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derly in home

Search Result 1,47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부산광역시 일지역 65-84세 노인 인구에서의 수면습관 및 수면장애에 대한 조사 (Sleep Habits and Sleep Disorders among the Elderly Between 65-84 years Who are Living in a Part of Pusan)

  • 양창국;유승윤;주영희;한홍무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1호
    • /
    • pp.66-76
    • /
    • 1997
  • 연구배경 : 나이가 들면서 수면습관에 많은 변화가 있고, 이와 함께 수면장애가 증가하나, 이에 대한 관심이 적기 때문에 노인 인구에서의 수면습관 변화에 따르는 문제점 및 수면장애에 대한관심이 적다. 따라서 본연구를 통하여 노년기에서의 수면습관 및 수면장애를 동시에 조사함으로서 노인인구에서의 수면습관 및 수면장애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려고 한다. 방법 : 부산시 일지역 거주 65세 이상 84세 이하 노인인구 933명 중 무작위로 표집한 206명 (22.08%)을 대상으로 개별 가정방문을 통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 1. 평균취침시간은 $10.28{\pm}1.30$시 였고, 입면에 소요되는 시간은 $44.51{\pm}45.12$ 분이었다. 수면중간에 깨는 횟수는 하룻밤 $2.05{\pm}1.59$회 였고 중간에 깨어 있는 시간의 합산은 $42.08{\pm}49.80$ 분이었다. 아침에 깨어나는 시간은 $5.24{\pm}1.33$시였고 잠자리에서 일어나는 시간은 $6.25{\pm}1.38$시였다. 총수면 시간은 $5.63{\pm}1.80$시간이었다. 일주일에 $2.86{\pm}2.85$일간 입면 및/또는 수면유지의 곤란을 호소하였고 일주일에 $2.49{\pm}3.23$회의 낮잠을 자고 있었다. 2. 전체 조사대상 206 명중 116명 (57.7%)은 불면증 군으로, 85명(42.3%)은 비불면증 군으로 분류되었다. 불면증 중에서 108명(52.4%)은 입면에 어려움을, 103명(50.5%)은 새벽 일찍 깨는 것을, 93명 (45.1%)은 수면 유지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3. 불면증이외의 수면장애에 대한조사에서 전체 조사대상 206명 중 악몽 68명(33.0%), 잠꼬대 43명(20.9%), 수면 무호흡증 30명(14.6%), 야경증 16명(7.8%)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면장애의 가능성이 의심되었다. 4. 수면위생이 불량한 경우가 많았고, 전체 조사 대상 206 명중 현재 11명 (5.3%)이 불면증 때문에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12명(5.8%)이 잠을 이루기 위하여 술을 마시고 있었다.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잠자리에서의 걱정 81명(39.3%)과 신체적인 통증 38명(18.4%)이 가장 많았다. 5. 전체 조사대상 206 명중 110 명(55.2%)이 신체적인 불편을, 93명(45.4%)이 불안이나 우울 등의 심인적인 고통을 호소하고 있었고, 이는 불면증군에서 더 유의하게 많이 호소하였다.

  • PDF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Causal Effects on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 홍성희;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2호
    • /
    • pp.89-10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on male salary workers'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The focus was on the causal effects on salary workers'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their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alary worker's attitude toward retirement was neutral,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nd they estimated their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relatively high. Second, the major factors affecting on attitude toward retirement were salary workers' age, their current economic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post-retirement life. Third, the major affecting factors on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were salary workers' age, health status, and level of self-esteem, household net asset, savings and investment for elderly life, and attitude toward retirement. forth, the causal effects on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was verified, and attitude toward retirement had direct effect as well as in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From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alary workers' attitude toward retirement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retirement plann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기법을 이용한 방문간호 중재 평가 (Evaluation of Visiting Nursing Care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Technology)

  • 이숙정;박정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042-1054
    • /
    • 2006
  • Purpose: Previous evaluation studies of the visiting nursing program explained an average change of the participants' health status, without considering soc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s. However, these factors must affect individual health problems and lifestyles. For effective and appropriate community based programs,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can be utilized. GIS is a computer-based tool for mapping and analyzing things that happen on earth, and integrates statistical analysis with unique visu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isiting nursing care and to advocate the usefulness of planning and evaluating visiting nursing programs using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with GIS technology. Methods: One hundred eighty-four elderly participants with cerebrovascular risk factors who lived in 13 areas of one community received visiting nursing care. The data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re-post change and autocorrelation by ESDA using GIS technology. Results: Visiting nursing care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participants' lifestyle habits, and family management ability and stress level, while the improvemen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s. The change of family management ability and stress level correlated with neighborhoods (Morgan's I=0.1841, 0.1675). Conclusions: Community health providers need to consider the individual participant's health status as well as socio-ecological factors. Analysis using GIS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onitoring, evaluation and design of a visiting nursing program.

