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shell color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9초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 및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rganic Selenium Levels on Performance and Selenium Retention in Broiler Chickens and Laying Hens)

  • 나재천;김상호;장병귀;김지혁;유동조;강근호;김학규;이덕수;이상진;이종찬;이원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62
    • /
    • 2006
  • 유기태 셀레늄의 수준별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닭고기와 계란 내의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차례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은 selenium yeast로 셀레늄을 0.60, 1.20, 1.80 및 2.40 ppm을 첨가하였을 때 육계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및 가슴근육과 간 내의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 량 및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가슴살의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 수준을 증가시킬수록 높았다(P<0.05). 간조직의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았으며(P<0.05),특히 유기태 셀레늄을 1.20 ppm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P<0.05). 시험 2에서는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 수준이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 내 셀레늄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selenium yeast로 셀레늄을 0.30, 0.60, 0.90 및 1.20 ppm을 첨가하였을 때 산란율, 난중, 사료 섭취 량, 사료 요구율, 난질 및 계란 내 셀레눔 함량을 조사하였다. 산란율은 유기태 셀레늄 0.30 ppm과 0.90 ppm 첨가구에서 높았으나(P<0.05), 1일 산란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Haugh unit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난각 두께는 유기태 셀레늄 0.60 및 1.20 ppm첨가구가 각각 385 및 $386{\mu}m$으로 유기태 셀레늄 0.90 ppm 첨가구의 $368{\mu}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두꺼웠다(P<0.05). 계란 내 셀레늄 함량은 유기태 셀레늄 첨가 수준을 높일수록 더욱더 증가하였다(P<0.05).

Effects of Additives on Laying Performance, Metabolic Profile, and Egg Quality of Hens Fed a High Level of Sorghum (Sorghum vulgare) during the Peak Laying Period

  • Imik, H.;Hayirli, A.;Turgut, L.;Lacin, E.;Celebi, S.;Koc, F.;Yildiz, 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573-581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al methionine, lysine, choline, and sulfur on laying performance, metabolic parameters, and egg quality of hens fed diets containing sorghum (Sorghum vulgare) during the peak laying period. Lohman layers (n = 144), 30-wk of age as 6 replicate cages of 4 hens, were allocated randomly to receive basal diets containing either 22% corn (B) or 22% sorghum (BS) and diets BS plus 0.57% methionine, 0.66% lysine, 0.47% choline, or 0.05% sulfur for 98 d. Feed intake (FI) and egg production (EP) were recorded daily, egg weight (EW) was measured bi-weekly, and body weight (BW) was measured monthly. A sample of 12 eggs from each experimental group was collected every month to evaluate egg qualit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metabolite concentra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s repeated measur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ssessed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artial replacement of corn with sorghum in the basal diet did not affect BW, EP, and FCR but increased FI by 5.7% and EW by 2.4%. The effects of additives on laying performance were variable. Except for serum total protein (STP) concentration, other metabolic parameters were not affected by partial replacement of corn with sorghum in the basal diet. Hens fed diet BS had lower SPT concentration than hens fed diet B. Except for methionine supplementation, other supplements ameliorated depression in STP concentration. The additives did not affect other metabolic parameters. Egg quality responses to the experimental diets were also variable. Partial replacement of corn with sorghum in the basal diet did not affect eggshell characteristics (both thickness and stiffness), whereas it had variable effects on inner egg quality parameters (increased yolk index, depressed yolk color, and unaltered albumen index and Haugh unit). In conclusion, laying hen diets could include low-tannin sorghum (0.26%) up to 22% without necessitating extra supplements to overcome compromised performance.

Estimation of L-threonine requirements for Longyan laying ducks

  • Fouad, A.M.;Zhang, H.X.;Chen, W.;Xia, W.G.;Ruan, D.;Wang, S.;Zheng, C.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206-210
    • /
    • 2017
  • Objective: A study was conducted to test six threonine (Thr) levels (0.39%, 0.44%, 0.49%, 0.54%, 0.59%, and 0.64%) to estimate the optimal dietary Thr requirements for Longyan laying ducks from 17 to 45 wk of age. Methods: Nine hundred Longyan ducks aged 17 wk were assigned randomly to the six dietary treatments, where each treatment comprised six replicate pens with 25 ducks per pen. Results: Increasing the Thr level enhanced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 mass, and the feed conversion ratio (FCR) (linearly or quadratically; p<0.05). The Haugh unit score, yolk color, albumen height, and the weight, percentage, thickness, and breaking strength of the eggshell did not response to increases in the Thr levels, but the albumen weight and its proportion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hereas the yolk weight and its propor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Thr levels increased. Conclusion: According to a regression model, the optimal Thr requirement for egg production, egg mass, and FCR in Longyan ducks is 0.57%, while 0.58% is the optimal level for egg weight from 17 to 45 wk of age.

