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production heat stres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6초

고온 스트레스하에서 한방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계란품질 및 혈청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Medical Herb Residue Supplementation on the Egg Quality and Serum Cholesterol of Laying Hens under Heat Stress)

  • 홍종욱;김인호;권오석;이상환;이제만;김용철;민병준;이원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9-266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온스트레스하에서 한방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41주령 ISA brown 갈색계 144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한방부산물을 1.0% 첨가한 구(KMHR1.0; 기초사료+1.0% 한방부산물), 기초사료에 한방부산물을 2.0% 첨가한 구(KMHR2.0; 기초사료+2.0% 한방부산물)로 3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총 28일간의 사양시험기간 동안, 산란율에 있어 KMHR1.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quadratic effect, p<0.01). 산란계 사료내 한방부산물을 첨가할 경우 난중 및 난각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P>0.05). 난각두께는 둔단부, 예단부 그리고 중앙부에서 한방부산물 첨가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난황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한방부산물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또한, 난황계수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혈청내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콜레스테롤과 LDL+VLDL-콜레스테롤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한방부산물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높아지는 경 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고온 스트레스에 노출된 산란계에 있어 1.0% 수준의 한방부산물 첨가는 산란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ASCORBIC ACID (VITAMIN C) SUPPLEMENTATION IN LAYER AND BROILER DIETS IN THE TROPICS

  • Kassim, H.;Norziha,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6호
    • /
    • pp.607-610
    • /
    • 1995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AA) supplementations in the layer and broiler diets kept in the natural hot humid tropical climate ($20-35^{\circ}C$). The layers and the broilers were fed on normal commercial diet as control while supplementation of 400 and 600 mg/kg Ascorbic Acid made up the experimental diets. The results showed that AA supplementation in the layers significantly reduced egg weight and increased Haugh unit values of the eggs, but produced no significant effects on feed intake, body weight, egg production, respiratory rate and body temperature. The shell thickness was slightly improved, though not significantly, with AA supplementation. AA supplementation in broilers improved body weight gain and FCR and reduced the effect of heat stress as shown by lower body temperature and respiratory rates.

닭의 스트레스 연관 표지인자들의 발현도와 생산능력 간의 상관 분석 (The Relationship of the Expressions of Stress-related Markers and Their Production Performances in Korean Domestic Chicken Breed)

  • 박지애;조은정;최은식;홍영호;최연호;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77-189
    • /
    • 2016
  • 본 연구는 닭의 개체 별 스트레스 연관 표지의 발현도와 이들의 생산능력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토종종계 25계통을 대상으로 텔로미어 함량, 열 스트레스 단백질(HSPs) 유전자 발현율 및 DNA 손상율을 분석하고, 동일 개체들의 생존율, 성장능력 및 산란능력을 조사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생산능력 및 스트레스 표지 값들 간에 계통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대체적으로 고체중 순계들의 스트레스 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저체중 교잡계들의 스트레스 지표가 낮게 나타났다. 텔로미어 함량과 생산능력 간의 상관성은 20주령 이후부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성장능력과는 약한 부(-)의 상관 양상을, 산란능력 및 생존율과는 약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HSPs 유전자 발현율과 생산능력과의 상관에서 생존율 및 산란지수와는 저도 및 중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고, 체중과는 약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DNA 손상율 분석 또한 체중과는 약한 정의 상관을, 산란지수 및 생존율과는 중도 및 저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체중이 증가할수록 HSPs 유전자 발현율, DNA 손상율 및 텔로미어 감축량이 증가함을 의미하고, 반면 산란능력 및 생존율이 높을수록 HSPs 유전자 발현율과 DNA 손상율은 낮아지고, 텔로미어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스트레스 표지 인자들 간의 상호 관계에서 모든 표지 값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HSPs 발현값과 텔로미어 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DNA 손상율과는 정의 상관을 보이고, 텔로미어 함량과 DNA 손상율과는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스트레스 표지 값과 생산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에 따라 닭에 있어 HSPs 및 DNA 손상율의 증가는 텔로미어 감축을 촉진하고, 이에 따라 개체의 항병성 및 강건성을 저하시켜 산란능력과 생존율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γ-Aminobutyric Acid 및 생균제 급여가 여름철 산란 종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γ-Aminobutyric Acid and Probiotics on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Parameter of Laying Hens Parent Stock in Summer)

  • 김지헌;고유돈;성하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39-246
    • /
    • 2022
  • 본 연구는 여름철 γ-aminobutyric(GABA)와 생균제 급여가 산란 종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혈액 생화학 조성, corticosteron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24주령의 산란 종계 총 105수를 3개 처리(대조구, GABA, probiotics), 처리당 7반복, 반복당 5수로 설정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GABA와 생균제는 배합사료 내 각각 50ppm과 0.1%로 첨가하여, 총 6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전기간 산란종계의 평균 계란 생산량, 산란량은 대조구보다 생균제 급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FCR은 생균제 급여 처리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산란 종계 계란의 난중, 난백고 높이, Haugh units, 난황색, 난각두께, 난각강도에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모든 혈청 생화학 조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내 corticosterone 농도는 GABA와 생균제 급여로 인하여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GABA와 생균제 급여 시 고온기 산란 종계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생균제 급여는 계란 생산성 및 산란량 성적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위 스트레스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Stress on Laying Hen Performance)