남북이산가족의 실향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Losing a Hometown among Korea's Divided Families)

  • 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143-152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chieve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divided families in South Korea. The study adopted a qualitative method based on the interpretive science paradigm The participants were 14 elderly people who came from North Korea around 1950 and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first generation of divided familie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ocusing on what divided families experienced after leaving their hometown, how these experiences affected their meaning-making about their homecoming, and how the divided community has changed. The result of them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irst generation of divided families identified themselves as "people who lost their hometown." their hometown implied multiple losses, including their family members, socioeconomic status,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s. The participants explained the process of their settlement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 based on the cohesion of the divided family community. However, they anticipated that the divided family community would fade away because of the aging of the first generation, the indifference of the second generation, and the frustration that existed about the reunion of the divided family members. The participants showed a realistic view on returning to their hometown after the re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장기요양 서비스를 누가, 얼마나, 얼마에 원하고 있는가? - 장기요양 서비스의 욕구와 결정요인 및 지불의사금액 - (The Want, its Determinants and the Willingness to Pay of the Long Term Care Service)

  • 김현철;홍나래;연병길;박태규;정우진;정진욱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36-160
    • /
    • 2005
  • Before introducing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in 2008, the want for long term care service has to be estimated and analysed. This study estimates the demand and analyses what determines the want of long term care service. This study investigated data of 3f6 elderlies, that was collected by 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elderies resided in Onyang 4 - dong (urban area) and Dogo-myun (rural area) In the city of Asan. The researchers visited the elderlies and their care giver, and assessed their demand for the long term care service and examined physical, mental, socio-economic status by the assessment tools for Korean Long-Term Care System. $64\%$ of the those who are entitled to be served refuse the long term care service. $26.7\%$ of them wants for home care service and $7.9\%$ want facility care service. It is estimated that the want of home care service are three or four times as much as that of facility care service. The demand for long term care service is 5.155 times higher for those who live in rural area (p=0.000), 3.040 times higher for those who do not have spouse(p=0.057), and 3.356 times higher for the people who is in medicaid than medical insurance(p=0.029). However, income(p=0.782), means(p=0.614), living alone(p=0.223), number of family to live with (p=0.341) and age of the elderly(p=0.420) are not related with the demand of long term care service. The assessment tools for Korean Long-Term Care System for need evaluation of the long term care service can reflect the demand well.(p=0.024) If medical care will cover $80\%$ of total cost, the willingness to pay of the out of pocket money of the people with medical insurance is 67,400 Korean Won(66.77 US$) for the home care service and 182,500 Korean Won(180.78 US$) for the facility care service. There is possibility that long term care demand is still small after Introducing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due to the care given by family members. When developing service delivery system of long term care insurance, rural area has to be given more consideration than urban area because of the higher demand. The people who do not have spouse or are in medicaid have to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as well.

고령자 중심의 헬스케어 도입을 위한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Related Legal System for the Introduction of Healthcare Improvement Focus on the Aged)

  • 최봉문;조병호;박환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03-213
    • /
    • 2013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헬스케어기반의 고령친화적 스마트홈' 조성을 위해 현행 관련 법제도의 한계에 기인하여 국내외 법제도를 비교법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원격의료 시행을 전제로 관련 법제도는 '헬스케어'와 '고령친화' 그리고 '스마트홈 관련 법제도로 크게 3개 부문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헬스케어 관련 법제도는 국내 의료법에 의해 원격의료를 시행하고 있지만, 의료진과의 정보교환(원격자문 역할)으로 제한을 두고 있다. 국외사례를 토대로 원격의료(모니터링)를 위한 개념 및 제반 사항에 대한 정의 등을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고령친화 관련 법제도 분석 결과, 고령자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며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관련법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현행 관련 개별법에 대한 개정을 통한 법제도의 정비와 신규 법률 제정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관련 법제도의 비교법적인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지만, 두 가지 대안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어느 것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사회복지시설의 화재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최규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13
  •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사회복지시설에서의 화재안전은 매우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근래에 발생했던 노인요양원의 화재를 계기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소방관련법과 기준을 분석하고, 사회복지시설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실태조사 및 소방기술인, 교수, 시설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여 화재안전관리방안으로 법 개정을 통한 맞춤형 소방시설설치, 소방시설유지관리강화, 소방안전관리 및 관련시설 평가를 통한 소방안전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Time Use Analysis of Married Paid Workers by Employment Types

