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Health and Perceived Oral Health in Elderly Individuals: Focusing on Depressi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 Lee, Hyun-Ok;Kim, Sun-Mi;Park, Ji-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98-404
    • /
    • 2017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ntal health factors on oral health factors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total of 1,548 elderly individuals aged over 65 years who completed the screening and health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participants. The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related to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were depression and stress when the gender was controlled, and in terms of gender, both elderly male and female individuals were stressed and depres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al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negatively affects not only perceived oral health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lderly individuals sh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along with oral health care and overall health care and lifestyle. If a comprehensive health management system is available for low-income groups or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it should positively affec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dividuals.

노인의 영양섭취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분석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 임경숙;이태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210-222
    • /
    • 2004
  • In recent years,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Korean elderly have grown rapidly, and elderly individuals show a disproportionate risk for poor nutrition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o nutrient intake of persons 65 years of age or older, living in 15 cities in Korea. Data on 1973 subjects (603 males, 1370 female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Elderly Nutrition Survey (2000), were analyzed. Their mean age was 72.3 years and their mean body mass index (BMI) was 24.2 kg/$m^2$. Basic sociodemographic data were obtain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The 98-item semi-food 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and previously validated for Korean 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was administered. “Percentage of subjects who consumed under 75% Korean RDA,” “number of nutrients consumed below 75% Korean RDA,” “mean nutrient adequacy ratio,” and “nutrient density” were used to determine nutritional status. Male elderly had better nutritional quality than female elderly. Nutritional quality decreased with age, especially in older elderly (over 75). Elderly who were underweight (BMI 〈 20 kg/$m^2$) showed poorer nutritional quality than those who were normal weight (BMI 20∼25 kg/$m^2$) and overweight (BMI $\geq$ 25 kg/$m^2$). Elderly who lived alone had significantly poorer nutritional quality than those who lived with a spouse, and/or with children. Lower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dependence also showed lower nutritional quality.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pecific sociodemographic factors on nutritional quality. For number of nutrients under 75% RDA as a dependent variable, education level explained 4.8% of the variance, followed by living status, age, body mass index, gender, and living expense support (Model $R^2$ = 0.091). For mean nutrient adequacy ratio as a dependent variable, model $R^2$ was 0.098. Therefor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body mass index, living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status influenced elderly nutrition stat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 elderly nutrition intervention should focus on subjects who are poorly educated, living alone, age 75 or older, and/or underweight.

한국 독거노인의 식사패턴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Diet Quality Determined by Dietary Patterns of Elderly Koreans Living Alone: Data Retrieved from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윤여진;이영미;송경희;이유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3호
    • /
    • pp.133-148
    • /
    • 202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dietary patterns of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o compare the quality of diet consumed. Data of 821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living alone, was obtained from the 2016~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percentage energy intake from 24 food groups was calculated, and a cluster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dietary patterns. General characteristics, energy and nutrient intak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mean adequacy ratio (MAR),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were analyzed. Dietary variety score (DVS) and dietary diversity score (DDS) were subsequently calculated. The rice-centered diet group and mixed diet group were characterized as consuming higher intake of rice and a wider variety of food groups, respectively. The mean age and percentage of participants living in rural areas were higher, whereas education level and monthly income were lower, in the rice-centered diet group (P<0.001 for all). Intakes of energy and all other nutrients (except carbohydrate and thiamine) were lower in the rice-centered diet group (P<0.001 for all). The NAR for all nutrients (except thiamine), MAR, and INQs (except thiamine and ir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ice-centered diet group (P<0.001 for all). The rice-centered diet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DVS (P<0.001) and DDS (P<0.001), as compared with the mixed diet group (P<0.001). Due to the insufficient energy and nutrient intake in the rice-centered diet group,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tritional monitoring and customized nutrition policies for these individuals.

온라인 뉴스 빅데이터를 통한 코로나 19 담론과 사회복지 개입방안: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COVID-19 Discourse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hrough Online News Big Data: Focusing on the Elderly Living Alone)

  • 여지영
    • 한국노년학
    • /
    • 제41권3호
    • /
    • pp.353-371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독거노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사회전반적인 개입 및 대응의 담론을 밝힘으로써 사회복지적 정책 수립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9년 25일까지 수집된 온라인 뉴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관계망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관계망 분석결과, 연결정도 중심성, 위세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 지역, 전달, 사회, 지원, 취약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됨으로써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각종 지원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공공전달체계 구축''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돌봄공백 보전관리''민간 경제적 지원체계 구축''봉사조직체계 구축'등의 주제가 나타나며, 크게 정부, 지역사회, 민간에서의 유기적 역할에 대한 담론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언함으로써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노인우울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Depression and Health Satisfaction)

  • 이미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1-471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depression and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public data files in the 2011 Elderly Living Condition Survey database. The sample included 9,461 ca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satisfaction were geriatric depression (${\beta}$=-.510, p<.001), gender (${\beta}$=.123, p<.001),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a}$=-.116, p<.001), income (${\beta}$=.050, p<.001), living alone (${\beta}$=.044, p<.001), and the area of residence (${\beta}$=.017, p<.05). Income moderated the effect of geriatric depression on health satisfaction. Noteworthy is that an increase in income slightly weaken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depression and health satisfaction.

