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 E-learning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39초

사회적 협상 관점의 e-Learning 콘텐츠 개발: 사례관리 담당 공무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as Social Negotiation Perspective: A Case Study of Program Development for the Public Sector Officials' Case Management)

  • 김인숙;진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519-527
    • /
    • 2011
  • e-Learning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오디오,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되며, 일정 기간 동안 복잡한 절차를 거쳐 개발된다. 이에 따라 e-Learning 콘텐츠 개발은 참여자 그룹의 개별작업과 함께 문제 상황에 직 간접적으로 연관된 이해관계자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한 협력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협상 관점에서 e-Learning 콘텐츠 개발과정을 분석하고, e-Learning 콘텐츠 개발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간의 최선의 합의를 통한 최적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례관리 담당 공무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대해 참여적 관찰자의 관점에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개발된 콘텐츠의 평가를 위해서는 질적, 양적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결과를 통한 사회적 협상 관점의 e-Learning 콘텐츠 개발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의 명확한 중심 목적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학습대상자의 범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셋째, 핵심 참여자들 간의 개발과정 및 결과물에 대한 공유를 통한 심도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넷째, 합리적 개발 기간 및 예산 설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참여 그룹간의 상충되는 이해관계 속에서 최선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강력한 리더가 필요하다.

An Inquiry of Constructs for an e-Learning Environment Design by Incorporating Aspects of Learners' Participations in Web 2.0 Technologies

  • PARK, Seong Ik;LIM, Wan Chul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2권1호
    • /
    • pp.67-94
    • /
    • 2011
  • The major concern of e-learning environment design is to create and improve artifacts that support human learning. To facilitat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e-learning environment designers focused on the contemporary information technologies. Web 2.0 services, which empower users and allow the inter-transforming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been increasingly changing the way that people learn. By adapting these Web 2.0 technologies in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 can facilitate learners' abilities to personalize learning environ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comprehensively constructs for understanding the inter-transforming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mutable learning environments' impact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learners learn and strive to shape their learning environment. As results, this study confirms conceptualization of four constructs by incorporating aspects of design that occur in e-learning environments with Web 2.0 technologies. First, learner-designer refers to active and intentional designer who is tailoring an e-learning environment in the changing context of use. Second, learner's secondary design refers to learner's design based on the primary designs by design experts. Third, transactional interaction refers to learner's inter-changeable, inter-transformative, co-evolutionary interaction with technological environment. Fourth, trans-active learning environment refers to mutable learning environment enacted by users.

이러닝 학습자들의 이용의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Longitudinal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e-Learning Learners)

  • 배재홍;신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15-222
    • /
    • 2019
  • 본 연구는 종단적 자료를 기반으로 이러닝 학습경험 전과 후의 이러닝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하여 대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시간의 편의성과 학습과정의 용이성, 이러닝 유용성은 학습경험과 관계없이 이러닝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공간의 편의성은 학습경험 전과 후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닝 학습을 경험한 후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제 이러닝 학습을 경험한 대학생들은 학습과정의 용이성이 이용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이러닝 활성화 방향과 이러닝 학습자들에 대한 종단적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nowledge Management and E-learning for Organizational Culture

  • Gupta, Omprakash K.;Lee, Yuan-Duen;Wang, Yuan-Ching;Tein, Shih-Chu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6권1호
    • /
    • pp.137-148
    • /
    • 2009
  • Knowledge management becomes the key point for organizations to survive and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knowledge economy era. E-learning plays a vital role for the organizational learning. How to share the experience of knowledge and the success of the knowledge management has great connection with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ors of effective E-learning as well as its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A successful e-learning system should not only aim at different statistical variables but emphasize on : course contents,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establishes a stable network environment. A stable E-learning platform and speedy bandwidth is a must to achieve the non-barrier communication and built a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success in E-learning, it is not necessary to divide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 strengthen the course content multiplication and plans the E-learning supervisory work by the sole responsibility unit. It should establish an ample teaching frequency width and platform and also must establish the appropriate study network frequency width and hardware equipment to achieve the best E-learning effect. The interaction in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 in adapting E-learning, those Ad-hoc and Marketing Culture, are mostly influence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have more interactive content. Those in Clan and Hierarchy Culture are affected by traditional conception and lack of interaction. Meanwhile, under the cost consideration, Clan and Ad-hoc Culture on the dynamic side prefer to spend more cost on E-Learning while the stable side, Hierarchy and Marketing culture are willing to pay more expenses on E-Learning.

