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oil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초

난황유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ipid Components in Egg Yolk Oil)

  • 김종숙;고무석;최옥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5-299
    • /
    • 1996
  • 비방사구와 방사구 달걀 난황을 가열 압착하여 얻은 난황유를 정제한 후 화학적 성질과 지질조성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황의 일반성분은 비방사구, 방사구가 각각 수분이 49.50%, 47.06%,조단백질은 16.53%, 16.98%,조 지방은 31.05%, 33.34%로 주성분을 이루었고, 조지방, 조단백의 함량은 방사구가 비방사구 보다 더 높았다 난황유의 화학적 성질은 비방사구, 방사구가 각각 산가 8.95, 9.85, 요오드가 57.64, 58.15, 비누가 240.14, 223.92로. 나타났다. 난황유 총지질의 조성은 비방사구, 방사구 각각 중성지질 76.60%, 71.23%,당지질 3.95%, 5.03%, 인지질 19.45%, 23.74%였다. 중성지질 중에는 비방사구, 방사구 각각 triglycride가 59.3%, 56.3%로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 외에 monoglyceride와 diglyceridr의 함량이 높았다. 당지질은 비방사구, 방사구 각각 digalactosyl diglyceride가 98.3%, 97.8%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인지질은 방사구, 비방사구 각각 phosphatidiyl choline + phosphatidyl serine이 58.6%, 59.8%로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 외에 lecithin + sphingomyelin과 미확인 성분이 존재하였다.

  • PDF

산란계 사료내 CLA 함유 Oil (CLAzen 80) 첨가가 난황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LA-Containing Oil (CLAzen 80)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황보종;장종수;정일병;이병석;김동운;조성백;김희도;배해득;손진혁;홍의철;최낙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41
    • /
    • 2005
  • 본 연구는 oil 형태의 conjugated linoleic acid(CLAzen 80)를 산란계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 급여하였을 때 산란율과 난황내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9주령의 산란계 72수를 완전임의배치법으로 4개 처리구에 6주간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CLAzen 80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각각 1, 2 및 $3\%$를 첨가구를 두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산란율은 처리구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지만, 난황내 지방산 조성은 CLAzen 80 첨가에 의하게 크게 영향을 받았다. 난황내 C16:0과 C18:0과 같은 포화 지방산 함량은 CLAzen 80 첨가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나, 일가불포화지방산인 C18:1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한편, 난황내 C18:2와 C18:3와 같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은 CLAzen 80 급여 2$\~$4주사이에는 모든처리구들에 있어서 그 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zen 80 급여 6주 째에는 난황내 C18:2 함량이 감소하였다.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과 n-6:n-3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2$\~$4주 사이에는 처리구별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고, 6주째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이 CLAzen 80 첨가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한편, 난황내 CLA 함량은 CLAzen 80 첨가수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따라서, 산란계 사료 내 CLAzen 80 첨가는 난황내 CLA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마요네즈 제조시에 난황 사용량에 따른 유화 안정성의 비교 (A Comparison of Emulsion Stability as Affected by Egg Yolk Ratio in Mayonnaise Preparation)

  • 차가성;김재욱;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5-230
    • /
    • 1988
  • 난황의 사용량을 각각 2%, 3.5%, 5%, 6.5%, 8%, 9.5%로 변화시켜 시험 제조한 마요네즈에 대하여 동결법 및 진동 원심법에 의해 유화 안정성을 비교하였고, 점도 및 입경을 측정하였다. 난황 함량이 많을수록 기름 입자의 크기가 작고, 점도가 높았으며, 유화 안정성이 좋았다. 동결에 대한 안정성은 난황 6.5% 이하에서 급격히 떨어졌으며. 진동에 대한 안정성은 난황 2%, 3.5%의 경우 매우 나빴으나, 난황 5% 이상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마요네즈의 점도는 $-10^{\circ}C$ 보존의 초기 24시간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10^{\circ}C$ 보존 중의 입경은 난황 6.5% 이하의 경우 계속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난황 8%, 9.5%의 경우에는 분리에 이르기 전까지 비교적 변화가 적었다. 마요네즈의 유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조의 기본 배합에 있어서 유화제인 난황을 6.5% 이상 사용하는 것 이 적절 하다고 판단되 었다.

  • PDF

성성숙 유도된 자연산과 자성화 뱀장어의 채란 전·후 난의 형태학적 관찰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Pre- and Postovulated Eggs from Artificially Maturated Wild and Feminized Eels)

  • 이남실;김신권;이배익;김대중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402-1411
    • /
    • 2014
  • This study about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pre- or post ovulated eggs obtained from artificially maturated female eels. Female eels were divided with two groups as wild eels from nature and feminized eels from farm. Artificial maturation had been conducted with the established methods in this laboratory, and then maturate eggs sampled at fixed 3 times and these were observed with stereomicroscope. Rate of increased body weight (RIW) were measured with 2 times. Egg diameters and development of oil droplets are determined for standardization of egg maturation degree, and the transparency of egg cytoplasm and the homogeneous degrees of egg size were referred to determine of egg quality. Rate of increased body weight (RIW) were good in range about 10 % at final salmon pituitary extracts (SPE) injection time and in range about 20 % at $17{\alpha}$, $20{\beta}$-dihydroxy-4-pregnen-3-one (DHP) injection time. Good matured egg for fertilization had $900-1000{\mu}m$ diameter, and they had about 50 oil droplets in size about $100{\mu}m$ diameter. There were not predominant differences at egg size and oil droplet development between wild female and feminized eels.

