the aged 65-74. The strongest factors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is gender, and economic status such as income.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healthy-high income people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In contrast, unhealthy-low income and older people did not. The economic factors were strongly related with private health insurance in aged over 75. These mean inequality exists in the u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vulnerable social group before expanding private health insurance.

  • PDF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의료이용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n Elderly)

  • 곽광일;백창희;류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17-626
    • /
    • 2015
  • 본 연구는 제 5기 전체(2010~2012)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의료이용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비활동적인 신체활동군과 비교하여 활동적 신체활동군의 경우에 입원이용 가능성이 0.54배(OR;95% CI, p<0.001), 외래이용은 0.73배(OR;95% CI, p=0.040), 약국이용은 0.75배(OR;95% CI, p<0.007) 더 낮으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이용 횟수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소 신체활동군의 경우에 비활동적 신체활동군과 비교하여 입원 의료이용 가능성이 0.64배(OR;95% CI, p<0.001) 낮고, 이용횟수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에 따라서 의료이용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신체활동을 활발하게 실천하는 것이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의료비 지출의 감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입원노인과 일반노인의 삶의 질의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patient with that of the normal elderly people)

  • 민경진;김정자;차춘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3-205
    • /
    • 2000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compare the health condi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those of the normal elderly people. The subjects of study were 482 elderly inpatients and 304 normal elderly peopl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using the instrument WHOQO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or the level of health, it was recognized that male was healthier than female, having higher the education, living in the city rather than in the rural, keeping the normal life than being in the hospital.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in the past medical histories of the elderly inpatients and the normal elderly people. As to the diseases currently under the treatment, there were some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inpatients and the normal elderly people but the tendency was similar in the kinds and the frequencies. As to the recognition for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inpatients and the normal elderly people based on the records reflected on each of the domains of WHOQOL, the normal elderly people more positively recognized i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the following domains: physical, psychological, level of independence, and spirituality/religion/personal beliefs. The normal elderly people more positively recognized especially in the level of independence domain (mo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endence on medication or treatments, working capac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s domain only the sexual activity was significant and the normal elderly people more positively recognized. The elderly inpatients showed the correlation of over 0.5 i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the following domains: environment, social relationships, physical, psychological, level of independence. It was over 0.6 in the physical domain and the domains of psychological and level of independence. and the psychological domains of level of independence and social relationships. For the points of overall quality of life, it had no correlation with hospitalization but the health condition, residential district, occupation, and taste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As a result of separate analyses of the elderly inpatients and the normal elderly people, the health condition and the age only were the common variable which would exercise a significant effect. Besides, the primary factors which would exercise the quality of life were the occupation and taste for the elderly inpatients, and the residential district and source of income for the normal elderly people. In conclusion, it is first and foremost important to improve the standard of health for the overall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eople, regardless of hospitalization. Therefore, a plan must be urgently drawn up for revitalization of the health promoting projects for the elderly people and the public health projects for the elderly people, and the investment must be increased for settlement of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people.

  • PDF

슬관절전치환술 노인 환자의 원내합병증과 재원일수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In-hospital Complication and Length of Stay in Elderly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 김상미;이현숙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2-62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in-hospital complication and length of stay in elderly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A total of 8,224 inpatients over 65 years old were selected from the national old inpatient sample data which was produced by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2016. STATA 12.0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multiple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results show that ages(over 85), Charlson Comorbidity Index, district(metropolitan) for general hospitals and gender, district, beds(100-199) for hospital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in-hospital compli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are gender, insurance type, depression, district, bed(300 over) for general hospitals and gender, type of insurance, Charlson Comorbidity Index, depression, district, beds(200-299) for hospita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actors affecting in-hospital complication and length of stay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Accordingly, policymakers should analyze the differences in care behavior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and expand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to resolve them.

간병인의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가 노인환자의 구강건강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of Caregivers on Oral Health Management of Elderly Inpatients)

  • 임희정;조한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5-68
    • /
    • 2017
  • Objectives: Republic of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recently. As chronic diseases increase, elderly inpatients has been increasing and they have used caregivers for convenie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 of caregivers on oral health management of elderly inpatients, which would affect the gene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caregiver(n=165), at a neurosurgery or orthopedic hospital inpatient ward in Seoul, Gyeonggi-do from April 1 to 14, 2017. We analyzed the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hi-squared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3.0. Results: The response rate to the questionnaire was 92%. Oral health management provided by caregivers to inpatients in the elderly was prevention of oral diseases(92.8%), tooth brushing (89.5%), use of oral care products(68.4%), denture cleaning(90.8%) and oral cleaning(90.8%). Frequency analysis of oral health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givers was all confi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the logistics regression model, oral health knowled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oral cleaning(OR=1.58) and oral health attitu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denture cleaning(OR=1.29) and oral cleaning(OR=1.28) after adjustment for other covariates including gender, age, certification, education level, ward, working year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can change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caregivers on the oral health management of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current oral health education.

