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VID-19 Discourse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hrough Online News Big Data: Focusing on the Elderly Living Alone

온라인 뉴스 빅데이터를 통한 코로나 19 담론과 사회복지 개입방안: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 Yeo, Jiyou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21.03.05
  • Accepted : 2021.04.29
  • Published : 2021.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ues to social welfare policy making by revealing discourse on social intervention and response based on big data on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VID-19 situation.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topic analysis were utiliz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news media have portrayed challenges facing older individuals and the ways in whic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private organization have responded to the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tworks(degree, closeness, betweenness) were formed around region, delivery, society, support, and vulnerability, suggesting an increased demand for economic assistance and social support as well as stronger service delivery systems. Second, key topics derived included "establishing public delivery systems", "establishing local networks", "Managing care gap", "Establishing a private economic support system", and "Establishing service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ourse on the organic role of government, communities and the private sector has been presented,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proposing a discussion on how to intervene for elderly living alone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의 독거노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토대로 사회전반적인 개입 및 대응의 담론을 밝힘으로써 사회복지적 정책 수립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9년 25일까지 수집된 온라인 뉴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관계망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관계망 분석결과, 연결정도 중심성, 위세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 지역, 전달, 사회, 지원, 취약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됨으로써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각종 지원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공공전달체계 구축''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돌봄공백 보전관리''민간 경제적 지원체계 구축''봉사조직체계 구축'등의 주제가 나타나며, 크게 정부, 지역사회, 민간에서의 유기적 역할에 대한 담론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언함으로써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나, 이민홍. (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 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4), 47-56.
  2. 곽기영. (2017). 소셜네트워크 분석<제2판>. 서울: 청람.
  3. 권혁철. (2019).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빈곤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6(3), 135-160. doi.org/10.46415/jss.2019.09.26.3.135
  4. 경기복지재단. (2020). 언택트 시대 노년과 셀프케어의 활용방안 연구. GGWF REPORT 2020-18.
  5. 경남데일리. (2020). '코로나 있다' 독거노인 마스크 전달 캠페인. http://www.k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921, 2020/03/11
  6. 경인매일. (2020). 양주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독거노인 위한 코로나 위생키트 전달. http://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41953, 2020/09/21.
  7. 김학만, 권정만. (2020). 코로나 19 사태 이후 사회복지정책의 변화 논의: 체계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4(4), 63-86.
  8. 김희숙. (2020). 코로나 19, 재가노인복지시설의 대응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87-94.
  9. 노컷뉴스. (2020). 코로나19 고위험군 만성질환 독거노인, 전화로 관리. https://www.nocutnews.co.kr/news/5322995, 2020/04/07
  10. 뉴스웍스. (2020). 한국MS, '언택트' 노인 돌봄 서비스 실증사업 시작. http://www.senior21.or.kr/bbs/board.php?bo_table=media&wr_id=1324, 2020/06/29
  11. 대한요양병원협회. (2020). 코로나19 대응본부 업무보고. http://www.kagh.co.kr, 2020/12/21.
  12. 더조은뉴스. (2021). 광양시 진상면 익명의 독지가, 명절 맞아 1백만 원 기탁. http://thejoeunnews.co.kr/news/news.asp?id=12311, 2021/01/25.
  13. 류연규. (2012). 가족의 돌봄 공백에 대응하는 돌봄의 사회화 정책의 성격 규명. 비판사회정책, (37), 113-153.
  14. 매일경제. (2020). 문 닫은 노인 일자리사업...64만명 중 53만명 '강제 휴직'". https://mk.co.kr/news/economy/view/2020/03/324620, 2020/03/29.
  15. 머니투데이. (2020). "도와주러도 오지 마라" 코로나19가 더 슬픈 독거노인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22816562493928&VBCA_P, 2020/03/01.
  16. 메디칼옵저버. (2021). 4월부터 75세 이상 노인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274, 2021/03/15.
  17. 문진영, 정순둘. (2020). 노인의 정보접근성 강화 방안 연구: 서울노인의 연령집단별, 정보종류별 정보매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2), 283-320. https://doi.org/10.15709/HSWR.2020.40.2.283
  18. 박상훈, 이희정. (2017). 사회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전통시장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주택도시연구, 7(2), 109-125. doi.org/10.26700/shuri.2017.08.7.2.109
  19. 박승정, 전진오, 김선우, 김성태. (2017). 국내 주요일간지의 대통령 이슈소유권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 모델링 (Topic Modeling) 을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20(3), 25-55. doi.org/10.15617/psc.2017.10.31.3.25
  20. 보건복지부. (2019). 2019 장기요양 실태조사. http://www.mohw.go.kr, 2020/12/11.
  21. 보건복지부.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
  22. 보건복지부. (2020). http://www.mohw.go.kr, 2020/12/15.
  23. 빅카인즈. (2020). www.bigkinds.or.kr, 2020/09/03.
  24. 사이드뷰. (2020). 도움 거절.."코로나19가 더 무서운 독거노인들". http://www.sideview.co.kr, 2020/10/04.
  25. 석희정. (2020). 코로나19 감염병 발생과 지역사회복지관의 비대면서비스 운영실태. 경기복지재단 복지이슈 Focus, 381, 1-11.
  26. 세계일보. (2020). 취약층 줄 안서게... '마스크 복지' 나선다. http://www.segye.com/newsView/20200311520125?OutUrl=naver, 2020/03/12.