달걀 노른자에서 분리한 포스파티딜콜린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카놀라유의 가열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from Egg Yolk on Thermal Oxidation of Canola Oil)

  • 김강현;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11-620
    • /
    • 2008
  • 달걀 노른자에 함유된 인지질 중 PC와 PE를 추출, 분리하고 이를 토코페롤을 제거한 TSCO에 0, 200, 500, 2,000 ppm의 농도로 단독으로, 또는 1,000 ppm씩 혼합하여 첨가한 후 $180^{\circ}C$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함유된 인지질의 함량변화와 TSCO의 갈색화 정도를 살펴보고, TSCO의 가열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지방산 조성, 공액이중산값, 아니시딘값으로 평가하였다. TSCO에 첨가된 인지질은 가열 시작 후 2-3시간 내에 매우 빠르게 소실되었고, 가열 중 PE의 분해속도가 PC에 비해 높았다. PC와 PE가함께 첨가된 TSCO를 가열할때 PE는 PC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TSCO는 가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화가 증가하였고, PC와 PE는 갈색화를 촉진하였으며 PE가 PC보다 큰 영향을 주었다. 가열 중 TSCO의 P/L, P/Ln, 공액이중산값, 아니시딘값은 증가하였으며, PC의 첨가는 이들 값을 낮추어 가열 카놀라유의 산화방지제 역할을 하였으나 PE는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PC와 PE는 TSCO의 가열산화 억제에 있어서 antagonism이 관찰되었다.

마늘과 향신료 첨가가 난황과 감람유 유화의 관능적 특성 (Effective of Extract Garlic, Spices of Emulsified with Egg-Yolk & Olive Oil)

  • 장혁래
    • 한국관광식음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관광식음료학회 200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 /
    • pp.112-122
    • /
    • 2002
  • 본 연구는 Egg yolk을 저온 세균(62.5$^{\circ}C$에서 4분)과 고온 세균(95$^{\circ}C$에서 30초) 하여 7$0^{\circ}C$-75$^{\circ}C$ Double bath pen에서 Hot sabayon cream으로 하여 Hot Clarified Olive oil을 서서히 첨가하며 Emulsify하여 유화한 다음 Extract spices 첨가하여 유화제품의 색도 차이를 분석하여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제조된 유화난황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Extract spices는 A군과 B.군으로 하였으며, A.군은 Garlic을 제외한 Extract였고 B.군은 Garlic을 첨가하였다. 결과는 Figure 1-5.과 같이 나타났다. \circled1 Sabayon Cream 관능검사 결과는 노랑자위 향이 감소 되었다. \circled2 Clarified Olive 관능검사 결과는 olive oily 향이 감소되고 고소한 맛이 났다. \circled3 Sabayon과 Clarified olive oil과의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부드러워 졌다. \circled4 Extract Spices A.시료의 Hot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oily 하였다. \circled5 Extract Spices B.시료의 Hot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마늘의 향이 전체적 향을 부드럽게 하였으며, 전체적인 맛은 결정적으로 우수하였다. 즉 마늘 향이 첨가된 B시료가 효과와 특성이 있었다.

  • PDF

건강을 생각하는 계란과 닭고기 생산을 위한 지방산 조성방안 (Manipulat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s and Poultry Meat for the Human Health)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17-236
    • /
    • 1999
  • Among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RAs) targeted for manipulation in animal tissues (poultry eggs and meat), omega-3 PUFAs(n-3 PUFAs) are discussed in this review. 3 or 5% dietary menhaden oil (MO) supplemented layer diets was reported to increase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contents in the egg. MO at 1.5% also increased the deposition of up to 180mg total omega-3 fatty acids / yolk. Utilization of 5% ground flax seed (FS) resulted in similar total omega-3 fatty acid (FA) deposition as 1.5% MO. However, the basic feed formulations used in the Canadian feed industry usually include 10 to 20% FS in the egg laying diets. Recently several studies reported that addition of tocopherols in layer diets increased the tocopherol content more in the egg than any other tissue. One of reports said that 3.5% dietary oil with added tocopherols resulted in increasing tocopherol deposition and FA composition of the egg and other tissues. In the poultry meat, redfish meal (RM;4, 8, 12, 15 and 30% of diet) or redfish oil (RO;2.1 or 4.2% of diet) added to the practical corn-wheat-soybean based diets resulted in an increase in omega-3 FA and docosapentaenoic acid (DPA) contents in broiler meat lipids. Linseed oil (LO;1.0, 2.5, and 5.0% of broiler diet) supplemented in broiler diets also resulted in omega-3 FA and the ratio of omega-6 being significantly higher in poultry meat lipid than MO. Concern about fish flavor resulted in research about fish oil (FO) supplementation in broiler diets. Without the use of antioxidants, no more than 1.5% FO should be fed to broilers due to unacceptable orders from the chicken carcasses. One recent research project found that over 50mg/kg of vitamin E was required for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unsaturated lipids in the meat. In regards to 'fishy'or 'crabby'taint in the eggs and poultry meat, poultry products remained acceptable when dietary fish oils were stabilized with antioxidants.

