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white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9초

A Study of Fouling in Egg-white Concentration by Ultrafiltration with Tubular Module

  • Chio, Nam-Seok;Kim, In--Chul;Tae- Hyun Bae;Kim, Jong--Ho;Tae- Moon Tak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3권1호
    • /
    • pp.17-23
    • /
    • 2001
  • Polyethersulfone (PES) and cellulose acetate (CA) ultrafiltration (UF) membranes having differe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s were prepared by immersion precipitation method by changing the compositions of easting solution. Egg white solution was concentrated to volume concentration ratio 4 in tubular UF with membranes made of moderately hydrophobic PES and hydrophilic CA. The process Parameters such as pressure and fluid velocity were controlled in order to apply successfully for egg white solution and to investigate the pressure dependency. The resistance values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fouling and concentration polarization effect on membrane performance. During concen- tration of egg white solution by UF, the fouling layer appeared to contribute little resistance to flux compared to that of polarized layer.

  • PDF

우리 나라 농장 사육 타조 알의 난질 조사 (Investigation on the Egg Quality of the Ostrich Farming in Korea)

  • 송광택;오홍록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1호
    • /
    • pp.44-54
    • /
    • 2002
  • 이 실험은 우리나라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타조(African ostrich) 신선란의 내 외부적인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타조의 난형은 장경 15.1~16.1cm, 단경 12.1~13.6cm로, 난형지수는 평균 81.0의 값을 나타내었고, 난각색은 계란보다 광택이 좋은 백색을 나타내었다. 계산식에 의한 난각강도와 난표면적 은 각각 $41.155kg/cm^3$$804.7cm^2$이었다. 타조 난의 난각두께는 난각막을 포함하여 1.89mm로, 각 부위별 난각두께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난각막 두께는 0.10mm로, 적도부가 두껍고 둔단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각 기공수는 19.77개/$cm^2$으로, 첨단부의 기공수가 대체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 알의 총기공수는 약 15241개 정도로 측정되었다. 타조 알의 각 부위의 난중에 대한 비율은 난황 25.1%, 난백 58.2% 그리고 난각은 16.7%이었고, 난백에 대한 난황의 비율(Y/W)은 0.43을 나타내었다. 타조의 알에 대한 난백과 난황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난액에 있어 직경과 높이는 각각 19.7cm 와 13.2mm로 난백지수는 0.07 이며, H.U는 -69.7, pH는 8.3이었으며, 난황에 있어서는 직경이 14.4 cm, 높이 29.4 mm로 난황지수는 0.20으로 나타났고, pH는 6.6 이었다. 또한 난황색은 두터운 난황막으로 인하여 계란보다는 엽은 황색을 보였다.

  • PDF

Bovine Serum Albumin 투여가 산란계의 품종별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Level of Immune Response on Bovine Serum Albumin(BSA) Injection to Different Breeds of Laying Hen)

  • 채현석;김동운;안종남;김용곤;이종문;노환국;윤병선;심정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7-252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aying hens on the immune response against bovine serum albumin(BSA) in egg yolk. Total 45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reeds (White Leghorn, ISA Brown, Native hen). They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 for 12 weeks. Immune response were examind in egg yolk from three groups of hens injected with BS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work were summaried as follows : 1. The weight of egg yolk and the percentage of hen-day production in the ISA Brown hens are greater than those in the Native hens and the White Leghons. 2. IgY concentrations in eggs from hens immunized with BSA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breeds laying hens. 3. The anti-BSA antibody activities determined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n the egg yolk were similar between the White-Leghorn and ISA Brown hens, but Native hens tended to decrease in 20∼50 days respectively. Therefore, the weight of egg yolk and the percentage of hen-day production in the ISA Brown hens are greater than those in the Native hens and the White Leghons will be as important factors for an efficient production of IgY.

  • PDF

경제능력 검정성적을 기초로 한 산란계의 생산성 향상도 추정 연구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Productivity Improvement of Layer on the Basis of Random Sample Test)