  • PDF

노인 보행자 운수사고 입원환자의 의료적 특성연구 (Med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edestrian Inpatient in Traffic Accident)

  • 박혜선;김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45-352
    • /
    • 2019
  • 본 연구는 2012년~2016년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운수사고에 따른 노인 보행자 입원환자의 의료적 특성인 재원기간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운수사고에 따른 노인 보행자 입원환자의 의료적 특성으로 입원경로, 중증도, 손상부위, 수술유무, 치료결과, 병원소재지, 병상규모가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외래경유 입원인 경우, 치료결과가 호전보다는 호전 안됨이나 사망인 경우, 100-299병상보다는 500-999병상, 1000병상 이상인 경우 재원일수가 짧았다. 그러나, CCI는 0점보다는 1-2점, 3점 이상인 경우, 손상부위가 머리 또는 목보다는 기타부위인 경우, 수술을 한 경우, 병원소재지가 서울보다는 도 지역, 광역시인 경우 재원일수가 길었다.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보행 운수사고 예방을 위하여 입원환자의 의료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통안전 및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노인외래정액제 개선이 고령층의 의료이용에 미친 영향 (The Effects of the Revised Elderly Fixed Outpatient Copayment on the Health Utilization of the Elderly)

  • 김리현;이경민;이우리;유기봉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6-210
    • /
    • 2024
  • 연구배경: 2018년 1월 의원급(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노인외래정액제 개선안이 시행되었다. 정액진료비 상한금액인 1만 5,000원 이하 진료를 받은 경우의 본인부담금은 기존과 동일하다. 개선안은 정액진료비 상한금액인 1만 5,000원 초과 진료를 받은 경우의 본인부담금을 차등적으로 인하하였는데, 1만 5,000원 초과 2만 원 이하 구간의 본인부담금은 진료비의 30%에서 10%로, 2만 원 초과 2만 5,000원 이하 구간의 본인부담금은 진료비의 30%에서 20%로 인하하였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인구 고령화로 고령인구와 노인진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노인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연구는 건강보험 지속 가능성 유지와 노인복지 향상을 위하여 노인외래정액제 개선이 고령층의 의료이용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려고 한다. 방법: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외래정액제 개선 이후 고령층의 의료이용 변화를 추정하였다. 연구는 단절적 시계열 연구 중 구간별 회귀분석을 분석에 이용하였고, 진료비 구간별 및 의원 종류별 외래진료 횟수, 입원횟수 및 일수 변화는 포아송 구간별 회귀분석을, 외래 및 입원진료비 변화는 구간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구간별 회귀분석은 개입으로 인한 효과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효과를 구분할 수 있게 해주어, 개입이 없더라도 발생했을 변화와 개입으로 인한 변화를 명확하게 추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 배우자 유무, 장애 정도, 지역, 주관적 건강인식, 질병 및 손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제한 여부, 응급 및 입원 수술 여부, 응급실 이용횟수, 만성질환 개수, 계절은 통제변수로 포함하였다. 결과: 노인외래정액제 개선 직후 본인부담 변화가 없던 의원, 한의원 진료비 1만 5,000원 이하 구간의 외래진료 횟수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본인부담이 감소한 의원 1만 5,000원 초과 2만 원 이하 구간과 한의원 2만 원 초과 2만 5,000원 이하 구간의 외래진료 횟수는 증가하였다. 치과의원의 외래진료 횟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입원율은 노인외래정액제 개선 직후 감소하였지만,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외래진료비 중 본인부담금은 노인외래정액제 개선 직후 감소하였다. 입원진료비와 외래와 입원진료비를 합한 총진료비는 노인외래정액제 개선 직후 감소하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결론: 분석결과를 통해 노인외래정액제 개선 이후 일시적인 의료이용 증가와 본인부담금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총진료비 중 입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외래보다 크기 때문에, 노인외래정액제 개선이 고령 환자의 의료비 부담 완화에 미친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장기적으로 고령 환자의 의료비 부담 완화와 건강보험 지속 가능성 유지를 위해서는 본인부담 완화 정책과 질병 악화로 인한 입원을 예방하기 위한 만성질환 관리정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결과는 정책을 수립할 때 본인부담 변화가 고령층의 의료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이용한 노인 입원 환자의 운수사고 유형과 사망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Transport Accident Type And Mortality In Elderly Inpatients : Using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Dataset)

  • 류한준;강선희;부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16-6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운수사고 입원 환자의 운수사고 유형과 사망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노인 운수사고 입원 및 사망 환자를 줄이기 위한 운수사고 유형에 따른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개발 및 수립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2013-2017년의 질병관리본부 퇴원손상심층조사 데이터세트 중 운수사고를 입은 노인 입원환자를 추출하여 기술통계분석, 카이제곱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의료기관, 의료이용 특성을 보정한 상태에서 분석한 결과 운수사고로 인한 노인의 입원 사망은 승용차 사고에 비하여 보행자 사고(OR : 2.522 95% CI 1.291-4.927), 자전거/카트 사고(OR : 2.809 95% CI 1.328-5.942), 오토바이 사고(OR : 2.330 95% CI 1.126-4.819)로 인한 사망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와 같이 노인의 경우 승용차 사고로 인한 사망에 비하여 다른 유형의 운수사고로 인한 사망의 위험이 높지만, 우리나라 노인의 운수사고 관련 정책은 승용차 사고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증가하는 노인 집단의 운수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하여 노인 집단의 운수사고 유형별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정책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만성질환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resence of Chronic Illnesses)

  • 전해숙;강상경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247-1263
    • /
    • 2011
  • 현재 우리나라가 경험하고 있는 급속한 인구고령화 현상은 노년층 사이의 만성질환 및 의료서비스 이용의 증가로 연결된다. 의료서비스 이용은 궁극적으로 서비스 소비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노년기의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만성질환의 유무에 따라서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서 상이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3차년도 조사에 참가한 65세 이상 노인 3,94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분석(Multi-Group SEM)을 하였다. 관련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전체적으로는 외래서비스 이용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은 낮고, 입원일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은 반면, 건강검진 서비스 이용수준은 만족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하지만 의료서비스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만성질환의 유무에 따라서 상이하였다.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입원서비스 이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없는 사람들은 입원일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질병이 있는 사람들은 건강 검진서비스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질병이 없는 사람들은 건강검진 서비스를 많이 받은 사람들의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외래서비스 이용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질명유무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과 의료서비스 이용이 만족도에 주는 영향이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들과 없는 노인들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