  • 오권영;유병기;장동일;장홍희;권순홍;박상혁;이승주;소재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1-446
    • /
    • 2008
  • 여름철에 고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산란계의 산란율이 다른 계절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름철 기후조건에서 산란율과 계사 내 1일 최고온도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음수량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사료섭취량 사이의 관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계사 내의1일 최고온도가 $33^{\circ}C$ 이상이 되었을 때 산란율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음수량과 사료섭취량이 각각 $490\;mL\;bird^{-1}\;day^{-1}$, $240\;g\;bird^{-1}\;day^{-1}$까지 증가함에 따라 산란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여름철에 산란계의 산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붕을 충분히 단열처리하고, 만약 지붕이 단열처리 되지 않았다면 차광막을 설치하며, 하루중에 최고 온도가 되는 오후 2시경을 전.후로 지붕에 시원한 물을 살수하며, $15^{\circ}C$ 정도의 시원한 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L-Leucine increases the daily body temperature and affords thermotolerance in broiler chicks

  • Han, Guofeng;Yang, Hui;Wang, Yunhao;Haraguchi, Shogo;Miyazaki, Takuro;Bungo, Takashi;Tashiro, Kosuke;Furuse, Mitsuhiro;Chowdhury, Vishwajit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42-848
    • /
    • 2019
  • Objective: Heat stress poses an increasing threat for poultry production. Some amino acids have been found to play critical roles in affording thermotolerance. Recently, it was found that in ovo administration of L-leucine (L-Leu) altered amino acid metabolism and afforded thermotolerance in heat-exposed broiler chicks. Methods: In this study, two doses (35 and $70{\mu}mol/egg$) of L-Leu were administered in ovo on embryonic day 7 to determine their effect on rectal temperature (RT), body weight (BW) and thyroid hormones at hatching. Changes in RT, BW, and thermotolerance in post-hatched chicks were also analyzed. Results: It was found that in ovo administration of L-Leu dose-dependently reduced RT and plasma thyroxine ($T_4$) level just after hatching. In post-hatched neonatal broiler chicks, however, the higher dose of L-Leu administered in ovo significantly increased RT without affecting BW gain. In chicks that had been exposed to heat stress, the RT was significantly lowered by in ovo administration of L-Leu (high dos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chicks under the same high ambient temperature (HT: $35^{\circ}C{\pm}1^{\circ}C$, 120 min). Conclusion: In ovo administration of L-Leu in a high dose contributed to an increased daily body temperature and afforded thermotolerance under HT in neonatal broiler chicks.

고온환경에서 이온수의 급수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nking Ion Water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Biochemical Composition of Laying Hen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 임천익;레이나마수드;리홍룡;조태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21-126
    • /
    • 2020
  • 본 연구는 고온환경에서 이온수의 급수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24주령 산란계 180수를 3개 처리구 5반복으로 배치하여 4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처리구는 수돗물(tap water; TW)과 냉수(cold water; CW)를 급수하고, 이온수 급수구(ion water; IW)와 비교하였다. 산란계의 생산성은 산란율과 난중을 매일 조사하여 계산하였고, 계란 품질과 혈액성상은 사양실험 종료 후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고온환경에서 이온수 급수로 일반 수돗물에 비해 산란율, 난중 및 사료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고(P<0.01), 계란의 난백 높이와 호우유닛 및 난각 두께도 증가하였다(P<0.05). 혈액성상에서 칼슘과 인은 이온수 급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10), HDL 콜레스테롤과 알부민은 이온수 급수구에서 수돗물에 비해 통계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본 실험 결과 이온수 급수로 여름철 산란계의 고온스트레스를 완화되었다. 특히 이러한 이온수가 혹서기에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은 냉수를 급수한 결과와 유사하였으므로 냉수 급수법과 함께 산란계에 활용될 수 있는 여름철 음용수 관리법으로 가능성을 보였다.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inclusion levels of dietary fat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 Kim, Jong Hyuk;Lee, Han Kyu;Yang, Tae Sung;Kang, Hwan Ku;Kil, Dong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407-1413
    • /
    • 2019
  • Objective: This experimen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ources and inclusion levels of dietary fat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Methods: A total of 480 Hy-Line Brown laying hens at 31 wk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5 experimental diets. The control diet contained 2,800 kcal/kg 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with no fat addition. Four additional diets were prepared by adding 2.0% or 4.0% of animal fat (AF) or soybean oil (SO). Energ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consistent among all diets. Diets were fed to hens for 4 weeks. Average daily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26.7^{\circ}C{\pm}1.52^{\circ}C$ and $77.4%{\pm}4.50%$. The heat stress index was approximately 76, indicating that hens were raised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Results: Final body weight (BW) was greater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2.0% or 4.0% AF than for those fed the control diet or diets containing 2.0% or 4.0% SO. The BW gain and feed intake were greater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additional AF or SO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Eggshell thickness was the greatest (p<0.05) for hen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least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4.0% SO. Egg yolk color was the greatest (p<0.05) for hen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least (p<0.05) for hens fed diets containing 4.0% SO. Conclusion: Inclusion of supplemental fat (AF and SO) in diets exhibits preventative effects on BW loss for hens raised under hot environmental conditions when energ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diets were maintained. The effects were greater for AF than for SO. However, inclusion of supplemental fat in diets decreases eggshell thickness and egg yolk yellowness, possibly due to a reduction in Ca absorption and intake of egg yolk colorants.