  • PDF

효과적인 e-NIE 수업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using e-NIE(electronic-Newspaper In Education))

  • 박지연;전석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7-134
    • /
    • 2010
  • 지식정보사회에서 좋은 수업이란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하는 수업이다. 이런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추상화, 일반화된 내용으로 구성된 교과서에 있는 학습 내용이 아니라 학습자가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내용이 필요하고, 그 학습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매체를 찾아야 한다. 신문은 매일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고, 이를 활용하면 유익하고 실용적인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교과서'로 불린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패러다임의 변화는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누구나(anyone)원하는 수준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e-learning 체제와 인터넷 신문(전자 신문)을 등장하게 했다. 이러한 변화된 환경은 NIE의 방법과 영역을 더욱 넓게 확대시켜 e-NIE로 발전시켰고, e-NIE는 수업목표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매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수업설계모형에 맞게 e-NIE를 활용한 수업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수업 설계시 수업목표를 달성하는데 촉진제 역할을 하도록 e-NIE를 투입하였고, e-NIE를 활용하는 활동과정에서 다양한 고등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안을 작성하였다.

  • PDF

지식경영과 e러닝 통합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 LG전자 사례를 중심으로 -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Integr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nd e-Learning from LG Electronics Company's Experiences)

  • 김효근;정미숙;안동윤
    • 지식경영연구
    • /
    • 제6권1호
    • /
    • pp.105-122
    • /
    • 2005
  • The LG Electronics case shows the process whereby an organization evolves as a learning organiz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e-lear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In other words, it shows the process whereby e-learning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of solving a problem concerning actual worksite operations, as it became one of the daily activities in the organiz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process points to the fact that e-learning is emerging as the fastest and most effective means of transferring the internally shared value of a company. Recently, advanced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have been endeavoring to boost their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paving the way for changes in their organizational cultures, and establishing learning organizations through e-learning. Therefore, from an advanced viewpoint, e-learning within a company is not a simple system of transferring educational contents, but is a knowledge portal concept connected with knowledge management. To achieve this end, th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undergo changes that is, it should make the acquisition of learning possible through e-learning and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in order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Since LG Electronics is utilizing e-learning as a strategic means to change the paradigm of corporate education, and, in particular, is attempting to integrate this with knowledge management, insights that will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core success factors in and challenges to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nd e-learning can be obtained through this case.

  • PDF

이러닝에서 교수자 역할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Instructors' Factors Affecting Student Performance Under e-Learning Environment)

  • 서창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341-347
    • /
    • 2013
  • 이러닝 도입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는 대학의 입장에서 교수자들의 이러닝 수용의지와 활용능력은 중요한 변수이다. 교수자들은 교수적 역할을 포함하여 컨텐트 전문가, 교육과정 설계자, 그래픽 전문가, 미디어 감독, 프로그래머 역할까지 모두 수행해야 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닝의 교수자 역할이 이러닝의 성공요인,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닝을 할용한 디자인 기술교육 (Design Technical Education using e-Learning)

  • 박춘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7-638
    • /
    • 2013
  • 디지털화된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은 교수 미디어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과거의 일방적 지식전달방식에서 탈피하여 피교육자 스스로 선택적으로 강의를 찾아다니면서 본인의 능력에 맞도록 수업을 할 수 있으며, 각종 e-Learning 컨텐츠의 활용은 물론 피드백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기술 분야의 교과목에서 도입중인 e-Learning을 중심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 및 효율적인 학습방법과 그 활성화 방안의 한 가지를 제시하였다.

  • PDF

마이크로 러닝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cro-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 배재홍;신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69-376
    • /
    • 2020
  •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을 이용한 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업의 학습 자료를 마이크로 러닝, 기존의 이러닝, 유인물 형태의 세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K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를 비교하였다. 첫째, 마이크로 러닝 형태의 학습 자료를 이용할 때 학습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효과는 이러닝 형태와 마이크로 러닝 모두 효과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형태의 학습 자료를 모두 이용한 경우는 마이크로 러닝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현상으로 등장한 새로운 학습 형태인 마이크로 러닝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와 마이크로 러닝 학습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대학 내에서 마이크로 러닝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U-러닝을 위한 P2P 기반 체험학습 시스템 (A P2P-Based Experience Learning Support System for U-Learning)

  • 최승권;황진수;조용환;이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309-318
    • /
    • 2005
  • e-Learning에서 학습자는 교실에서의 면대면 학습자보다 상호협동과 책임감이 적다. 따라서 학습관리 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협동학습 설계에 중점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협동학습과 블랜디드 러닝을 지원하기 위해서 JXTA 기반의 P2P 구조를 갖는 체험학습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체험학습객체 공유를 통해서 자기 주도적 학습력과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하는데 의미가 있다. 실험결과 제안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보다 학습자의 학습력 향상과 협동학습에서 더욱 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