복합생균제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mplex Probiotics on Performance in Laying Hens)

  • 나재천;김태호;서옥석;유동조;김학규;이상진;김상호;하정기;김재황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5-150
    • /
    • 2003
  • 본 연구는 복합생균제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34주령의 갈색산란계 ISA Brown 320수를 공시하여 12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복합생균제 급여에 의한 산란계의 12주간 평균산란율과 정상란율은 생균제 첨가구 모두 대조구 비하여 다소 향상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연$.$파란율도 생균제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난중은 0.1% 첨가구와 0.2%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0.4%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란량은 산란율과 난중이 증가하면서 개선된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으며,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일관성이 없었다. 난각강도와 난각두께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색은 12주령에 0.2%첨가구가 오히려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계란의 내부품질인 Haugh unit는 4주령에 0.1%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서 첨가구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사료내 생균제 첨가로 맹장내의 유산균과 혐기성 미생물의 수는 현저하게 증대되었지만(P<0.05), 회장내 유산균과 혐기성 미생물의 수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팽이버섯 배지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eding Flammuling veluipes Media on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나재천;장병귀;김상호;김지혁;김성권;강희설;이덕수;이상진;정종천;이진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3-147
    • /
    • 2005
  • 팽이버섯 배지 부산물(F. velutipes media by-product)의 사료 자원화를 위하여 산란계 사료에 0, 5 및 $10\%$를 12주간 하이라인 갈색산란계 360수에게 급여하였다. 전 시험 기간 동안의 산란율, 난중, 산란량, 사료요구율 및 생존율은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서 120.5g 으로 T2의 123.9g보다 유의적으로 적었다(p<0.05). 난각강도, 난각두께 및 호우유니트도 시험 전 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난황색은 대조구, T1, T2에서 각각 7.92, 7.29 및 6.83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T2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팽이버섯배지부산물을 산란계 사료원료로서 $5\%$를 급여하여 대조구와 비교시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므로 사료자원으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10\%$를 급여시에 난황색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므로 착색제의 첨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산란계 사료에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가 난각특성 및 분내 유해가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Germanium Biotite on Egg Quality and Fecal Noxious Gas Content in Laying Hens)

  • 이원백;김인호;홍종욱;권오석;이상환;민병준;정연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66
    • /
    • 2003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내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가 난각 특성 및 분내 암모니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사양시험에 40주령 ISA brown 갈색계 144수를 이용하였으며, 옥수수-대두박 위주 대조사료 (CON), 게르마늄 흑운모 0.5%(GB0.5), 1.0%(GB1.0) 및 1.5%(GB1.5) 첨가구 등4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총 56일간의 사양시험 기간동안, 산란율과 난각강도에서는 처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난중은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2). 난각두께, 난황색 및 난황계수에서는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내 중성지질 함량에 있어서는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는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P<0.01). 또한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분내 propionic acid (P<0.01), butyric acid (P<0.05) 그리고 acetic aicd (P<0.04)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게르마늄 흑운모의 첨가는 분내 암모니아가스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Tissue Distribution of Lutein in Laying Hens Fed Lutein Fortified Chlorella and Production of Chicken Eggs Enriched with Lutein

  • An, Byoung-Ki;Jeon, Jin-Young;Kang, Chang-Won;Kim, Jin-Man;Hwang, Jae-Kw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2-177
    • /
    • 2014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conventional or lutein fortified chlorella on lutein absorptions, the tissue distributions and the changes in lutein content of eggs in laying hens. In Exp 1, a total of one hundred and fifty, 70 w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five replicates and fed with each experiment diet (control diet, diet with 1% conventional chlorella or lutein fortified chlorella) for 2 wk, respectively. The egg production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both chlorella powder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1). With chlorella supplementations, the yolk color significantly increas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ggshell qualities. The lutein contents of serum, liver and growing oocytes were greatly increased by feeding conventional or lutein fortified chlorella (p<0.01). In Exp. 2, a total of ninety 60 w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per group (10 birds per replicate). The birds were fed with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s (0, 0.1 or 0.2% lutein fortified chlorella) for 2 wk, respectively. The egg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The egg weight in the group fed with diet containing 0.2% of lutein fortified chlorell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As the dietary chlorella levels increased, the daily egg mass linearly increased, although not significantly. The yolk colors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lutein fortified chlorella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p<0.001). The lutein in chicken egg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fed with 0.2% of lutein fortified chlorella (p<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etary lutein derived from chlorella was readily absorbed into the serum and absorbed by the liver with growing oocyte for commercial laying hens. Particularly, the lutein fortified chlorella was a valuable natural source for the production of lutein enriched chicken eggs.

