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 case depth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31초

반전된 Depth 영상을 이용한 실시간 Gaussian Hole-Filling Algorithm (Real-time Gaussian Hole-Filling Algorithm using Reverse-Depth Image)

  • 안양근;홍지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3-65
    • /
    • 2012
  • 기존의 Stereoscopy영상의 생성 방법은 2개의 촬영용 렌즈를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놓고 같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좌우 시점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Stereoscopy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TV 수신의 경우에 좌시점과 우시점에 대한 2개의 영상을 모두 동시에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대역폭의 부담이 크다. 이에 보다 효율적인 여러 방법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DIBR(Depth Image Based Rendering)은 한장의 영상과 이에 대한 Depth정보를 이용하여 좌시점과 우시점의 영상을 생성하기 때문에 전송 대역폭을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Static Scene에서 DIBR Image 생성에 대한 다양한 Algorithm이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반전된 Depth 영상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Hole을 채움과 동시에 주변 배경의 왜곡 또한 최소화하는 Gaussian Hole-Filling 방법을 제안하려 한다. 또한 각 Algorithm들의 성능을 비교, 계산하여 각 Algorithm들의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억지말뚝 근입깊이 및 배치간격에 따른 사면 안전율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lope Safety Factor Variation by Pile Construction Depth and Space)

  • 이승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15-121
    • /
    • 2005
  • 국토의 $70\%$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도시간의 연계성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 의해 계속적인 도로공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절개사면의 발생은 필연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절개사면이 전반적인 붕괴될 경우의 보강방법으로 지표에서 이동하려는 토괴를 관통하여 부동지반까지 말뚝을 삽입해서 지반활동하중을 말뚝이 저항을 하여 부동지반으로 전달시킴으로써 토괴의 이동에 대하여 역학적으로 저항하는 억지말뚝 공법을 채택하고 있다. 현재 경험적으로 사용되는 말뚝의 근입깊이와 말뚝의 간격에 대한 한계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결과 억지말뚝의 가장 효과적인 시공깊이 및 배치간격을 제안하였다.

CPT-based lateral displacement analysis using p-y method for offshore mono-piles in clays

  • Kim, Garam;Park, Donggyu;Kyung, Doohyun;Lee, Junhw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7권4호
    • /
    • pp.459-475
    • /
    • 2014
  • In this study, a CPT-based p-y analysis method was proposed for the displacement analysis of laterally loaded piles. Key consideration was the continuous soil profiling capability of CPT and cone resistance profiles that do not require artificial assumption or simplification for input parameter selection. The focus is on the application into offshore mono-piles embedded in clays. The correlations of p-y function components to the effective cone resistance were proposed, which can fully utilize CPT measurements. A case example was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and used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Various parametric studi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erty profile and its depth resolution on the p-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alculation could be largely misleading if wrongly interpreted sub-layer condition or inappropriate resolution of input soil profile was involved in the analyse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depth that dominates overall load response of pile. The soil profile and properties within this depth range affect most significantly calculated load responses, confirming that the soil profile within this depth range should be identified in more detail.

Retrospective case series analysis of vestibuloplasty with free gingival graft and titanium mesh around dental implant

  • Ku, Jeong-Kui;Leem, Dae 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6권6호
    • /
    • pp.417-421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 effective technique to easily obtain adequate amounts of keratinized gingiva and vestibular depth. Materials and Methods: Free gingiva (vertical height 10 mm) was harvested on the palatal mucosa and a partial thickness flap was elevated on the recipient site with same width as the free gingiva graft. After a conventional suture, a titanium mesh covered the graft and was fixed with miniscrews. Titanium mesh was removed 4.1±2.5 weeks after surgery. The amount of keratinized gingiva and vestibular depth was measured at the final follow-up. Results: Nine patients (males 4, females 5; 53.9±14.1 years) who underwent bone graft surgery before vestibuloplasty were included. No free gingival graft failure or complications were encountered in any of the patients. The relapse rate for vestibular depth (23.3%) was lower than that for keratinized gingiva (48.3%) after 34.4±14.4 months (P=0.010). Conclusion: Vestibuloplasty with a free gingival graft using titanium mesh could be achieved with an acceptable amount of keratinized gingiva and an appropriate vestibular depth around dental implant.

동치환공법의 적정심도 결정에 관한 연구 (LandAnalysis of Effective Depth of Dynamic Replacement Method)

  • 김성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05-314
    • /
    • 2018
  • 연구목적: 동치환공법은 유사한 동다짐공법에 비해 동치환 직경, 심도, 간격, 타격에너지(중추 무게와 낙하고), 지반강도 증대 효과, 지반 개량효율 등에 대한 연구 및 실증이 부족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실트질 점토지반을 연구 대상 지반으로 선정하여 예비 동치환시공과 본시공 동치환의 2가지 경우로 나눠서 지반개량을 실시하고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개량심도 결정 및 개량효과에 미치는 인자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실트질 점토 지반을 대상으로 동치환 적정 심도 결정, 지반개량효과에 끼치는 특성을 상세히 분석하여 동치환 시 적용할 수 있는 개량심도 ($D_R$)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결론: 동치환공법을 실트질 점토 지반에 적용한 경우, 동다짐공법의 낙하에너지보다 1.25~2.5배 증가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 묻힘 깊이와 콘크리트 강도를 고려한 후설치 앵커의 설계식 평가 (Design Evaluation of the Post-installed Anchor considering Effective Embedded Depth and Concrete Strength)