  • PDF

산란말기 사료 내 Bacillus subtilis와 오레가노 오일 첨가가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품질 및 장의 형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and Oregano Oil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Late-Phase Laying Hens)

  • 김현수;김희진;윤연서;이우도;신혜경;손지선;홍의철;전익수;강환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11-323
    • /
    • 2023
  • 본 연구는 생균제인 Bacillus subtilis(BS) 및 Oregano essential oil(OEO)이 산란말기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그리고 회장 내 융모의 조직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말기(69주령) 산란계 총 150마리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전 산란율 차이에 따라 산란율 100%(H), 평균(A, 88%~89%) 총 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각 그룹별로 BS 또는 OEO을 처리하였다. 산란율 차이에 따른 두 그룹에서 각각 대조군(CON)은 상업용 시판사료를 급여하였으며, BS군은 대조군 사료에 3 × 108 CFU/kg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였고, OEO은 대조군 사료에 사료용 Oregano essential oil 0.3 g/kg을 첨가하였다. 총 6처리로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5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여 5주간 사양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종료 후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그리고 회장내융모의 조직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란율 평균인 처리구에서 BS(91.69%) 및 OEO(91.94%)에서 CON(86.80%)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구 및 혈청 생화학 분석 결과, 산란말기 산란율 및 BS과 OEO 첨가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강도는 OEO(3.31~3.49 kg/cm2)에서 CON(2.96~3.17 kg/cm2)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장 건강지표인 융모높이(villi height; VH)와 장샘깊이(crypt depth: CD)에 대한 분석결과, CON보다 BS와 OEO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높은 VH/CD의 비율을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산란말기 산란계 사료에 Bacillus subtilis와 Oregano essential oil을 첨가 급여하는 것이 산란율, 계란품질 및 장 건강을 향상시키는 사료 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전구체 및 정제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및 면역 관련 혈액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Precursor and Produce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Laying Hens)

  • 유종상;신승오;조진호;진영걸;김효진;황염;김영준;황광연;김정우;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3-180
    • /
    • 2007
  • 본 연구는 CLA 전구체 및 정제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및 면역 관련 혈액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32주령 ISA Brown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1) CON(basal diet + oat 1% + soybean oil 1%), 2) WOS(basal diet + whey 0.5% + oat 0.5% + soybean oil 1%), 3) WS(basal diet+ whey 1% + soybean oil 1%), 4) WOCLA(basal diet + whey 0.5% + oat 0.5% + CLA produce 1%), 5) WCLA(basal diet + whey 1% + CLA produce 1%) 및 6) FOCLA(basal diet + Fish oil 0.5% + oat 1% + CLA produce 0.5%)로 6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7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난각 두께는 시험 4주에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WOCLA 및 W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난중은 시험 4주에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WS 및 W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황고, 난황색 및 호우 유닛에 있어서 FOCLA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종료 시 IgG에 있어서 WOS 및 FOCLA 처리구가 대조구, WS 및 WOCLA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어유, 정제 부산물 및 귀리의 첨가는 난각 두께, 난황고, 난황색 및 호우 유닛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CLA 전구체의 첨가 급여는 혈액 내 IgG의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시켰다.

Effects of Dietary Algal Docosahexaenoic Acid Oil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Deposition and Gene Expression in Laying Tsaiya Ducks

  • Cheng, C.H.;Ou, B.R.;Shen, T.F.;Ding, Shih-Tor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1047-1053
    • /
    • 2006
  •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DHA) on fatty acid deposition in egg yolk and various tissues of laying Tsaiya ducks, and on the mRNA concentrations of hepatic lipogenesis-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Thirty laying du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ments with diets based on corn-soybean meal (ME: 2803 kcal/kg; CP: 17.1%; Ca: 3.4%) supplemented with 0% (control diet), 0.5% or 2% algal DHA oil. The DHA content in egg yolks of the ducks was elevated significantly (p<0.01) with the supplementation of dietary DHA. The DHA percentage of the total fatty acids in the egg yolk of laying ducks was 0.5%, 1.3% and 3.4% for 0%, 0.5% and 2% algal DHA oil treatments, respectively, for the $1^{st}$ week, and 0.5%, 1.5% and 3.3% for the $2^{nd}$ week. Therefore, algal DHA oil can be utilized by laying Tsaiya ducks to enhance the egg-yolk DHA content. The concentrations of triacylglycerol (TG) and cholesterol in plasma of laying Tsaiya duck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DHA treatments (p>0.05). The DHA concentration in plasma, liver, and skeletal muscle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dietary algal DHA oil (p<0.05). The mRNA abundance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 (SREBP1) and SREBP2 in the livers of laying Tsaiya ducks was not affected by dietary DHA, suggesting that the expression of these transcription factors is tightly controlled and not sensitive to DHA trea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