  • 송상정;정선부;박응우;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9-252
    • /
    • 1989
  • 본 연구는 대한양계협회의 1966연부터 1988연의 21회에 걸친 경제능력검정 성적을 이용하여 난용계 전체의 산란능력 개선과 유색계와 백색유를 구분하여 산란능력이 어느 방향으로 개선되었는가를 분석함으로서 앞으로의 육종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형질은 육성률, 성계생존율, 성성숙일영, 산란율, 산란지수, 난중, 사료요구율, 500일영 체중이다. 이상의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성률은 80연대 평균 99.4%이다. 유색계의 80년대 평균은 99.5% 백색계는 99.06%로 유색계가 우수하였다. 성계생존율은 연간 0.98%의 증가가 있어 왔으며 유색계 백색계 모두 연간 0.86%의 증가가 있어왔다. 2. 성성숙일영은 60연대 171.2일에서 70연대는 160.8일로 연간 1. 1일의 개선이 있었으나 80연대 162.4일로 오히려 증가했다. 백색계는 70년대 160.5일에서 80년대 159.5일로 미미한 개선이 있었고 유색계는 70연대 163.7일에서 80연대 166.1 일로 증가했다. 3. 산란율은 연간 0.96%의 증가로 80년대 평균 76.94%이다. 유색계의 경우 연간 1.09%의 증가로 80연대 평균 76.51%이고 백색계의 경우연간 0.63%로 80연대 평균 77.45%이다. 4. 산란지수 연간 4.5개씩 증가하여 80연대 평균 265.1개이다. 유색계는 연간 5.37개씩 증가하여 80년대 평균 264.97개이다. 백색계는 년간 4.23개씩 증가하여 80년대 평균265.5개이다. 5. 난중은 연간 0.22g 씩 증가하였다. 유색계는 0.25g 씩 증가하였으며 백색계는 0.03g 씩 감소하였다. 6. 사료요구양은 매년 0.04 개선되었고 백색계는 0.05의 개선이 유색계는 0.1의 개선이 있었다. 7. 500일영 체중은 매년 6.38g 씩 증가하였고 유색계는 14.95 g씩 감소했으며 백색계는 10.37g 씩 감소하였다. 8. 전체성적 백색계 유색계에서 성성숙일영과 산란율의 상관관계는 각각 - 0.4512, -0.0358, 0.0989이며 산란지수와는 -0.2876, -0.1530, 0.1181, 난중과는 -0.4347, 0.3475, 0.2885, 500일영 체중과는 0.2045, 0.1208, 0.2248로 추정되었다. 산란율과 난중과의 관계는 0.6233, -0.2259, 0.2973, 500일영 체중과는 0.2417, 0.0774, - 0.4787로 추정되었다. 산란지수와 난중과의 관계는 0.6171, -0.2706, 0.4579,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 0.3082, -0.0792, -0.3368로 추정하였다. 난중과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는 0.2742, 0.2205, 0.1354로 추정되었다.

  • PDF

Direct Purification of Lysozyme from Hen Egg White Using High Density Mixed Mode Adsorbent

  • KIM, WON KYUNG;BONG HYUN CH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292-296
    • /
    • 1999
  • The high density mixed mode adsorbent known by the trade name of Mimo-AD was used to purify lysozyme directly from the hen egg white (HEW). The homogenized hen egg white was treated with the adsorbent in a stirred vessel for lysozyme adsorption, and then the adsorbent, easily separated from the HEW by sedimentation, was packed into a column. The remaining HEW and contaminant proteins were removed by washing with pH 11 distilled water in an expanded-bed state, and subsequently the elution was performed with pH 12 distilled water in a packed-bed state. By this simple and rapid adsorption, washing, and elution procedure, lysozyme was purified to>95% with an overall recovery yield of 66%. This process offers a great potential for industrial application by allowing the extraction of lysozyme while retaining the commercial value of HEW.

  • PDF

초음파에 의한 단백질 gel화의 연구 (Ultrasonic Velocity and Absorption Mesurements in Gel of Proteins)

  • 김정구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권
    • /
    • pp.29-34
    • /
    • 1998
  • Egg white의 gel화에 따른 음속과 흡수의 변화가 60와 75$^{\circ}C$에서 크게 나타난 것이 egg white의 어느 단백질 성분에 의한 것인가를 조사하기 위해 egg white의 주요한 단백질 성분인 obalbumin, conalbumin, ovomucoid protein에 대해 gel화에 따른 음속 및 흡수의 변화를 온도 10-95$^{\circ}C$의 범위에서 초음파pulse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Ovalbumin는 7$0^{\circ}C$, conalbumin는 5$0^{\circ}C$에서 gel화가 시작되었고 ovomucoid는 측정온도범위내에서는 gel화가 진행되지 않았다. Gel화하는 이상의 온도에서 음속과 흡수에 대하여 aging측정을 행하여 gel화에 의한 dam속과 흡수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conalbumin는 5$0^{\circ}C$, ovalbumin는 75$^{\circ}C$에서 음속과 흡수의변화가 많이 일어났다. Egg white의 60와 75$^{\circ}C$의 gel화에 의한 음속과 흡수의 큰 변화는 각각 conalbumin과 ovalbumin에 의한 것임을 알았고 Conalbumin과 ovalbumin는 aging 온도를 parameter로하여 이력현상이 관측되었다.