Increasing Content of Healthy Fatty Acids in Egg Yolk of Laying Hens by Cheese Byproduct

  • Hwangbo, Jong;Kim, Jun Ho;Lee, Byong Seak;Kang, Su Won;Chang, Jongsoo;Bae, Hae-Duck;Lee, Min Suk;Kim, Young Jun;Choi, Nag-J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444-44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heese byproduct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 of egg yolk lipids from laying hens. One hundred five 30-wk-old White leghorn laying hen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five groups of twenty one hens each and maintained in individual laying cages for 4 weeks. The hens were assigned to five treatments that consisted of corn-soybean meal based diets containing 0, 1, 3, 5 or 10% of cheese byproduct. Feed intake and rate of egg production of he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0.05). Similarly, egg yolk cholesterol level, egg weight, Haugh's unit, eggshell thickness, color, and streng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p>0.05). The amount of C16:0 in egg yolk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but that of C18:0 decreased with increased cheese byproduct (p<0.01). Monounsaturated fatty acid (C16:1 and C18:1) content in egg yolk was similar across the treatments. Total CLA and cis-9, trans-11 CLA content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d cheese byproduct (p<0.001), while trans-10, cis-12 CLA amou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p>0.05). Total saturated fatty acid (SFA) in the egg yolk was decreased as the level of cheese byproduct including CLA increased (p<0.01). However, th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UFA) such a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n-6 PUFA, and total PUFAs in the egg yolk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reatments (p>0.05).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cheese byproduct beneficially improv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oncern to human health in the egg yolk without adverse effects on egg quality.

Copper-soy Proteinate의 첨가가 채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pper-soy Proteinate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 이문구;김찬호;신동훈;정병윤;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65-171
    • /
    • 2011
  • 본 실험은 Cu-soy proteinate(Cu-SP)의 사료 내 첨가가 채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32주령의 채란계(Hy-Line Brown) 1,000수를 선별하여A형 2단 케이지에 총 5처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50수(2수 수용 케이지 25개)씩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중 물과 사료는 자유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16L + 8D)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로는 대조구, Cu-SP 50(Cu-SP로 Cu 50 ppm), Cu-SP 100(Cu-SP로 Cu 100 ppm), Cu-SP 150(Cu-SP로 Cu 150 ppm) 그리고 Cu-SP 200(Cu-SP로 Cu 200 ppm 첨가) 등 총 5처리구들을 두었다. 일계산란율(hen-day egg production), 산란지수(hen-house egg production), 난중, 연 파란율은 처리구들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Cu-SP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1) 낮았다. 난각 두께는 Cu-SP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얇았으나, 난각 강도는 처리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난황색과 난각 색도는 Cu-SP 100과 200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높았으나, 난황 내 광물질 함량은 처리구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액 내 leukocytes와 erythrocytes의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Cu-SP로 Cu 50~200 ppm을 채란계 사료에 첨가 시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급이에 의한 강제 환우 방법이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Induced Molting on th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나재천;유동조;방한태;김상호;김지혁;강근호;김학규;박성복;서옥석;장병귀;최종태;최호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1-176
    • /
    • 2008
  • 본 시험은 동물 복지 차원에서 절식에 의한 강제 환우를 지양하고 사료를 급여하는 강제 환우 방법이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60주령 White Leghorn 산란계 400수를 공시하여 34주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관행적으로 절식한 환우구(C), 옥수수 단일 사료 급여(T1), 밀기울 단일 사료 급여(T2) 및 알팔파 단일 사료를 급여(T3)한 4처리로서,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20수씩 철제 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결과 산란율 및 1일 산란량은 산란 후 $1{\sim}4$주간에만 T1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전 시험 기간 동안에는 강제 환우 방법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 섭취량은 $1{\sim}4$주에 T1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전 시험 기간에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사료 요구율도 전 시험 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각 두께는 산란 후 10, 14주에 옥수수만을 급여한 T1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P<0.05), 26주에는 옥수수(T1)와 밀기울(T2)만을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난각 강도와 호우 유니트는 환우 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황색은 6주에 T1구와 T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18주에는 T1구와 T2구가 대조구나 T3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결과 사료 급여와 절식을 이용한 강제 환우 방법간에 생산성에서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난질에서도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사료 급여를 이용한 강제 환우에서는 알팔파만을 단독으로 급이한 강제 환우 방법이 옥수수나 밀기울을 급여한 강제 환우 방법보다는 생산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