고온 스트레스 환경내 산란계에 있어 생약제의 급여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rbal Plant Mixture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under Heat Stress)

  • 민병준;이원백;권오석;손경승;홍종욱;조진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온 스트레스 환경내의 산란계에 있어 생약제의 급여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사양시험은 54주령 ISA Brown 갈색계 192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생약제를 0.05%(HPM0.05; 기초사료 + 0.05% herbal plant mixture), 0.1%(HPM0.1; 기초사료+0.1% herbal plant mixture), 그리고 0.2% 첨가한 구(HPM0.2; 기초사료+0.2% herbal plant mixture)의 4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56일간의 총 사양시험기간 동안, 생약제를 0.1%와 0.2% 첨가한 처리구의 산란율이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시험종료시의 난중은 HPM0.1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생약제의 첨가는 난각강도, 난각두께, Haugh unit 및 난황색에 대해서는 별로히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량은 생약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 내 전체 단백질함량에 있어서는 생약제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액 내 Albumin의 함량은 생약제를 0.05%와 0.1%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P<0.05). 혈청 내 RBC와 WBC는 HPM0.1 처리구와 HPM0.2 처리구에서 대조구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고온 스트레스에 노출된 산란계에 있어 생약제의 급여는 난중의 개선과 혈액 내 전체 단백질함량, Albumin의 함량 및 혈청 내 RBC와 WB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양교육의 실시가 아동들의 편식교정 및 기호도 변화와 영양지식 수용 등에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나 식습관과 식생활태도 전반에 걸쳐 유의적인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반복적인 교육을 통하여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육이 단기간에 그치거나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형태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0.0%)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60${\mu}$sec 1회(18.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돼지 난자의 경우 융합율은 30${\mu}$sec 1회(48.1%), 2회(45.2%)및 60${\mu}$sec 1회(48.6%)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분할율은 30${\mu}$sec 1회(78.4%)와 60${\mu}$sec 1회 (79.4%)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30${\mu}$sec 2회(53.6%)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종간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에 있어서 수핵란이 소 난자의 경우 상실배와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이 22.6%로써 단위발생란 30.6%와 차이가 없었으며, 돼지 난자의 경우는 이종간 핵이식란이 5.1%로써 단위발생란 37.4%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산양의 체세포를 이용한 이종간 핵이식 복제수정란의 생산을 위하여 수핵란으로 소와 돼지를 사용하여 복제수정란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종간 핵이식에 있어서 수핵란, 공여세포, 융합, 활성화 및 배양조건 등 아직 초보 수준에 있으며,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면 멸종위기

Effect of dietary β-mannanase on productiv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utilization of dietary energy and nutrients in aged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climatic conditions

  • Kim, Moon Chan;Kim, Jong Hyuk;Pitargue, Franco Martinez;Koo, Do Yoon;Choi, Hyeon Seok;Kil, Dong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0호
    • /
    • pp.1450-1455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beta}-mannanase$ on productiv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utilization of dietary energy and nutrients in aged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climatic conditions. Methods: A total of 320 84-wk-old Hy-line Brown aged laying hens were allotted to one of four treatments with eight replicate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wo dietary treatments with high energy (HE; 2,800 kcal/kg 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_n$]) and low energy (LE; 2,700 kcal/kg $AME_n$) were formulated. Two additional diets were prepared by adding 0.04% (MN4) or 0.08% ${\beta}-mannanase$ (MN8) to LE treatment diets. The feeding trial was conducted for 28 d, covering a period from July to August in South Korea. The average daily room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29.2^{\circ}C$ and 83%, respectively. Results: Productiv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cloacal temperature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treatments. The measured $AME_n$ values for MN8 diets were similar to those for HE diets, which were greater (p<0.05) than those for LE and MN4 diets. However, the $AME_n$ values for MN8 diets did not differ from those for LE and MN4 diets. Conclusion: The addition of ${\beta}-mannanase$ to low energy diets increases energy values for diets fed to aged laying hens. However, this increase has little positive impacts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beta}-mannanase$ does not mitigate the heat stress of aged laying hens raised under hot climatic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