  • Lee, Hyun-Ah;Cho, Hee-Keum;Lee, Seung-Mie;Han, Young-Sun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6권2호
    • /
    • pp.5-13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ime use of employees to see how they make a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We tried to analyze time use and time pressure of married paid work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work and family balance. Methodology - Time use was compared by employment types and time pressure groups.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ime pressure, dividing two employment types. The data were selected from the 2009 Korean Time Use Survey. Results - Those who feel time pressure among full-timers spent more time on work and housework and less time on personal care and leisure than those who do not feel time pressure. Logit analysis on time pressure showed that full-timers feel more time pressure than part-timers do. Gender, age, education, income, day-off type, and the presence of preschool children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time pressure. Conclusion - These results imply that time use and time pressure for married paid workers are affected by employment types. Flexibility of labor needs to enhance work and family balance for female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스마트 홈가든을 이용한 노인 우울증 예방 모바일 플랫폼 제안 (Mobile Platform to Prevent Depression in the Elderly Using Smart Home Garden)

  • 이가은;이하경;조남현;이재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83-985
    • /
    • 2022
  • 2022년 기준, 독거노인 가구 수 176만 가구 시대에 노인을 위한 케어 서비스가 필요하다. 고령화 사회에 맞춰, 노인 케어 서비스가 많이 출시되었으나 비대면 케어 서비스는 부족한 면이 있다. 비대면 케어 서비스의 경우, 특히 비싼 값에 판매된다는 단점과 로봇과 소통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여 저렴한 가격에 생명력을 지닌 식물을 이용해 소통을 증진시켜 우울감 해소를 돕는다면, 노인 비대면 케어 체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식물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가격 보급화가 가능한 비대면 복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화분이라는 대화 매개체를 통해 어르신들의 대화 증진을 유도하여 우울증 완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일상 데이터를 활용해 이상징후를 파악하여 고독사 예방을 위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시스템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며, 어르신들의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거라 기대한다.

부산 일부지역 복지관 무료급식 이용노인들의 급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for Food Servic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Free Lunch Program Participants in Busan)

  • 이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8-136
    • /
    • 2011
  • 저소득층 노인들의 영양과 복지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을 위해 부산시 영도구에 소재하는 복지관에서 무료급식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신체계측을 실시하였다. 2009년 9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남자 84명(31.0%), 여자 187명 (69.0%)으로 전체의 50.9%가 독거하고 있었으며, 배우자와 동거하는 경우가 23.6%이었다. 생활비도 전체응답자의 70.5 %가 '정부보조금'에 의지하고 있었고, '가족이나 본인의 수입'은 22.6%, '연금이나 퇴직금'은 5.9%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이 현재 앓고 있는 질병은 신경통 관절염-고혈압-당뇨병-골다공증-심장질환-위장질환 순이었다. 식사준비는 여자노인의 91.4%(171명), 남자노인의 50.0%가 본인이 한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가 급식서비스의 시행을 알게 된 경위는 전체의 36.5%(99명)가 '집 가까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고, 20.7%(56명)가 '담당공무원의 소개', 19.2%(52명)가 '복지사의 소개'로, 17.7%(48명)가 '친구의 소개'로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앓고 있는 질환별 급식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노인은 전체의 66.8%(181명)이었으나, 추가비용을 부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노인은 12.9%에 불과하였다. 급식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이유'를 40.0%(138명)로 가장 많이 꼽았고, 22.6%(78명)가 '친구를 만날 수 있어서', 16.5%(57명)가 '혼자 차려먹기 귀찮아서'로 응답하였다. 급식서비스 이외에 복지관에서 받고 있는 서비스는 의료서비스, 이 미용서비스, 건강검진 등이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앞으로 받기를 원하는 서비스는 건강검진-반찬배달-의료서비스-주거에 대한 도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급식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남자 4.43, 여자 4.28로 높은편이었으나, 위생만족도, 서비스만족도, 음식에 대한 만족도는 3.43~3.79 사이로 보통정도의 수준이었다. 조사대상자의 급식만족도는 급식유익인지도(p<0.01), 일상생활 수행능력(p<0.05) 및 직원친절만족도(p<0.01)와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급식만족도에는 급식유익인지도($\beta$=0.684, p<0.001), 직원친절만족도($\beta$=0.322, p<0.01), 사회적지지만족도($\beta$=0.086, p<0.05)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는 급식대상 노인들이 급식의 유익성을 인지하게 하고 직원들의 친절교육을 강화하면서 다른 부가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사회적지지감을 높이 가질 수 있도록, 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참여활동을 통합한 급식서비스 모델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