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ausal Effects on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Hong, Sung-Hee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cience, Keimyung Univ.)
Kwak, In-Sook (Dept. of Silver Welfare, Woosuk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5, no.2, 2007 , pp. 89-10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on male salary workers'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The focus was on the causal effects on salary workers'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their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alary worker's attitude toward retirement was neutral,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nd they estimated their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relatively high. Second, the major factors affecting on attitude toward retirement were salary workers' age, their current economic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post-retirement life. Third, the major affecting factors on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were salary workers' age, health status, and level of self-esteem, household net asset, savings and investment for elderly life, and attitude toward retirement. forth, the causal effects on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was verified, and attitude toward retirement had direct effect as well as in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From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alary workers' attitude toward retirement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retirement planning.
Keywords
attitude toward retirement;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곽인숙(1998). 노인의 취업여부와 건강상태에 따른 주거선호. 대한가정학회지, 36(11), 43-60
2 김미경(1992). 중년층의 노년 생활준비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 김향은 . 정옥분(1992). 정년 퇴직을 앞둔 중년 남성의 심리적 불안. 대한가정학회지, 30(2), 159-169
4 박선옥(1997). 중장년 사무직을 위한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태도와 프로그램욕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연구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청구 논문
5 서인선(2000). 노인들의 지식과 건강행위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0(2), 1-28
6 은기수(2001). 한국 노인들의 경제생활, 김두섭 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7 이기영 등(1995). 서울시 아파트 거주 중년기가정의 생활실태와 문제(II): 경제생활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5), 115-128
8 이승아(1998). 중년기 직장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와 퇴직 후 생활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9 장인협 . 최성재(2000). 노인복지학.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지연경 . 조병은(1991).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29(2), 217-240
11 허정무(1993). 교원의 정년퇴직 준비 과정과 퇴직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Evans, L. Ekerdt, D. J. & Bosse, R.(1985), Proximity to Retirement and Anticipatory Involvement :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40(3), 368-374   DOI   ScienceOn
13 George, L. K.(1980). Role Transitions in Later Life. Brooks Cole Publishing Company
14 Goudy, W. J., Powers, E. A, Keith, P. M. & Reger, R. A.(1980). Changes in Attitudes toward Retirement : Evidence from a Pane Study of Older Males. Journal of Gerontology, 35(6), 942-948   DOI   ScienceOn
15 Kilty, K. M. & Behiling, J. H.(1985). Predicting the Retirement Intentions and Attitude of Professional workers. Journal of Gerontology, 49(2), 219-227
16 Maddox, G. L.(1970). Adaptation to retirement. The Gerontologist, 10, Spring, 14-18   DOI   ScienceOn
17 McPherson, B. & Guppuy, N.(1979). Preretirement Life-Style and the Degree of Planning for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34, 254-263   DOI   ScienceOn
18 Miller, S.(1965). The Social Dilemma of the Aging Leisure Participant in W. Peterson(Eds.). Older People and their Social World. Philadelphia, F. A Davis Co., 77-92
19 김정석(2001). 노후부양주체로서의 노인, 가족, 사회 / 국가의 역할: 중년층의 노후부양태도와 준비실태를 중심으로. 김두섭 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20 홍성희 . 이경희 .곽인숙 . 김순미 . 김혜연 . 김성희(1998). 노년기 생활설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중노년층의 노후생활계획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22
21 허정무(1998).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한국노년학회지, 18(3), 1-18
22 홍형옥(2001).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태도와 선호 - 한국에서의 노인생활지원주택 개발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47-166
23 Bischof, L.(1969). Adult Psychology. N.Y.: Harper & Row
24 배문조 . 전귀연(2004).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7), 89-102
25 김미혜(1993). 노년을 위한 퇴직준비교육 모형의 개발. 한국노년학, 13(2), 15-29
26 김정석(2001). 노년기 가족관계의 질에 대한 척도 구성. 김두섭 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27 최성재(1989). 퇴직예정자의 퇴직에 대한 태도 및 퇴직 후 생활전망의 인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창간호, 47-65
28 Barfield, R. & Morgan, J.(1978). Trends in Planned Early Retirement. Gerontology, 11, Spring, 29-32
29 박경숙(2003). 고령화 사회 이미 진행된 미래. 의암출판
30 이지은(2000). 중년기 직장남성의 노후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정경희(2001). 노년기의 건강. 김두섭 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32 전길양 . 송현애 . 고선주 . 김일명(2000).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풍요로운 노후 가꾸기. 한국노년학, 20(1), 69-91
33 김정열(1997). 퇴직 전 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김연정(1998). 노후준비의 관저에서 본 가계재정상태의 구조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35 성미애 . 옥선화(2002). 남성 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 후 적응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9
36 Fishbien, M. & Ajen, J.(1975). Belief, Attitude, Intenetion, and Behavior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ion wesley
37 Parens, H. S. J. & Gilbert, N.(1981). The Retirement Experience. Cambridge, M.A.: MIT Press
38 신하연(1997). 중년기 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대비수준과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9 이화자 . 김영미(1996). 청소년의 부모부양의식과 중년기 부모의 노후준비도. 대한가정학회지, 34(2), 117-128
40 홍성희(2000). 중노년기 여가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공공시설의 여가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5), 121-136
41 최가영 . 조임현 . 이의훈(2001). 노년기근로자의 퇴직현상에 관한 심층적 연구. 한국노년학, 21(1), 73-92
42 Golant, S. M.(1982). Individual Differences Underlying the Dwelling Satisfaction of the Early. Journal of Social Issues, 38(3), 121-133
43 김애순 . 윤진(1995). 은퇴 이후의 심리 . 사회적 영향 - 은퇴는 위기인가? 한국노년학, 15(1), 141-158
44 최보아 . 지영숙(2004).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47-61
45 Boaz, R, F. & Muller, C. F.(1989), Does Having More Time after Retirement Change the Demand for Physician Services? Medical Care, 27, 1-15   DOI   ScienceOn
46 이정숙 . 이인수(2005). 노년기 건강관리행동과 사회경제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7, 231-253
47 임장순(1990). 한국인의 노후생활대책에 관한 의식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48 김태현(1995). 노년학. 교문사
49 통계청(2005). 2004년 사회통계조사 주요결과. 통계청 보도자료
50 홍성희 . 곽인숙(2006). 중년기 남녀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경제적 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과학기술학회마을
51 Burgess, E. W., Havighrust, R. T. & Goldhammer, H.(1949), Personal Adjustment in Old Age. Science Research Associates, Chicago Press
52 서병숙(1996). 노인연구. 서울: 교문사
53 성미애(1999). 남성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54 Boss, R, Aldwin, C. M., Levenson, M. R. & Workman-Daniels, K.(1991), How Stressful is Retirement?: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46(1), 9-14
55 신화용 . 조병은(1999).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상호작용특성과 결혼만족도. 한국노년학, 19(1), 31-44
56 진계환(1988). 은퇴자를 위한 노후준비교육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57 김연옥(1992). 퇴직예정자의 퇴직태도 및 퇴직 후의 계획에 대한 연구. 한국 사회복지학, 제 4호, 1-26
58 장삼수(1998). 조기퇴직 불안이 중년기 위기에 미치는 영향: 금융기관에 종사하는 40-50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59 정경희 . 오영희 . 석재은 . 도세록 . 김찬우 . 이윤경 . 김희경(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60 이주일(2003). 기업구성원의 퇴직에 대한 태도 및 퇴직준비 교육 요구. 한국심리학회지, 16(1), 5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