  • 허무원;채경훈;원재식;박태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3-20
    • /
    • 2021
  • 후설치 앵커는 기존 콘크리트 부재에 구조 및 비구조 부재를 접합시키는 구조재료로 그 사용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내부 철근 및 시공오류로 성능저하가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그 성능평가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틀림 제어 확장형 후설치 앵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재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유효 묻힘깊이를 변수로 한 단일앵커 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M10과 M20의 인발강도 시험을 수행한 결과, M10 및 M20앵커 모두 변동계수 15% 이내 값을 가지고 있어 KCI 2012에서 제시하는 신뢰도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묻힘깊이 및 콘크리트 강도가 인발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향 계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유사연의 결과 및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설치앵커의 설계식을 수정 제안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플라즈마 침탄한 저탄소 Cr-Mo강의 피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tigue properties of plasma carburized low carbon Cr-Mo steel)

  • 박경봉;신동명;이창열;이경섭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7호
    • /
    • pp.505-514
    • /
    • 2000
  • 플라즈마 침탄한 저 탄소 Cr-Mo 강(0.176C-1.014Cr-0.387Mo)의 침탄 특성과 피로성질을 고찰하였다. 플라즈만 침탄한 시편의 유효경화깊이는 가스 침탄한 시편에 대해 상대적으로 침타나시간이 짧고 침탄온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50%정도까지 증가되었다. 플라즈만 침탄시 유효경화깊이의 증가는 표면탄소농도의 증가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표면탄소농도의 증가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표면탄소농도의 증가율이 침탄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플라즈만 침탄간의 피로한도는 가스 침탄강의 경우보다 높았다. 이를 표면근처의 미세구조, 경화깊이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압축잔류응력으로 조사한 결과 경화깊이와 압축잔류응력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플라즈만 침탄의 피로강도 향상은 가스침탄에 비해 표면이 상승층이 저감되어 표면에서의 미소균열의 발생 및 초기 균열 전파과정이 지연 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파단면 관찰결과 표면에서 균열이 시작되고 플라즈마 침탄의 경우 입내파괴가 현저하였다.

  • PDF

고주파 표면열처리된 Cr-Mo강재의 피로특성과 수명예측 (Fatigue Characteristic and Life prediction of Induction Surface Hardened Cr-Mo Steel)

  • 송삼흥;최병호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6-679
    • /
    • 1995
  • Practically, induction surface hardening is used widely to enhance the local strength of structure. In this study, Fatigue limit and its S-T characteristic for raw and induction hardened specimen of SCM440 is studied experimentally. The life prediction was considered by Juvinall's equation and its predicted result is compared with experiment.

  • PDF

Flanking Sequence and Copy-Number Analysis of Transformation Events by Integrat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with Southern Blot Hybridization

  • Qin, Yang;Woo, Hee-Jong;Shin, Kong-Sik;Lim, Myung-Ho;Cho, Hyun-Suk;Lee, Seong-Kon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269-281
    • /
    • 2017
  • With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it has become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and effective molecular characterization methods to select candidate events from a large pool of transformation events. Relative to traditional molecular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for whole-genome sequencing of complex crop genomes had proven comparatively useful for in-depth molecular characterization. In this study, four transformation events, including one in Bacillus thuringiensis (Bt)-resistant rice, one in resveratrol-producing rice, and two in beta-carotene-enhanced soybeans, were selected for molecular characterization. To merge NGS analysis and Southern blot-hybridization results, we confirmed the transgene insertion sites, insertion construction, and insertion numbers of these four transformation events. In addition, the read-coverage depth assessed by NGS analysis for inserted genes might provide consistent results in terms of inserted T-DNA numbers in case of complex insertion structures and highly duplicated donor genomes; however, PCR-based methods can produce incorrect conclusions. Our combined method provides an effective and complete analytical approach for whole-genome visual inspection of transformation events that require biosafety assessment.

소승기탕(小承氣湯)으로 호전된 기분 장애 환자 1례 (A Case Report of Mood Disorder treated by Soseungki-tang)

  • 민준홍;임현택
    •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9-96
    • /
    • 2014
  • Objective : This case report evaluated the effect of Soseungki-tang(小承氣湯) on mood disorder. Methods : A patient of mood disorder was treated with Soseungki-tang(小承氣湯) in accordance with Shanghanlun(傷寒論) six meridian patterns diagnostic system. Results : After a series of Soseungki-tang treatment, the symptoms of mood disorder patient improved. Conclusions : According to Shanghanlun(傷寒論) six meridian patterns diagnostic system, this case study shows that Soseungki-tang is effective on mood disorder. However further clinical studies in depth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