성별에 따른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Elderly Who Live Alone, Depending on Gender)

  • 권명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365-373
    • /
    • 2019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독거노인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대상자 22,948명 중 독거노인 959명 대상으로 하였다. IBM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을 형성한 후 복합표본 통계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두 그룹 간 나이, 교육수준, 칼로리 섭취, 관절염유무, 무릎통증, 허리통증, 알코올섭취 빈도와 양, 흡연유무, 주관적 건강과 삶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 독거노인 삶의 질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경제상태, 관절염유무, 활동제한, 주관적 건강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50.5%이었다(p<.001). 여성 독거노인 삶의 질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허리통증, 주관적 건강, 자살생각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1.4%이었다(p<.001). 그러므로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별에 따른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저체중 독거노인의 질병과 건강행태 :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Disease and Health Behavior of Low-Weight Elderly Living Alone : Focusing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4)

  • 김종임;김유미;남미라;최지연;손기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79-488
    • /
    • 2018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질병과 건강행태의 파악을 통해 독거노인의 저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저체중 독거노인 92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Rao Scott $x^2$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독거노인들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았으며, 흡연, 음주, 운동량 부족, 짜게 먹는 식습관, 틀니사용에 의한 저작 불편, 나쁜 주관적 건강상태와 같은 좋지 않은 건강행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독거노인의 성별에 따른 저체중 발생 위험확률은 다음과 같다. 흡연으로 인한 저체중 위험도는 여자노인에서 가끔 피우는 경우 3.004배, 걷기량으로 인한 저체중 위험도는 3일미만 걷는 사람이 저체중일 가능성은 1.420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주관적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경우 저체중일 가능성은 남자노인에서 2.220배, 여자노인에서 1.282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사람이 저체중일 가능성은 남자노인에서 3.633배, 여자노인에서 1.590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저체중 독거노인의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절한 간호중재의 수립과 관리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저체중 독거노인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 등의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단독가구 노인의 구조적 사회관계망 유형과 관계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to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Singles and Couples)

  • 박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929-945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to quality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Respondents were 418 adults aged 60 or older living alone or as coup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Four networks types were identified: diverse, friend-neighbor focused, family focused, and restricted. Life satisfaction was highest for individuals in the diverse network group and lowest for individuals in the restricted network group.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as affected by the diverse network, family focused network, the relationship quality with children, the relationship quality with neighbors, and the relationship quality with relatives. Results suggested that having diverse social network in close proximity is very important in old age and structural network types may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모바일 미디어 기술과 주거형태에 따른 노인 자살생각 완화 연구 (Investigation on the Mitigation of Suicidal Thoughts in the Elderly Depending on Mobile Media Technology and Living Arrangement)

  • 범철호;존 존슨;최철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34-545
    • /
    • 2020
  • 초고령화 사회에서 증가한 독거노인의 인구는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홀로 살아가고 있는 노인들은 상실감과 자살 생각이 높아질 수 있음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형태와 스마트폰이 이들의 상실감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2G폰을 사용하는 노인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이들보다 낮은 사회적 역할과 관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구성원 또는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노인들은 독거노인들보다 낮은 자살 생각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지만 사회적 역할과 관계의 상실감은 거주 형태보다 스마트폰의 사용 실태 여부에 더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노인들은 사회적 역할과 관계에 대해 낮은 수준의 상실감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 사이에서 신체적 건강, 사회적 역할, 관계의 상실감은 자살 생각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는 점에서 놀랍게도 경제적 능력만이 자살 생각의 지표가 아니었음을 확인하였다.

홀몸 노인의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김도현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63-68
    • /
    • 2022
  • 노인관련 복지 정책은 대상 노인 집단을 일반화하여서 보편적인 문제해결 접근에 그쳤을 뿐이다. 그러나 실제로 노인집단은 동질 집단이라기 보다는 연령, 가족상황, 경제적 여건 그리고 기타 여러 변수들에 의하여 다양한집단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집단들의 복지욕구도 매우 다양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단순하고 일괄적인 복지정책은 상당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본다. 다양한 노년 집단들 속에서 특히 홀로 사는 노인의 비율은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추세이므로 이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작업은 곧 노인복지의 상당부분을 해결하는 기초 작업이라고 하겠다. 해당 연구를 통해 홀로 사는 노인들은 다른 노년 집단과는 달리 자칫하면 사회와 단절되어 자신만의 세계에 제한적으로 생활하기 쉽다. 그러나 정부나 지역 단체, 그리고 개인적인 노력을 통하여 홀로 사는 노인들도 생활의 만족도를 높혀 성공적인 노년기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노인복지의 목표라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홀로 사는 노인에 대한 지원책은 가족구조적 측면, 신체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측면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체계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져야만 그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