  27. 손동원. (2010). 사회 사회관계망 분석(개정판). 서울.
  28. 송승민. (2018).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61(4), 75-99.
  29. 송인주. (2014). 독거노인 돌봄유형별 지원체계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30. 안수란, 권영지, 김지민, 김태은, 류진아, 조영림, 하태정. (2020). 사회복지 생활시설의 감염병 대응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381, 1-11.
  31. 유용식. (2020). 독거노인의 노인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1), 179-186. doi.org/10.21184/jkeia.2020.1.14.1.179
  32. 윤홍식. (2020). 코로나 19 팬데믹(pandemic)과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위기 이후 복지국가의 길'들'. 비판사회정책, 68, 113-142. doi.org/10.47042/acsw.2020.08.68.113
  33. 이경은, 김도희. (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동학대 인식 연구. 인문사회, 21, 9(3), 367-381. doi.org/10.22143/hss21.9.3.29
  34. 이나윤, 강진호. (2020).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논문지, 14(6), 171-179. doi.org/10.21184/jkeia.2020.8.14.6.171
  35. 이데일리. (2020). 한국거래소, 독거노인 400명에 도시락.코로나 예방물품 전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04646625964408&mediaCodeNo=257&OutLnkChk=Y, 2020/11/10.
  36. 이미란. (2019). 에이징 커뮤니티 구축을 위한 지역 저소득 싱글 남성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437-438.
  37. 이수상. (2017).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38. 이양호. (2020). 코로나-19 팬데믹과 국가: 중국과 미국의 비교. 민족연구, 76, 28-61. doi.org/10.35431/minjok.76.2
  39. 이한나, 김유휘, 김진희, 오다은, 이정은, 이주연, 정소윤, 최요석.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대한 방문돌봄서비스의 대응 및 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378, 1-11.
  40. 전윤미, 강기정. (2019). 빅데이터 기반의 커뮤니티케어 키워드 및 사회연결망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4(2), 251-269.
  41. 정경희. (2015).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보건.복지 Issue & Focus, 300, 1-8.
  42. 질병관리본부.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정부대책회의 브리핑. 2020/02/23. 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
  43. 최항순. (2020). [정책제안] 코로나 시대 노인복지의 방향. 월간 공공정책, 178, 53-55.
  44. 충청신문. (2020). 조치원읍 신흥 5리 마을회, 독거노인 등 200가구에 밑반찬 전달. https://www.dailycc.net/news/articleView.html?idxno=624379, 2020/12/06.
  45. 한아름, 박연환. (2020). 독거노인의 마스크 사용현황 및 마스크 사용지식과 사용행위 관련요인.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58-258.
  46. 함유근, 채승병. (2012). 빅데이터, 경영을 바꾸다. INITIAL COMMUNICATIONS Corp.
  47. 황명화. (2014). 여론 모니터링을 위한 비정형 빅데이터 시공간분석 방법론 연구. 국토연구원, 10.
  48. Armitage, R., & Nellums, L. B. (2020). COVID-19 and the consequences of isolating the elderly. The Lancet Public Health, 5(5), e256. doi.org/10.1016/s2468-2667(20)30061-x
  49. Blei, D. M. (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55(4), 77-84. https://doi.org/10.1145/2133806.2133826
  50. Bonacich, P. (2007). Some unique properties of eigenvector centrality. Social networks, 29(4), 555-564. https://doi.org/10.1016/j.socnet.2007.04.002
  51. Carley, K. (1993). Coding choices for textual analysis: A comparision of content analysis and map analysis. Sociological Methodology, 23, 75-126. doi.org/10.2307/271007
  52. Diesner, J., Carley, KM. (2004). Revealing social structure from texts. Causal mapping for research in information technology, 81(3), 65-72. doi.org/10.4018/978-1-59140-396-8.ch004
  53. Griffiths, T. L., & Steyvers, M. (2004).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suppl 1), 5228-5235.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54. Hansen, D., & Shneiderman, B., & Smith, M. A. (2010). Analysing Social Media Networks with Node XL: Insights from a Connected World. Burlington, Morgan kaufmann.
  55. Lloyd-Sherlock, P., Ebrahim, S., Geffen, L., & McKee, M. (2020). Bearing the brunt of covid-19: older people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BMJ, 368. doi.org/10.1136/bmj.m1052
  56. Nikolich-Zugich, J., Knox, K. S., Rios, C. T., Natt, B., Bhattacharya, D., & Fain, M. J. (2020). SARS-CoV-2 and COVID-19 in older adults: what we may expect regarding pathogenesis, immune responses, and outcomes. Geroscience, 1-10. doi.org/10.1007/s11357-020-00193-1
  57. Palombi, L., Liotta, G., Orlando, S., Emberti Gialloreti, L., & Marazzi, M. C. (2020). Does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Call for a New Model of Older People Care?. Frontiers in Public Health, 8, 311. doi.org/10.3389/fpubh.2020.00311
  58. Steptoe, A., Shankar, A., Demakakos, P., & Wardle, J. (2013).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all-cause mortality in older men and wome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0(15), 5797-5801. https://doi.org/10.1073/pnas.1219686110
  59. Wang, C., Pan, R., Wan, X., Tan, Y., Xu, L., Ho, C. S., & Ho, R. C. (2020). Immediate psychological responses and associated factors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2019 Coronavirus Disease(COVID-19) Epidemic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5), 1-25. doi.org/10.3390/ijerph17051729
  60. WHO. (2020). www.who.int, 2020/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