  • PDF

방사선 조사 난백이 엔젤 푸드 케이크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adiated egg white on the quality of angel food cake)

  • 이경애;이윤진;양재승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0-33
    • /
    • 2002
  • 조사 달걀의 난백이 엔젤 푸드 케이크의 물리적특성 및 텍스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엔젤 푸드 케이크 반죽의 비중은 IkGy 이상의 방사선을 조사한 달걀의 난백을 사용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하면 엔젤 푸드 케이크의 비용적과 팽화율이 조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케이크간에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엔젤 푸드 케이크의 표면색도는 내부의 색에 비해 케이크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L 및 a, b값이 케이크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하면 엔젤 푸드 케이크의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져 갈색화 반응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엔젤 푸드 케이크의 텍스쳐 특성을 검토한 결과, 견고성, 응집성, 탄력성, 검성, 부서짐성 등이 케이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조사달걀의 난백을 사용하면 엔젤 푸드 케이크의 견고성과 검성이 감소하여 더 부드러운 엔젤 푸드 케이크가 만들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한 엔젤 푸드 케이크는 비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한 엔젤 푸드 케이크에 비해 응집성과 탄력성은 증가하였고 부서짐성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엔젤 푸드 케이크의 제조에 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하면 케이크의 색도, 텍스쳐 특성 등이 비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한 엔젤 푸드 케이크의 특성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방사선 조사 달걀을 케이크 제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관능적 특성에 대한 검토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equential Separation of Lysozyme and Ovalbumin from Chicken Egg White

  • Abeyrathne, Nalaka Sandun;Lee, Hyun Yong;Ahn, Dong U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01-507
    • /
    • 2013
  • Lysozyme was trapped from $2{\times}$ diluted egg white using Amberlite FPC 3500 ion exchange resin (1 g/10mL of egg white). The lysozyme bound to the resin was recovered using 0.1 N glycine-NaOH buffers, pH 9.0, containing 0.5 M NaCl. After separating lysozyme, the pH of the egg white solution was adjusted to 4.75 and centrifuged to remove interfering protein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dded with 2.5% citric acid and 5.0% ammonium sulfate combination to precipitate egg white proteins, except for ovalbumin. After centrifugation, both supernatant (S1) and precipitant were collected. The precipitant was dissolved with 4 volumes of distilled water, and then 2.0% ammonium sulfate and 1.5% citric acid combinations added, stirred overnight in a cold room, and centrifuged. The resulting supernatant (S2) was pooled with the first supernatant (S1), desalted using an ultrafiltration unit, heat-treated at $70^{\circ}C$ for 15 min, and then centrifuged.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s an ovalbumin fraction and lyophilized. The separated proteins were confirmed using Western blotting. The yield of lysozyme and ovalbumin was > 88.9% and > 97.7%, respectively, and the purity of lysozyme and ovalbumin was > 97% and 87%,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tocol was simple, and separated lysozyme and ovalbumin effectively.

난백과 난황에서 Salmonella Enteritidis 와 Salmonella Typhimurium 수 변화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Change in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Populations in Egg white and Yolk)

  • 문혜진;임정규;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42-348
    • /
    • 2016
  • 본 연구는 계란을 난백과 난황으로 분리하여, 액란 상태에서 8, 10, 15, 25, $35^{\circ}C$의 보관온도가 S. Enteritidis와 S. Typhimurium 두 혈청 형의 증식 또는 사멸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난백에서는 8, 10, 15, $35^{\circ}C$에서 두 혈청 형 모두 감소하였으나 $25^{\circ}C$에서는 두 혈청 형 모두 증식 하여 상온에서의 관리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 15, 25, $35^{\circ}C$ 난황에서는 두 혈청 형 모두 성장하였으나 $8^{\circ}C$에서는 감소하여 유통 판매시 난황으로 준비된 액란을 냉장온도로 철저하게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난황에서 증식한 S. Enteritidis와 S. Typhimurium의 성장곡선을 Modified Gompertz model에 적용하여 산출된 유도기(LT)와 최대증식속도(SGR) 및 최대개체군밀도(MPD)값을 Davey model과 Square-root model 및 Polynomial second order model을 이용하여 각각 온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2차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든 온도에서 S. Enteritidis가 S. Typhimurium보다 유도기가 짧고 최대증식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액란 제품에서의 S. Enteritidis에 대한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난백 마요네즈의 개발을 위한 주부들의 마요네즈 소비실태 및 난백 마요네즈의 물성과 관능적 특성 (A Study on the Mayonnaise Consumption Pattern of Housewives and Sensory and Physical Properties of Egg-white Mayonnaise)

  • 박전순;김혜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9-189
    • /
    • 2001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usewive's consumption pattern and preference of mayonnaise for the development of egg-white mayonnaise. Data was collected from 515 housewives in Ulsan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98.1%) of housewives were concerned about nutrition and health and they considered that nutri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purchasing food related items. 2. The frequency of using processed foods was two to three times a week and the reason for use it was the convenience. Usually the housewives obtained nutrition related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such as TV, radio(37.5%) , and newspaper, magazine(32.1%). 3. 75.9% of the subjects thought mayonnaise is a high calorie food and 57.5% of them knew the basic ingredients of mayonnaise. Most(79.3% ) of housewives perceived that cholesterol which is rich in egg yolk i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and arteriosclerosis. Among family members, children showed high degree in the preference for mayonnaise. 4. Comparison of the low cholesterol mayonnaise which was made by egg white for egg yolk with commercial product was made by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test. The viscosity and turbidit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verall taste of low cholesterol mayonnaise was better than of commercial product.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egg-white mayonnaise (low-cholesterol mayonnaise) and expected the possibility of using low cholesterol mayonnaise will be hig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